경기도립극단 제40회 정기공연 '게사니'

이 나라와 민족의 실제 주인공인 ‘백성’은 늘 고단한 삶을 살아왔다. 부와 권력을 지닌 지배계층에 의해, 잘못된 위정자에 의해 이리 저리 휘둘리며 힘겨운 삶을 살아왔다. 그러나 민초(民草)는 늘 꿋꿋했고, 그래서 오늘의 역사도 이어져왔다. 경기도립극단(예술감독 문석봉)이 극한 상황에서도 강인한 생명의지를 보여주는 한 서민의 삶을 통해 보편적인 인간 진실을 조명하는 작품을 무대에 올린다. 극단의 제40회 정기공연 ‘게사니’가 그것으로 5일부터 9일까지 경기도문예회관 소공연장에서 선보여진다. 탈리얼리즘 희극의 대표적 작가로 손꼽히는 이근삼 원작의 ‘게사니’는 임진왜란이라는 시대적 배경과 국왕의 피난처였던 평양성이라는 공간속에서 주인공 게사니와 그 가족으로 대표되는 서민층이 지닌 강인한 생명의지와 인간존중의 평화정신을 보여주는 작품. ‘게사니’는 거위를 가리키는 평안도 사투리로 영특하고 모성애가 강해 평안도지방에서는 집을 지키기도 했다. 억척스러운 생활력 때문에 ‘게사니’라는 별명을 지닌 주막집 여주인(박현숙 분)과 아들 장대(김찬훈 분), 두 딸 보름(이경선 분)과 탄실(임미정 분)이 주인공 한가족이다. 때는 1592년 9월 부산포에 상륙한 왜군이 북상해 이미 한성을 함락하고 평양성으로 쳐들어오는 시점. 왕과 조정대신들은 종묘와 사직을 버리고 서울을 빠져나와 평양성에 피신해 있다. 그러나 임진강 방어진마저 무너지자 그들은 평양성을 버리고 다시 의주로 피할 논의를 한다. 겁에 질린 백성들도 피난길에 오르지만 병정 나간 남편과 큰 아들 소식을 모르는 게사니 가족은 피난 갈 생각조차 않는다. 게사니는 자기네 같은 민초는 왜적이 오든, 명나라 군대가 오든 빼앗길 것이 없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별 상관없다고 생각한 전쟁에서 아들을 잃고 큰딸마저 왜병들에 짓밟히는 시련을 겪는다. 게사니는 그래도 끈질긴 생명력을 이어간다. 그것이 바로 민초인가. 문석봉 예술감독은 “공연의 연출방향을 ‘서민의식속에 자리한 보편적 인간진실-인간존중의 평화정신’으로 잡고 작품 자체에 충실하면서도 현대적 감각을 살려 연극적 재미와 역사속에 비친 서민들의 애환을 그림으로써 새로운 형식의 역사극을 선보일 것”이라고 밝혔다. 공연시간은 평일 오후 7시, 토요일 오후 3시·6시, 일요일 오후 2시·5시. 공연문의 230-3242∼7 /이연섭기자 yslee@kgib.co.kr

전시모음

▲여성性, 그 감성의 기호 여성의 자궁속을 들여다 보는 듯한 상징적 이미지가 커다란 회화의 숲을 이루는 작가 박영숙의 전시가 21∼27일 인사동 가나아트 스페이스, 28일∼12월4일 일산 정글북아트 갤러리에서 각각 개최된다. 그녀는 이번 전시 ‘여성性, 그 감성의 기호signe’을 통해서, 여성이 보는 여성성을 보여주길 원한다. 다만 보편적으로 말하기 쉬운 페미니스트라 읽혀지는 것은 바라지 않는다. 그저 예술가로서 회화의 본질을 탐구하기 위해 선택된 주제가 여성 성이며, 그것을 감성의 기호로 상징화하고 해석했다는 것. 문의 917-5881 ▲물빛향기전 경쾌하고 시원스런 붓 터치, 물과 어우러진 종이 등으로 대표되는 수채화의 물맛을 사랑하는 여성작가 5명의 모임 ‘물빛향기’가 전시를 연다. 수채화만큼이나 맑은 감성의 눈으로 바라본 자연풍광을 화폭에 담아 선보이는 이 전시는 오는 27일부터 12월3일까지 수원미술전시관 제2전시실에 마련된다. 참여작가는 김종순 안순옥 노수옥 김혜진 정은하 등이다. 문의 228-3647 ▲토월전 화실에서 작업하는 시간만은 아내, 엄마, 며느리, 직장인의 역할도 잠시 잊고 각자의 자아를 발견하는 소중한 시간이 된다는 사람들. 어설프나마 순수한 마음으로 그림을 그린다는 ‘토월회’회원들이 지난 1년간의 땀의 결실을 선보인다. 올해 4번째로 열리는 이 전시는 의정부 예술의 전당에서 오는 27일까지 계속되며, 참여작가는 김기숙 김형란 김혜경 나애숙 신은식 이숙호 이종우 임선화 정소영 허정자 허혜경 홍성기 등이다. 문의 828-4253∼4 /강경묵기자 kmkang@kgib.co.kr

