찜질방서 땀 ? 산모 체력 떨어지면 되레 고생

열 달간의 고통을 모두 잊을 만큼 사랑스런 아기 를 얻었지만 축 처진 뱃살과 여기저기 쑤시고 아 픈 몸은 산모를 우울하게 만든다. 자연분만 후 골 인체의 주춧돌인 골반은 벌어지면서 O자형 다리 의 원인이 되고, 뼈 밀도는 물론 피부모발 등 모 든 장기가 부실해진다. 또 출산 여성 중 10명 중 2명은 산후 우울증에 시달린다는 조사 결과도 있 다. 여성의 평생 건강을 좌우할 수 있는 산후조리 기. 이 시기 반드시 알아둬야 할 건강 관리 방법과 유의 사항 등을 소개한다. 열 달간의 고통을 모두 잊을 만큼 사랑스런 아기를 얻었지만 축 처진 뱃살과 여기저기 쑤시고 아픈 몸은 산모를 우울하게 만든다. 자연분만 후 골반은 뼈와 근육이 손상 받고 벌어져서 약해진다. 인체의 주춧돌인 골반은 벌어지면서 O자형 다리의 원인이 되고, 뼈 밀도는 물론 피부모발 등 모든 장기가 부실해진다. 또 출산 여성 중 10명 중 2명은 산후 우울증에 시달린다는 조사 결과도 있다. 여성의 평생 건강을 좌우할 수 있는 산후조리기. 이 시기 반드시 알아둬야 할 건강 관리 방법과 유의 사항 등을 소개한다. ■ 억지로 땀 빼면 탈수부종 등 부작용 우려아이를 낳고 자궁 등 여성의 몸이 원래 상태로 돌아가는 기간인 산욕기. 대개 산후 6~12주를 말하는데, 이 기간 동안 엄마가 조리를 어떻게 하느냐는 엄마의 평생 건강을 좌우한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산후조리를 하는 여성들이 가장 겁먹는 계절은 여름. 전통적으로 산후조리라 하면 뜨듯한 온돌방에서 몸을 꽁꽁 싸매고 땀을 쭉 빼며 푹 쉰다고 생각하는데, 더운 여름엔 그렇게 할 수 없기 때문이다.여름인데도 땀을 빼야 한다는 강력한 믿음으로 두꺼운 내복까지 껴입고 땀을 빼는 산모들이 간혹 있다. 전문가들은 그런 행동은 위험하다고 경고한다. 박승재 쉬즈메디 산부인과 부원장은 보통 사람들도 열대야는 견디기 어렵고, 산모의 경우 분만 직후 일시적으로 체온이 상승할 수 있는데, 이때 내복까지 껴입으면 체온조절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을 수 있다며 자칫하다간 탈수 증상까지 초래하고 땀띠로 고생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뜨거운 방에서 억지로 땀을 흘리면 오히려 산모의 체력을 떨어뜨리고 부종을 심하게 만들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박 부원장은 산모의 몸에 찬 기운이 느껴지지 않을 정도로만 보온을 하면 된다며 통풍이 잘되는 옷을 입고 선풍기나 에어컨을 활용하되 지속적으로 환기를 시켜 적절한 실내 온도(섭씨 26도 정도)를 유지하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단, 선풍기나 에어컨 바람은 직접 쐬는 것을 피해야 한다.■ 몸 차진다 머리도 안감아? 위생도 중요해요산후조리를 한답시고 샤워를 몇주 동안 하지 않고 머리도 감지 않고 양치질도 며칠 동안 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개인 위생은 정서적 안정뿐만 아니라, 의학적으로도 매우 중요하다. 자연분만한 경우 기저귀 때문에 통풍이 제대로 되지 않는데 위생적이지 않은 상태가 유지되면 회음부 절개 부위의 감염이나 질 또는 자궁 감염의 위험이 있을 수 있다. 자연분만한 산모라면 회음절개 부위의 통증을 줄이고 개인 위생을 위해 산후 2주간 하루 1~2회 약 5분간 좌욕을 하도록 한다. 샤워는 너무 차거나 뜨거운 물을 이용하기보다는 따뜻한 물로 씻는 것이 바람직하며, 샤워 뒤엔 물기를 바로 닦아주는 것이 좋다. 차가운 바람을 쐬지 말고 머리카락은 반드시 드라이어로 말린다. 임신을 하게 되면 잇몸이 잘 붓고 피가 나기도 한다. 산후에는 부드러운 칫솔을 이용해 양치질을 해주면 입안의 세균수를 줄여주고 잇몸병과 충치를 예방할 수 있다.■ 튀기고 볶고 짠 음식, 모유에 안좋고 살만 쪄분만 직후 임신 전보다 체중이 늘어나는 여성이 많다. 임신 할 때마다 체중이 늘어나는 경우도 있는데 출산 직후 분만 전 체중을 되찾는 게 중요하다. 몸에 꼭 필요한 영양소를 섭취해 젖이 잘 나오도록 도우며 다이어트에도 효과적인 음식을 섭취하는 게 포인트다. 모유의 질은 단백질에 따라 좌우된다. 고깃국물 등을 통해 단백질의 섭취를 늘린다. 섬유질이 많은 부드러운 야채, 양상추나 미역, 다시마 등을 먹어 변비를 막고 굴, 시금치, 호박, 간, 과일주스, 우유, 물을 많이 섭취하도록 한다. 과자나 케이크, 통조림 등은 산후 건강을 해치면서 다이어트에도 치명적인 식품들이다. 짠 음식도 피하고 간이 부족하다 싶을 정도로 싱겁게 조리해 먹고 또한 같은 음식이라도 튀기거나 볶아서 조리하기보다는 가능한 찌거나 구워서 먹는 게 바람직하다. 출산 후 몸매관리는 운동이 병행돼야 한다. 처음에는 가벼운 체조로 시작하는게 좋은데 배근육을 단련함과 동시에 등근육을 함께 단련시켜야 요통이 생기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손목무릎 쓸때 조심조심 허리엔 체조 좋아출산 후에는 뼈와 관절의 상태가 약해져 손목과 무릎 사용에 주의해야 한다. 걸레를 빨 때는 손목을 이용해 비틀어 짜지 말고 수도꼭지에 걸어 돌려 짜는 것이 좋으며, 특히 수유할 때 아이의 몸무게를 지탱함에 있어 팔과 목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조심한다. 출산 후에 몸매 교정을 위해 복대를 착용하는 산모들이 많은데, 이는 오히려 허리근육에 무리를 줄 수 있다. 때문에 무리하게 복대를 착용하기보다는 출산 후 체조를 통해 몸매를 교정하고 허리근육을 강화시켜야 한다. 문의 (031)231-7300윤철원기자 ycw@ekgib.com

