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의점 훼미리마트가 지난 1일부터 독자브랜드 CU로 상호를 변경하면서 일부 가맹점주들의 반발이 거세지고 있다. 16일 훼미리마트 가맹점주 등에 따르면 구(舊) 보광훼미리마트는 지난 6월 BGF리테일로 사명을 바꾸고 지난 1일부터 편의점 훼미리마트를 독자브랜드인 CU로 변경하기로 했다. BGF리테일은 지난 6월 기준 7천281개의 점포를 보유하고 있으며 98%이상의 가맹점주들이 CU 변경에 동의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일부 가맹점주들은 본사가 사전협의 없이 일방적으로 브랜드 변경을 통보하고 강압적인 태도로 브랜드 변경을 지시하고 있다며 반발하고 있다. 특히 훼미리마트 브랜드로 점포를 개점한지 얼마 안되는 점주들은 상호 변경으로 인한 브랜드 이미지 저하로 매출 감소를 우려하고 있다. 일부 점주들은 공정거래법 위반에 따른 손해배상청구 소송을 제기를 위한 소송위원회를 구성하는 등 양측간 법적 공방이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된다. 훼미리마트 점주모임 카페에는 본사의 일방적 브랜드 변경에 항의하는 글이 잇따르고 있다. 쌍무계약에 따른 당위적 권리를 주장하는 점주들은 구 보광훼미리마트가 독자 브랜드 변경으로 일본훼미리마트에 지불했던 로열티 비용이 감소하는 만큼 브랜드 변경에 따른 가맹점주들의 손실을 환원해 줘야 한다고 주장했다. 수원의 한 가맹점주는 훼미리마트 브랜드 이미지를 보고 지난해 개점했는데 CU로 상호를 변경해 브랜드 이미지가 떨어져 매출이 감소한다면 이 손실액은 누가 보상해 주냐며 힘없는 가맹점주 입장에서는 본사에 방침을 따라야 하는 현실이 너무 억울하다고 불만을 토로했다. 또 다른 가맹점주는 불만이 있는 업주들에게 충분히 설명하고 설득하는 등의 본사의 진정성 있는 협의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BGF리테일 관계자는 지난달 전국의 가맹점주들에게 세부 변경사항과 계획을 전달하고 충분히 설명이 이뤄졌다며 일부 가맹점주들이 불만을 해결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협의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지난 2005년 GS그룹은 LG그룹에서 분리되면서 1천960여개의 LG25 편의점의 간판을 GS25로 교체하려다 반발하는 일부 가맹점이 소송을 제기하면서 거액의 배상금을 물어줬다. 최원재기자 chwj74@kyeonggi.com
최근 가공 식품 가격이 일제히 오르면서 업계 일부에서 매출 비중이 높은 상품은 올리고 매출이 작은 상품은 내리는 전형적인 꼼수 인상 관행이 고개를 들고있다. 14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롯데칠성음료는 최근 칠성사이다와 펩시콜라 등 주요 제품 10개의 출고가를 일제히 인상했다. 사실상 대부분 제품값을 50원 안팎에서 올렸다. 롯데칠성음료는 그러나 상대적으로 매출 비중이 작은 델몬트 스카시플러스, 데일리C비타민워터 등 6개 품목은 가격을 내렸다. 회사측은 그러면서 이번 가격 조정으로 전체 매출 기준, 인상 효과는 3%로 최소화했다는 설명했다. 시장에서 잘 팔리는 제품의 가격은 올리고, 안 그래도 낮춰파는 제품의 값은 내려 제품가 인상 효과를 최소화하는 착시 효과를 노린 것이다. 다른 업체도 사정은 비슷했다. 농심도 최근 대표 상품인 새우깡의 가격을 900원에서 1천원으로 100원이나 올렸다. 또 매출 비중이 높은 칩포테이토와 수미칩 출고가도 각각 50원, 100원 인상했다. 반면 시장 비중이 미미한 콘스틱과 별따먹자 가격은 60원씩 내렸다. 연평균 매출이 600억~700억원 사이인 새우깡 가격을 10% 넘게 올리면서 매출 규모로는 비교가 안되는 2개 제품 가격을 내린 것이다. 삼양식품도 최근 라면값을 올리며 삼양라면과 수타면 등 대표 제품값만 올렸고, CJ제일제당도 햇반과 다시다 등 일부 제품만 가격을 조정했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한꺼번에 제품 가격을 올릴 경우 체감 효과가 크기 때문에 몇 개 제품값만 올려 균형을 맞추는 것이 일반적인 관행이라고 설명했다. 최원재기자 chwj74@kyeonggi.com
