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장애표시등 10개 중 1개는 기준에 미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26일 윤관석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인천남동을)이 국토교통부로부터 제출받은 ‘항공장애표시등 실태조사 결과’를 살펴보면 2011년부터 최근까지 검사한 전국 항공장애표시등 8천524개 중 864개는 관리소홀이나 시설기준 미달로 지적을 받았다. 기준미달 항공장애표시등은 2011년 50개에서 2012년 30개, 2013년 55개, 2014년 31개였으나 2015년 491개, 2016년 191개로 크게 늘어났다. 지역별로는 서울이 136개(16%)로 가장 많았고, 부산 111개(13.1%), 전남 93개(11%), 인천 71개(8.4%), 충남 64개(7.5%), 경기 59개(7%), 경북 57개(6.7%), 울산 49개(5.8%), 제주 39개(4.6%), 광주 33개(3.9%), 경남 30개(3.5%), 대구 15개(1.8%), 전북 13개(1.5%) 순이다. 원인별로는 관리상태 불량인 경우가 401개, 설치기준 미흡이 323개, 두 가지 다 문제가 있는 경우는 124개로 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형별로는 표시등 불량이 651개, 표지불량 784개, 표시등 및 표지 불량이 119개로 집계됐다. 윤관석 국회의원은 “삼성동 아이파크 헬기충돌사고 이후에도 항공장애표시등 관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며 “항공장애표시등은 조종사가 건물과의 충돌을 피할 수 있는 유일한 안전장치다. 항공 안전을 확보할 수 있도록 신속히 시설보완을 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김미경기자
인천정치
김미경 기자
2016-09-26 18: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