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중조명>인천지역 침수 문제점(중)

매년 장마때면 침수피해가 되풀이 되고 있는데도 시의 대책이 미봉책에 그쳐 올해도 어김없이 최소한 18개 지역 주민들이 악몽에 시달려야 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인천의 집중침수 지역을 점검해 본다. ▲경인철로 일대 주안역은 97·99년 선로가 침수돼 이 역을 중심으로 동인천∼백운역까지 8개역의 승객들이 큰 불편을 겪었다. 철도청은 경인선 복복선 공사(배수관 확장 병행)가 끝나는 2002년 4월 이후엔 주안역 침수는 없을 것이라는 입장이다. 그러나 침수원인이 지형 때문이므로 고지대인 시민회관에서 저지대인 주안역으로 흐르는 빗물의 방향을 바꾸지 않는 한 방재에는 한계가 있다. 바닷물(북항·인천교 방면) 만조 때 역류한 빗물은 결국 송림동·주안공단·주안역에 머물게 되지만 인천교 방면의 대형 유수지 건설은 요원한 실정이다. ▲중구 신포·신선동 주변 중앙배수분구를 통해 용현펌프장∼낙섬배수문∼인천남항으로 빗물이 빠져나간다. 그러나 만조와 장마가 겹치면 신포시장 일대는 어김없이 물난리를 겪는다. 2차원인은 배수관 불량 때문. 신포동 상인들은“용현펌프장이 부두에 있지 않고 2㎞나 떨어진 용현동에 있어서 물난리가 난다”며 1차적 원인이 인천항에 있다고 지적한다. 구는 이달 말부터 대형관과 차집관거 700m를 설치할 계획이나 피해는 계속될 전망이다. ▲남구 용현동 구터미널·토지금고 부근 신포동과 함께 연례적인 상습침수 지역이다. 원인은 용현펌프장의 용량부족 때문. 88년 완공된 용현펌프장의 유수지 용량은 6천600톤에 불과, 집중호우시 수 시간 내에 만수위에 달한다. 수차례 비상펌프까지 가열돼 고장나는 악순환이 되풀이 돼 왔다.숭의동 소금공장 부근은 관로까지 불량해 가장 먼저 침수 된다. ▲남동구 수산·장수동 농경지 소래포구가 만조되면 매년 침수되며 지난해에도 39.8㏊가 침수됐다. 농민 이모씨(58)는 “비만 오면 어김없이 농경지가 침수됩니다. 하늘의 뜻이지요”라며 행정 대책을 전혀 기대하지 않고 있다. 시는 이 곳에 펌프장·유수지를 건설할 계획조차 없다. /김신호기자 shkim@kgib.co.kr

공유수면 매립허가지역 대폭 축소방침

인천시가 무분별한 갯벌매립으로 인한 환경파괴를 줄이기 위해 공유수면 매립허가 지역을 대폭 줄이는 방향으로 공유수면매립기본계획(안)을 확정, 해양수산부에 상정했다. 18일 시에 따르면 올해 제정된 습지보존법이 내년 3월초부터 발효하고 통합연안관리법이 강화됨에 따라 갯벌보존지구내 지역과 경관이 수려한 지역에 대한 연안매립허가 신청을 최대한 받아들이지 않기로 했다. 이에따라 시는 강화·옹진군 등에서 신청한 19건의 공유수면 매립계획안 가운데 6건을 대상에서 제외하고, 나머지 13건(총면적 29㎢)에 대해서만 지난 12일 해수부에 상정했다. 시는 강화군이 일반주차장, 농업용지 조성을 위해 신청한 동검지구, 초지지구, 길상지구 등 3곳에 대한 매립계획(안)을 갯벌보존지역을 이유로 신청서를 반려했다. 또 옹진군이 주택시설용지 조성을 위해 신청한 영흥면 영흥지구, 신도지구, 선재1지구에 대해서도 같은 이유로 제외했다. 시는 수요조건을 더이상 줄이지 못해 연수구 연수동 송도지구, 중구 중산동 중산지구, 강화군 내가면 외포리 외포지구 등 13개지역은 해수부에 상정했으나 관련법 강화에 따라 심의과정에서 매립 허가지역은 더욱 줄어들 것으로 보고 있다. 한편 시는 10년 단위로 각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 개인 등으로부터 매립사업수요 조사서를 신청받아 상위법과의 관계, 사업 필요성, 환경파괴 정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 적합성이 인정되면 해수부에 상정한다. 해수부는 또 각 지방자치단체에서 접수된 매립기본계획(안)을‘중앙연안관리심의위원회’를 열어 최종 결정한다. /이영철기자 wyatt@kgib.co.kr

인천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