불황에도 올여름 휴가철 해외를 찾은 여행객이 크게 늘어났다. 여행사 하나투어와 모두투어는 여름휴가 성수기인 지난달 25일부터 이달 3일까지 열흘간 업체에서 모집한 국외 여행객 수를 분석한 결과 2년 전에 비해 20% 이상 증가했다고 14일 밝혔다. 이 기간 하나투어를 이용한 외국 방문객 수는 지난 2010년 5만5천600여명에서 올해 6만8천700명으로 23.6% 늘었다. 지역별로는 미주와 동남아 지역이 각각 88.0%와 65.6%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으며 유럽을 찾은 휴가객도 62.6% 많아졌다. 다만 일본으로 떠난 관광객은 지난해 대지진의 영향으로 22.6% 감소했다. 모두투어 역시 2년 새 전체 해외 여행객 모집 수가 21.8% 늘어나는 등 비슷한 모습을 보였다. 동남아와 미주, 유럽 관광객이 88.2%, 64.0%, 27.7%씩 많아지는 등 일본(-49.3%)을 제외한 모든 지역 여행객 수가 증가했다. 업계에서는 최근 수년간 가족단위 외국 여행이 점차 늘어나는 상황에서 특히 올해는 폭염과 런던 올림픽이 겹쳐 이 같은 현상이 생긴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구예리기자 yell@kyeonggi.com
온라인쇼핑몰 8월 1주차 의류 매출을 조사한 결과 재킷점퍼 등 겨울 상품의 매출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롯데닷컴은 8월 1주차 의류 매출 조사 결과 애드 혹 재킷점퍼코트, 에고이스트 폭스퍼 패치 다운점퍼, VOV 롱양가죽재킷 등으로 구성된 겨울 상품이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매출이 8% 가량 늘어 최근 3년간 가장 많은 판매량을 기록했다고 13일 밝혔다. 롯데닷컴의 관계자는 최근 여름에 겨울 상품을 파는 역시즌 마케팅이 활발히 이뤄지고 있기 때문이라며 제 계절에 사는 것보다 싸다는 장점이 있어 소비자들도 좋은 반응을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최원재기자 chwj74@kyeonggi.com
이마트는 14일부터 22일까지 전점에서 언더웨어, 침구, 신발 등 여름상품 가격인하전을 진행, 시즌상품 최대 50% 할인판매를 한다고 13일 밝혔다. 이마트는 최근 폭염과 열대야로 여름상품 매출이 8월까지 신장세로 이어지면서 여름상품 수요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해 평년보다 10일가량 먼저 여름상품 최종처분전을 준비했다. 언더웨어 80개 전 브랜드가 참여하는 언더웨어 여름상품전은 여름 신상품 480만장을 최대 50% 가격인하 하는 것으로, 비비안과 비너스, 황신혜의 팬티와 브라를 3천800원과 9천800원에 준비했다. 여름철 통풍이 잘되는 쿨소재 언더웨어를 최대 50% 인하해 쿨트렁크와 드로즈를 5천800원에, 아동팬티를 1천800원에 초저가로 준비했다. 이와 함께 이마트는 에스쁘리홈, 로렌데코, 러빙홈 등 5개 침구브랜드 여름상품을 최대 50% 할인판매한다. 주요상품으로 러빙홈 리플홑이불을 정상가 1만9천900원에서 50% 할인된 9천900원에, 엠보홑이불을 정상가 1만4천900원에서 33% 할인한 9천900원에 판매한다. 한편 여름 시즌의류도 최종 균일가전을 열고 데이즈 여름 티셔츠, 반바지 등을 5천원/7천원/9천원에 준비했다. 이외에도 샌달, 수영복, 비치타올, 모기장 등 시즌상품을 최대 50% 가격인하해 판매할 예정이다. 이마트 관계자는 올해는 9월까지 무더위가 계속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여름시즌상품 수요가 계속적으로 나타나고 있다며 평년보다 10일가량 일찍 시작하는 여름상품 최종 처분전을 통해 장바구니 부담을 덜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구예리기자 yell@kyeonggi.com