'이문세 독창회' 수원·안양공연

80년대 ‘난 아직 모르잖아요’‘붉은 노을’‘광화문 연가’에 이어 90년대 ‘옛사랑’‘조조할인’그리고 2001년 ‘기억이란 사랑보다’까지 끊임없이 팬들의 사랑을 받고 있는 가수 이문세. 유수와 같은 세월의 흐름에도 사그러들줄 모르고 쏟아내는 열정과 패기의 모습이 멋진 이문세가 다시 수원을 찾는다. 올 한해 전국투어 14개 도시 공연에서 모두 매진을 기록함 화제를 불러 일으켰던 ‘이문세 독창회’가 11일과 18일 수원과 안양 공연을 시작으로 전국 앵콜투어에 들어간다. 이번 공연에선 그동안 꾸준하게 사랑받아 온 주옥같은 노래들은 물론 최근 새롭게 내놓은 13집에 수록된 곡들을 다채롭게 들려준다. 이문세는 “내 음악을 듣는 사람들이 ‘눈을 감으면 보이는 사랑의 영화 한편’으로 생각해 주었으면 한다”며 “일상적이고 상투적인 사랑 표현이 아닌, 우리들의 감성적이고 가슴시린 언어표현들이 멜로디에 실려 듣는 이들의 마음을 적실 수 있는 그런 음악을 하고싶다”고 한다. 또 그것이 이번 13집 뿐만 아니라 그의 음악을 아우르는 메시지라고. 뛰어난 가창력과 재치있는 유머감각이 어우러져 재미를 더할 이문세 독창회는 수원공연이 11일 오후 3·7시 도문예회관 대공연장에서, 안양이 18일 오후 2·4시 안양문예회관 대공연장에서 펼쳐진다. 문의 221-3322 /강경묵기자 kmkang@kgib.co.kr

젊은 작곡가 초청연주회

“세계에서 처음으로 연주되는 작품들을 감상하세요”순수 음악계에 활기를 불어 넣어줄 신작품 발표 연주회가 오는 5일과 7일 안양과 수원에서 각각 개최된다. ‘젊은 작곡가 초청연주회’란 이름으로 펼쳐지는 연주회는 경기문화재단의 창작품 활성화 특별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연주는 청주시립교향악단(지휘 장문학)이 맡는다. 이번 연주에서 초연되는 작품은 작곡가 주용수의 ‘Sempre sonoro’와 이미혜의 ‘한 여름밤의 꿈’. 주용수는 연세대학교 음악대학과 독일 데트몰트 국립음대 작곡과를 졸업, 현 수원 레이디스 챔버 오케스트라 지휘자를 맡고 있으며 수원대·안양대·협성대 겸임교수로 활동중이다. 또 이미혜는 중앙대학교 음악대학 작곡과와 동대학원, 독일 데트몰트 국립음대 작곡과를 졸업했으며 현재 협성대 교수로 재직중이다. 이와 함께 이번 연주에선 세계 초연의 신선한 작품들과 더불어 모짜르트의 작품을 연주하는 등 고전음악과 현대음악이 어우러진 주옥같은 레퍼토리의 연주를 선보일 예정이다. 한편 공연은 안양이 5일 오후 7시30분 안양문화예술회관 소공연장, 수원은 7일 오후 7시30분 경기도문화예술회관 소공연장에서 막이 오른다. 전석 5천원. 문의 232-5642, 227-3294 /강경묵기자 kmkang@kgib.co.kr

수원여대 예술단 정기공연

제2회 수원여자대학 예술단 정기공연이 11월1일 오후 7시 30분 경기도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에서 열린다. 수원여자대학 예술단(단장 전애리)은 이 대학 예술스포츠학부 교수들로 구성됐으며 무용, 음악, 댄스, 사회체육 분야 전공교수들이 모여 독창적인 공연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설립했다. 지난해 9월 창단한 이 예술단은 창단공연에서 수원여대 교수들과 외부 유명 연주자들과의 협연을 통해 다채로운 무대를 마련했으며, 청소년들의 문화예술에 대한 이해를 돕기위해 해설을 곁들였다. 이번 공연에는 김태훈씨의 해설로 피아노, 전통·현대무용, 성악, 재즈 색소폰 등 다양한 장르를 무대에 올린다. 먼저 임효선·안수미씨가 두 대의 피아노로 연주하는 ‘스카라무슈(Scaramouch)’를 시작으로 천재혁·김세아가 왈츠와 탱고(안무 박복희)를 열연한다. 소프라노 손효숙씨와 김정현씨는 오페라 라보헴 중에서 ‘그대의 찬손’과 ‘내 이름은 미미’, ‘나의 아름다운 천사여’ 등 주옥 같은 아리아를 선사한다. 이어 김영실 안무로 선보이는 전통무용 ‘고구려의 향기’는 고구려의 기상과 절제된 한국춤의 맛과 멋을 지녔는데, 고구려 벽화에서 착안한 당시의 춤사위를 재창작한 것이다. 또한 두대의 피아노에 4명의 연주자가 호흡을 맞추는 ‘2 Pinos 8 Hands’에는 비제의 ‘카르멘 환상곡’을 들려준다. 피아노 5중주로 들려주는 ‘콜로(El Cholo)’와 ‘라 쿰바르시타(La Cumparsita)’ 그리고 비틀즈의 ‘예스터데이’ 등을 연주한다. 이밖에 재즈 색소폰의 대가 이정식씨가 출연해 ‘My one and only love’를 들려주며, 김대동·최연숙의 열정적인 라틴댄스, 경찰종합대학 관악대 금관 5중주 연주와 부채춤 등도 마련된다. 문의 232-5642 /이형복기자 mercury@kgib.co.kr

문화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