학생인권 강화… 흔들리는 교단

경기도교육청이 학생인권조례를 제정, 시행을 앞두고 있는 가운데 도내 교권침해 사례가 전국 최고 수준인 것으로 드러나면서 조례 시행으로 교권침해가 더욱 심각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더욱이 교사들을 상대로 설문조사를 벌인 결과 응답자의 96.5%가 학생생활지도 및 교육활동에 어려움이 예상된다고 답해, 학생인권조례 시행에 대한 교사들의 반발이 심각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국회 교과위 소속 서상기 의원(한대구북구을)은 11일 열린 경기도교육청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최근 3년간 경기지역에서 일어난 교권침해 건수가 전국 최고 수준이라며 학생인권조례 시행에 앞서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교과부가 서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08년부터 지난 6월까지 도내에서 발생한 교권침해 건수는 모두 254건(2008년 122건, 2009년 116건, 올해 16건)으로 같은 기간 서울을 비롯한 나머지 지역에서 발생한 교권침해 건수를 합한 122건보다 2배 이상 많았다.실제 지난해 8월26일 도내 한 초등학교에서는 수업 중 A학생이 휴대폰의 음악을 틀어 놓고 수업을 방해, 담임교사가 A학생의 책상 위에 있는 휴대폰을 압수하자 욕설을 퍼부으며 교사의 팔, 옆구리, 가슴 등을 의자로 폭행했다.이에 앞서 지난해 6월2일께에도 도내 한 고등학교 현장체험학습 후 귀가하던 중 B군이 타학교 친구 C군을 버스에 같이 태워달라고 요구, 교사가 안전상의 이유로 이를 거부하자 욕설을 퍼부으며 반항했고 이에 교사가 B군의 뺨을 2회 때렸고 차후 B군 부모가 교사를 상해죄로 형사고발하는 사건이 발생했다.이와 함께 서 의원은 이날 한국교총이 최근 일선 교사 432명을 대상으로 체벌 전면 금지 방침에 대한 설문조사를 벌인 결과 96.5%에 해당하는 417명이 학생생활지도 및 교육활동에 어려움이 예상된다고 답했다면서 91.2%는 학교의 질서 및 기강이 무너질 것을 우려하는 등 교사들의 인권조례 시행에 대한 우려가 크다고 설명했다.따라서 서 의원은 학생의 인권은 마땅히 존중돼야 하지만 조례 시행에 앞서 학부모, 교사, 교직원 등의 의견 수렴 절차를 충분하게 거쳐야 하며 점진적으로 추진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박수철유진상기자 scp@ekgib.com

학교장들 부인·자녀 보조교사로

경기지역 16곳의 초중학교 교장이 자신의 부인이나 아들을 시간강사나 보조교사로 채용한 것으로 드러나 파장이 일고 있다.국회 교과위 소속 김유정 의원(민)은 11일 경기도교육청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경기도 일부 학교에서 교장이 서류와 면접만으로 자신의 부인이나 아들 등을 계약직 보조교사로 채용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고 밝혔다.김 의원에 따르면 부천의 Y초교의 교장은 서류와 면접을 통해 자신의 부인과 처조카를 각각 94일과 131일 동안 시간 강사나 기간제 교사로 채용했고 시흥의 O초교는 교장의 며느리를 65일 동안 기간제 보건교사로 근무토록 했다.특히 광명의 A중학교 교장은 지난 3일 서류와 면접으로 자신의 아들을 영어보조교사로 채용, 근무시켰다.채용과정에서 7명이 지원해 5명이 면접대상으로 선정됐는데 면접 당일 4명이 갑자기 불참하고 교장의 아들만 단독으로 면접해 응시, 합격했으며 4명의 불참자 중 3명은 교원자격증을 갖고 있었다고 설명했다.김 의원은 이처럼 교장의 가족을 보조 교사나 기간제 교사로 채용한 학교가 16곳이나 된다고 주장했다.이와 함께 그는 경기지역 교육청과 산하 기관의 5급 이상 간부 482명의 친ㆍ인척 602명이 교육청과 산하기관, 학교 등에 근무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고 역설했다.이들 친인척 602명 중 354명은 임용고사를 통해 교사로, 247명은 제한 경쟁 또는 집필고사 없이 서류와 면접만으로 보조교사나 사무원 등으로 근무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이에 김 의원은 이들 학교는 보조교사 등의 채용에 있어 지원자가 없었다거나 지원율이 매우 저조해 어쩔수 없었다고 밝히고 있지만 적극적으로 대처했다면 그런 일이 없었을 것이라며 정기적 감사 등을 통해 채용과정의 투명성을 높여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박수철유진상기자 scp@ekgib.com

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