수입 전기면도기와 전동칫솔의 소비자가격이 수입가보다 3배 가까이 비싼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동일한 제품이라도 백화점 등 오프라인 매장보다 온라인쇼핑몰에서 가격이 평균 30% 가량 저렴해 소비자들의 주의가 요구된다. 한국소비자원은 전기면도기 54종과 전동칫솔 14종의 평균 수입가격, 소비자가격, 유통구조, 판매점별 소비자가격 등을 조사한 결과 전기면도기의 소비자가격(부가가치세 제외)은 수입가격의 2.66배, 전동칫솔은 2.71배라고 12일 밝혔다. 수입업체는 전기면도기를 평균 6만841원에 들여온 뒤 중간상인이나 소매업체에 10만2천386원에 넘겼고, 이들은 다시 소비자에게 16만1천947원에 팔았다. 전동칫솔은 수입가격이 평균 3만8천68원, 도매가격은 7만6천996원인데, 소비자가격은 10만3천258원에 달했다. 이처럼 수입면도기와 전동칫솔의 소비자가격이 수입가격과 큰 차이를 보이는 이유는 필립스, 브라운 등 소수의 기업이 유통구조를 장악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와 함께 대형마트, 전문점, 백화점 오프라인 매장과 온라인몰, 오픈마켓 등 판매점별 가격을 비교하면 전기면도기와 전동칫솔 모두 오픈마켓에서 가장 쌌다. 소비자원 관계자는 전기면도기나 전동칫솔은 과점시장이므로 대형유통업체의 참여를 통한 병행수입시장 활성화 등이 필요하다며 소비자들도 가격정보를 꼼꼼히 확인한 뒤 구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구예리기자 yell@kyeonggi.com
두바이유 가격이 5거래일째 상승하는 등 국제 원유 가격이 강세를 보이면서 국내 기름값도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9일 한국석유공사의 유가정보 사이트 오피넷에 따르면 이날 오후 5시 현재 전국 주유소에서 판매 중인 보통 휘발유 평균 가격은 전날보다 2.11원 오른 1천942.74원을 기록했다. 전국주유소 보통휘발유 가격은 지난달 16일 연중 최저치인 1천891.86원을 기록한 뒤 24일째 상승세를 이어가며 50.80원이 올랐다. 보통 휘발유 가격은 올해 4월 넷째주부터 13주 연속 떨어지다가 7월 넷째주 오름세로 돌아선 뒤 지난주에도 상승세를 이어갔으며 국제 유가의 영향으로 정유사가 주유소에 공급하는 가격 역시 4주 연속으로 상승했다. 특히 서울은 지난달 27일 보통 휘발유 평균 가격이 2천원대로 재진입했고 경기지역은 지난달 9일 연중 최저치인 1천901.11원을 기록한 뒤 이날 1천954.30원까지 올라 한달 사이에 53.19원이나 올랐다. 또 인천지역은 지난달 8일 1천895.30원으로 연중 최저치를 기록한 뒤 이날 1천947.30원으로 역시 50원 넘게 오르는 등 기름값이 빠른 속도로 오르고 있다. 8일 거래된 두바이유 가격이 5거래일째 상승해 전날 보다 배럴당 0.86달러 오른 106.87달러에 마감됐다. 이같은 상승 추세로 보면 2~3주내에 보통 휘발유 평균 가격이 2천원대에 진입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도내 주유소업계 관계자는 정유사가 주유소에 공급하는 가격이 상승하면 기름값을 올리지 않을 수 없다며 공급 가격의 추가 인상이 지속될 것으로 보여 조만간 휘발유 평균 가격이 2천원대로 진입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한국석유공사는 유가 예보를 통해 국제 유가가 석유수출국기구(OPEC) 생산량과 미국의 원유 재고 감소 등으로 강세를 보이면서 앞으로 국내 정유사 공급가격이 추가 인상될 전망이라며 당분간 주유소 판매가격은 상승세를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고 내다봤다. 최원재기자 chwj74@kyeonggi.com
