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상노린 외지인의 위장전입 극성

“아침에 눈만 뜨면 비닐하우스 주인이 바뀝니다. 다 보상을 노린 외지인들의 위장 전입이죠.” 23일 인천국제공항 고속도로 개설공사가 한창인 인천시 계양구 동양동과 귤현동 들녘에서 만난 농민 이모씨(56)의 넋두리다. 김포평야와 인접한데다 매 시간마다 김포공항을 이착륙하는 항공기가 올려다 보이는 전형적인 농촌지역인 이곳에 부동산 투기를 의식한 외지인들의 발길이 빈번해진 건 지난해 말부터. 그래서 농사를 천직으로 알고 지내온 이 일대 주민들은 본격적인 농번기가 시작됐는데도 일할 의욕을 거의 잃고 있다. “지난 98년 이 일대가 택지개발지구로 지정된 뒤 땅을 보러 오는 외지인들이 간혹 있긴 했지만 올해 건축경기가 되살아 나면서 눈에 띄게 늘고 있습니다.” 인근에서 부동산 점포를 운영하고 있는 지모씨(43·인천시 계양구 임학동)는 “인천국제공항 고속도로가 거의 마무리되면서 갑자기 농지를 보러 오는 고객들이 많아졌다”며 “현재 이 일대 땅값은 평당 20만∼30만원선이지만 갈수록 오를 조짐을 보이고 있다”고 말한다. “이들에게 팔린 농지에 설치된 비닐하우스중 상당수는 텅 비어 있습니다. 예전 같으면 벌써 모내기 준비에 한창일텐데…” 한 주민의 지적처럼 계양구청에서 임학동과 인천지하철 귤현역사를 지나 김포시계로 들어서면서 펼쳐지는 들녘엔 군데군데 빈 비닐하우스들만 눈에 띌뿐 이미 농촌 특유의 생기는 실종된지 오래였다. 이곳에서 13년째 농사를 짓고 있다는 한 농민은 “외지인들이 전입해와 논을 메꾸고 비닐하우스를 세우는 걸 보면 참 답답하다”며 “시청 인터넷 홈페이지에 이같은 사연을 띄웠는데도 별다른 회신이 없다”고 말했다. /허행윤기자 heohy@kgib.co.kr

저질 의료정보 범람 인증제도 마련 절실

최근 인터넷에서 폭증하고 있는 저질 의료 정보나 과대선전에 따른 의료 소비자의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의료정보 인증제도’를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23일 인천 YMCA 등 소비자 보호단체들에 따르면 현재 병의원과 제약회사·건강식품 회사 등이 운영하고 있는 인터넷상 건강 관련 사이트는 줄잡아 8천여개에 달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대부분의 사이트들이 여과되지 않은 정보를 싣고 있어 의료소비자들의 피해가 우려되고 있다. 특히 암과 당뇨병 등 난치병과 관련한 사이트들은 대부분 ‘특효약·완치 100%·중국에서 검증된 항암제’등 이용자들을 현혹시키는 문구와 함께 현대의학적 치료를 부정하는 내용들로 가득차 있다. 김모씨(29·인천시 남동구 만수동)는 “가족중에 간암 환자가 있어 우연히 인터넷을 통해 한 건강식품 판매회사에 문의를 해봤더니 현대 의학적인 치료를 하지 않고도 중국산 약을 복용하기만 하면 100% 완치가 가능하다고 해 70만원을 주고 약을 복용했으나 효능이 전혀 없었다”고 말했다. 인하대병원 관계자는 “최근에는 의사 자격도 없는 비의료인이 증상별로 미리 준비된 모범 답안을 보여줌으로써 마치 의료인이 운영하는 사이트인 것처럼 속이는 사이비 사이트 마저 등장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따라 선진국처럼 의료 관련 기관에서 저질 의료 정보를 사전에 검증해 이용자들이 의료 정보의 옥석을 가리게 유도하는 인증제를 도입해야 한다는 여론이 높다. /손일광기자 ikson@kgib.co.kr

인천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