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유통 농산물서 잔류농약 검출

지난 한해 국내에서 유통된 농산물에서 잔류농약 등이 검출되는등 국민건강을 위협한 것으로 조사됐다. 2일 식약청에 따르면 99년 유통된 농산물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 전국 각 지방청 및 시·도에서 모두 2만335건의 농산물을 수거, 잔류농약 등에 대한 검사를 실시한 결과 이중 408건(2.01%)에서 농약이 검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농산물중에는 채소류가 가장 많은 268건(65.7%)을 차지했으며, 유지식물 38건(9.3%), 야생식물 27건(6.6%), 콩나물 26건(6.4%), 과실류 7건(1.7%), 곡류와 버섯이 각각 1건(0.2%), 기타 40건(9.8%) 순으로 조사됐다. 특히 채소류중에는 상추·깻잎·쑥갓 등에서 클로르피리포스와 엔도설판 등의 농약이 잔류농약 허용기준치를 초과했으며, 표백제(이산화황)와 색소검출도 각각 40건과 31건이나 적발됐다. 그러나 식약청은 1만1천442건의 농산물중 357건(3.1%)이 부적합했던 지난 98년에 비해 1.1% 낮아져 유통 농산물이 점차 안전성을 찾아가고 있는 것으로 분석했다. 식약청 관계자는 “아직도 농산물에서 농약이 검출되고 있다” 며 “야채·과일 등 신선식품은 먹기전에 반드시 충분한 세척을 거쳐 시식하는 것이 잔류농약 공포에서 벗어나는 길” 이라고 말했다. /김창수기자 cskim@kgib.co.kr

동일 부동산 감정가 산정 공신력에 의문

동일한 부동산에 대한 감정평가법인간 감정액 차이가 크게 발생, 공신력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한국감정원 인천지점은 지난 98년 12월 인천시 중구 항동 k냉동공장(대지 2천400평, 철근콘크리트 10층, 연건평 5천평)에 대한 부동산 시가 감정에 나서 평가액이 115억원이라고 밝혔다. 이에앞서 한국감정원은 지난 93년 같은 건물에 대해 93억원의 감정 평가를 내렸다. 이는 냉동공장이 장치산업으로 5년이 지날 경우 설비노후나 감가상각 등을 고려, 감정액이 떨어질 것이란 예상을 뒤집은 것으로 이례적이란 지적이다. 특히 법원이 이 부동산 소유법인의 감정가에 대한 이의를 받아들여 최근 시내 J감정평가법인에 재감정을 의뢰한 결과, 감정평가액이 74억원으로 제시돼 감정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이와관련, 한국감정원 관계자는 “제조달 원가의 차이로 감정평가액이 상승했다”고 말했다. 한편 인천지검은 지난 98년 4월 시가 6억원 상당의 단독주택에 대한 부동산 감정을 벌이며 부동산 내부의 현장확인 없이 감정을 벌여 1억5천만원 상당의 감정평가 대상물을 누락시킨채 3억7천만원을 감정평가액으로 내놓은 혐의(지가공시 및 토지평가 등에 관한 법률위반)로 지난 1월 한국감정원 직원 안모(49)·은모(46)씨 등 2명을 약식기소했다. /손일광기자 ikson@kgib.co.kr

적자운행 시내버스 반납노선 대책없어

인천시가 적자운행을 이유로 업체들이 반납한 시내버스 8개 노선에 대한 대책을 마련하지 못한채 전전긍긍하고 있다. 2일 시에 따르면 그동안 4·20·27·49·63·67·9·99번 등 8개 시내버스 노선을 8개 업체가 공동배차제로 운영해 왔으나 운영적자를 이유로 지난 2월초 반납했다. 이에따라 시는 시내버스 회사와 중형버스 회사를 대상으로 8개노선에 대한 신규 사업주 공모에 들어갔다. 그러나 공모 1개월이 지난 현재까지 접수된 업체는 시내버스회사인 강인·제물포여객과 중형버스 업체인 인천여객 인천버스 등 4개 업체에 불과한 실정이다. 특히 강인·제물포여객은 흑자노선으로 알려진 27·63번에만 공모했으며, 각각 4·27·63번과 20·27·49·67·9·99번에 응모한 인천여객과 인천버스의 경우 주주들이 두 회사 주식을 모두 보유하고 있어 결국 한 회사만이 응모한 꼴이 됐다. 이로인해 시는 적자노선에 대한 대책수립에 어려움이 예상되는것은 물론, 업체 선정시 무리한 요구를 해와도 들어줄 수 밖에 없는 실정이어서 대책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이와관련, 시 관계자는 “흑자 노선에 대해서만 응모한 업체는 가급적 심사대상에서 배제하겠다”고 말했다. /이영철기자 wyatt@kgib.co.kr

인천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