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오염 갈수록 악화 대책마련 시급

인천시내 대기오염이 좀처럼 개선되지 않고 있어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6일 인천환경연합에 따르면 지난달 7∼8일 이틀간 사단법인 시민환경연구소 시민환경기술센터, 대전대 환경공학과 김선태 교수팀과 공동으로 시내 주요 도로변과 지하상가 100개소를 대상으로 이산화질소(NO₂) 농도를 측정한 결과, 지난 98년 6월 51.78ppb에 비해 7.07ppb 높아진 58.85ppb에 이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지난 95년 1월 33.15ppb에 비해 6년새 무려 77.5%나 높아진 수치다. 이번 조사를 통해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한 곳은 서구 영창악기 앞 사거리로 99.28ppb를 보였으며, 이산화질소 환경기준인 80ppb를 초과한 지역도 가정오거리(85ppb), 경인고속도로 부평IC(〃), 연수4단지 공원(〃) 등 6개소로 나타났다. 구별로는 서구가 76.71ppb로 최고치를 기록했고, 중·동구 66.45ppb, 부평구 62.23ppb, 남구 61.61ppb 등의 순으로 집계됐다. 지하상가도 사정은 비슷해 시민회관 지하상가 75.65ppb를 비롯, 평균 68.65ppb를 보여 환경당국 차원의 대안이 강구돼야 할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산화질소는 일반적으로 주택에서 사용되는 프로판가스 연소과정에서 방출되며 일산화탄소(NO₁)보다 4배 정도 독성이 강해 산소결핍증과 신경기능 감퇴를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관련, 인천환경연합 관계자는“지난 93년부터 감소세를 보여 32.66ppb까지 떨어졌으나 지난 97년부터 다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며“이산화질소에 의한 대기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는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말했다. /허행윤기자 heohy@kgib.co.kr

지역정보·통신업체 지원미비 업계 반발

지역 정보·통신 업체들에 대한 인천시의 정책적 지원이 미비, 관련 업계의 강한 반발을 사고 있다. 특히 이들 업체들은 시가 매년 9억8천만원의 예산을 투입하는 인천 생활정보 인터넷 사이트인 ‘인피아’사업에 참여할 수 있는 길이 막혀있다며 인천 IT업체에 대한 행정적 지원을 요구하고 있다. (사)인천중소정보통신협회는 6일 인천이 IT산업 발전을 위한 독자적 토대를 충분히 갖췄는데도 불구, 시의 IT산업에 대한 지원정책이 지역 특성을 고려하지 않아 인천 IT업계가 초보적 단계에 머무르고 있다고 밝혔다. 이와관련, 협회 관계자는 “시가 생활정보 시스템인 인피아 사업 확장을 위해 지난 5일 입찰을 실시하면서 신생업체가 대부분인 지역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채 자본금·경험 등을 조건으로 제시하는 바람에 인천지역 업체들은 아예 입찰 자격도 얻지 못했다”고 주장했다. 또“인피아 사업에 인천지역 500여 IT업체가 참여할 경우, 자생력은 물론, 우수업체 양성 효과를 거둘 수 있다”며 시에 인피아 사업의 재검토를 요청했다. 이와함께 협회측은 정보통신부 산하 소프트웨어 지원센터가 위치한 주안에 건립을 추진중인 ‘동북아 E-비즈니스센터’에도 시가 부지 발굴·건립자금 지원·각종 행정편의 등 실질적 지원을 해 줄 것을 건의했다. 인천지역 60여개 IT업체가 참여할 예정인 동북아 E-비즈니스센터는 관련 기술과 마케팅·경영 등을 집적, 동북아 정보센터 역할을 수행한다는 목적을 갖고 있다. /유규열기자 newfeel4@kgib.co.kr

중구 영종·용유지역 도시기반시설 부족

인천국제공항 개항을 앞두고 최근 인천시 중구 영종·용유지역에 건축 등 지역개발 붐이 일고 있으나 상·하수 및 도로 등 도시기반시설이 수요를 충족시키지 못해 난개발이 우려되고 있다. 6일 중구에 따르면 지난 92년 말부터 공사에 들어간 인천국제공항의 개항이 임박한데다 지난해 일부 지역의 도시계획이 확정되면서 98년 55건에 불과하던 건축허가 건수가 지난해에는 125건에 이르는등 건축 열기가 고조되고 있다. 그러나 공항지역까지 연결된 상수도의 경우 현재 구읍 선착장 등 2개 지역만이 통수 준비를 하고 있을뿐 나머지 지역은 관 매설이 안돼 지하수나 간이상수도시설을 이용하고 있으며, 하수도 시설도 자연 형성된 구거 등을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 영종·용유지역을 연결하는 23.1㎞에 이르는 기존 회주도로의 경우 왕복 2차선 도로로 대부분 차량의 교행이 어려운 상태이며 공항 관련도로 이외에 가로등 등 교통시설이 턱없이 부족, 해마다 폭주하고 있는 교통 수요를 감당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따라 대부분의 건축물이 도로 인접지역에 우후죽순식으로 들어서고 있으나 기반시설이 제대로 갖춰지지 않아 장마철 폭우시 배수 불량으로 건물 침수 등 재해 발생이 우려되고 있다. 뿐만아니라 향후 도시계획에 따른 도시기반시설 확충시 엄청난 예산 투입이 불가피해 시민들의 세금부담만 가중시킬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이와관련, 구 관계자는 “향후 도시기반시설 공사에 따른 예산 절감을 위해서도 상·하수도 시설의 조기 확충 및 교통시설물의 전반적인 개·보수가 빠른 시일내에 이뤄져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 인치동기자 cdin@kgib.co.kr

인천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