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화 상수도 불안… 발암 라돈 검출

인천시 강화군 일부 마을 상수도에서 자연방사성 물질인 라돈이 검출됐다. 12일 환경부가 발표한 전국 지하수 중 자연방사성 물질 검출지역 조치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강화군 내 마을상수도 3곳에서 폐암, 위암을 유발시킬 수 있는 라돈이 검출됐다. 3곳에서 각각 검출된 라돈의 양은 원수의 경우 1ℓ당 최소 4천724최대 6천24pCi다. 우리나라에는 지하수 중 자연방사성 물질의 허용기준은 없으나, 미국은 먹는 물 제안치(4천pCi/㎖)를 둬 관리하고 있다. 반면 수도꼭지에서 검출된 라돈의 양은 3곳 모두 미국 제안치에는 못 미쳤다. 강화수도사업소는 지난달 마을상수도의 사용중지를 권고하는 한편, 이달 중 라돈 저감을 위해 인위적으로 산소를 공급하는 폭기시설을 설치할 방침이다. 환경부 측은 라돈은 원수 대비 수도꼭지에서 평균 40% 내외의 저감률을 보이고 있다며 라돈 노출에 의한 폐암 발병 등은 대부분 호흡에 의한 것으로 지하수 음용에 의한 가능성은 낮다고 설명했다. 강화상수도사업소 관계자도 강화지역은 지질학적으로 화강암계열로 주민의 안전을 위해 상수도를 공급하도록 대책을 수립했다며 환경부에 우라늄 및 라돈의 수질기준을 제정토록 요청했다고 말했다. 한의동기자 hhh6000@kyeonggi.com

콜텍 해고 노동자들 복직 소송 최종 패소

악기제조업체 콜텍 해고 노동자들이 회사를 상대로 6년 넘게 벌인 복직 소송 재상고심에서 최종 패소했다. 대법원 1부(주심 고영한 대법관)은 12일 콜텍 대전공장 해고 노동자 양모씨(51) 등 24명이 회사를 상대로 낸 해고무효확인 청구소송에서 원고 패소 판결했다. 재판부는 대전공장의 채산성 악화는 개선 가망이 없어 정리해고는 긴박한 경영상의 필요에 의한 것으로 보이고 노동조합과의 협의절차 등을 준수한 점 등을 근거로 정리해고를 무효라고 할 수 없다고 판단했다고 밝혔다. 국내 대표적인 기타 제조업체인 콜트콜텍은 국내 공장 경영 상태가 좋지 않다는 이유로 지난 2007년 4월 인천공장인 콜트, 7월 대전공장인 콜텍을 차례로 정리하고 노동자들을 대규모 정리해고했다. 하지만 해고 노동자들은 회사가 2000~2006년 평균 연간 순이익 90억 원을 거뒀으며, 2006년 부채비율이 30.48%에 불과하다며, 소송을 제기하고 인천 등지에서 8년째 농성을 이어갔다. 1심은 경영위기로 인한 긴박한 이유로 정리해고가 이뤄진 것이라며 원고 패소 판결, 2심은 경영상 어려움이 있었다고 볼 수 없다며 원고 승소 판결했다.그러나 대법원이 지난 2012년 파기환송, 지난 1월 파기환송심에서 원고 패소 판결한 데 이어 이날 대법원은 원심 판결을 확정했다. 이인근 콜텍 지회장은 분노와 허탈한 마음 뿐이라며 다른 해고 노동자들과 함께 논의해 다른 방법을 찾으며 농성을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박용준기자 yjunsay@kyeonggi.com

“문화재 발굴·토양 정화 동시에 해야”

부평미군기지 맹독성 폐기물 처리 진상조사 인천시민대책위원회(대책위)는 인천 부영공원 문화재 발굴조사와 토양 오염 정화작업을 동시 진행해야 한다고 11일 주장했다. 대책위는 이날 성명을 통해 부영공원은 대단지 아파트로 둘러싸여 있어 하루빨리 오염정화작업으로 인근 주민의 안전한 삶을 보장해야 한다며 안전한 공원으로 다시 되돌려주기 위해 환경부와 문화재청이 동시 조사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부영공원 일대는 과거 일본군 조병창지로서 매장문화재 유존지역임이 확인돼 지난 4월부터 매장문화재 보호 및 조사에 관한 법률에 따라 지표조사가 이뤄지고 있다. 문화재청은 유적 확인 가능성이 크다고 판단, 전체 부지의 10%가량을 발굴해 조사하는 시굴조사를 진행할 방침으로, 시굴조사는 연말께 마무리될 것으로 보인다. 대책위는 문화재 시굴조사 이후에도 정밀조사가 이뤄질 가능성이 크며, 정밀조사가 이뤄지면 오염 정화작업 착수 시기는 미지수라고 보고 있다. 대책위는 문화재 조사 터파기 과정에서 다이옥신, 유류 물질, 중금속 등 오염물질이 대기 중으로 확산할 수 있다며, 부영공원의 빠른 정상화를 위해 문화재 조사와 정화작업이 동시 진행돼야 한다고 촉구했다. 박용준기자 yjunsay@kyeonggi.com

인천항 지하차도 갈등 봉합될까?

국토교통부와 지역주민이 인천항 지하차도 폐쇄문제로 갈등을 빚는 가운데 인천항만공사(IPA)가 항만도로 개방안을 내놔 주민들의 수용 여부가 주목되고 있다. 11일 인천 중구청 별관 회의실에서 인천~김포 간 고속도로 공사를 총괄하는 국토부와 민간사업시행자인 인천김포고속도로(주), IPA 관계자, 주민대표 등이 참가한 가운데 2차 대책회의가 열렸다. 이 자리에서 한경우 IPA 항만운영팀 부장은 합법적으로 통행증을 내주고 항만도로를 개방하겠다. 우선 인천지역 70% 수준인 화물차 통행승인을 100%까지 끌어올리고, 지역 주민도 필요한 사람에 한해 정식 절차를 거쳐 출입증을 발급하겠다고 밝혔다. 주민들은 그동안 지하차도 폐쇄에 대한 우회도로로 인천 내항 항만도로 임시 개방 등을 주장하며, 국토교통부와 민간사업시행자에 항만운영사인 IPA와 합의를 도출하라고 요구해왔다. 이승부 인천종합어시장 이사장은 IPA의 항만도로 개방안에 대해 주민 의견을 수렴해 수용 여부를 결정하겠다고 말했다. 이날 회의에서 국토부는 지하차도 폐쇄로 인해 심각한 교통대란은 없을 것이라는 시뮬레이션 결과를 내놨다가 주민들의 반발을 샀다. 이 이사장은 지하차도를 하루만 막아보자. 시뮬레이션 결과가 맞는지는 그때 확인하면 될 것이라며 평소에도 교통체증이 빚어지는 곳인데 지하차도까지 폐쇄하는데 어떻게 체증이 없을 수 있느냐고 반박했다. 한편, 지하차도 폐쇄 예정일이던 지난 6일 지하차도를 이용하던 다수의 차량 운행자가 인근 도로로 몰리면서 일대가 극심한 교통체증을 빚었다. 신동민기자 sdm84@kyeonggi.com

인천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