폭염때문에 신선 채소 가격이 폭등하고 있다. 8일 농협수원유통센터 등에 따르면 이례적인 고온 현상이 이어지며 신선 채소를 중심으로 채솟값이 큰 폭으로 오르고 있다. 특히 양상추, 백오이, 깻잎 등 가격은 한달전에 비해 100% 이상 폭등해 서민들의 식탁 물가 상승을 부추긴 것으로 나타났다. 농협 하나로클럽 수원점에서 판매하는 양상추 1통은 한달 전 1천50원에서 현재(8일) 4천500원으로 무려 328.6%나 폭등했다. 백오이는 1개 가격이 지난달 990원에서 2천200원으로 122.2% 올랐다. 깻잎은 5묶음 1봉에 600원에서 1천300원으로 116.7% 상승했으며 적상추(100g)도 지난달 350원에서 700원으로 100% 상승했다. 시금치도 한단에 1천250원에서 2천300원으로 84% 올랐다. 이마트도 대파와 열무 한 봉 가격을 지난달보다 각각 26.6%, 19.7% 상승한 2천380원, 2천130원에 판매하고 있다. 롯데마트은 같은 날 기준 상추 1봉(150g) 판매가가 2천원으로, 지난달 1천원에서 딱 두 배로 뛰었다. 얼갈이와 열무 가격은 한 단 기준으로 모두 2천500원에 판매돼 한 달 전보다 68.9% 상승했다. 이처럼 신선 채소 가격이 급등하는 것 관련해 유통업계는 여름철엔 대부분 채소가 제철을 맞아 공급이 크게 늘지만, 올여름엔 이례적인 고온 현상으로 작황이 부진하기 때문으로 풀이했다. 현재 호박 등 과채류도 폭염의 영향으로 공급이 줄어 조만간 가격이 연쇄 상승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업계는 전망했다. 농협수원유통센터 관계자는 폭염이 계속되면서 잎이 시들어 죽는 현상이 일부 엽채류에서 발생해 가격이 큰 폭의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며 고온에 의한 생육장애가 확대되고 있어 8월 하순 이후 채소 출하량이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이선호기자 lshgo@kyeonggi.com
기름값이 20여일 넘게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경기지역 가짜석유 판매가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불법으로 가짜 휘발유와 경유 등을 판매하다 적발된 업체는 258곳에 달하며 이중 경기지역은 57곳에서 124건이 적발됐다. 7일 전하진 의원이 지식경제부로부터 제출받은 지역별 가짜석유 단속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 6월말까지 258개 업소에서 552건이 적발됐다. 지역별로는 경기도가 57곳, 124건으로 가장 많았고 경북이 42곳(66건), 충남 30곳(64건), 전남 24곳(41건), 충북 19곳(44건), 대구 16곳(27건)이 가짜석유를 판매하다 단속에 적발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경기지역은 수도권의 서울 8곳(17건)과 인천 8곳(13건)에 비해 7배가 넘는 업소가 적발돼 가짜석유가 근절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경기지역은 지난 2008년 94개 업체에서 157건이 적발됐으며 2009년 86곳(139건), 2010년 156곳(250건), 지난해 153곳(310건)이 단속에 적발됐다. 운전자 오모씨(38)는 경기지역에 주유소가 많다고 하지만 서울이나 인천에 비해 가짜석유 판매가 유독 많은 이유를 모르겠다며 기름값도 비싼데 가짜석유가 근절되지 않고 있어 기름을 주유할때 마다 정량 정품에 대한 의심이 든다. 가짜석유를 판매하다 적발되면 다시는 관련 업계에서 일할 수 없도록 강력한 처벌을 내려야 한다고 말했다. 최원재기자 chwj74@kyeonggi.com
채소값이 큰 폭으로 오르내리고 있다. 6일 배추 한 포기는 1천600원으로 지난주에 비해 36% 떨어졌고 무도 한 개에 1천350원으로 22.9%의 하락률을 보였다. 반면 시금치와 양파는 각각 27.8%, 25.7% 올랐고 대파는 한 단에 2천650원으로 일주일만에 가격이 82.8% 급등했다. 수박과 참외도 값이 올라, 수박(8㎏/통)은 45.5% 오른 2만4천원에, 참외(2㎏/박스)는 50.8% 오른 9천800원에 판매되고 있다. 축산물과 수산물은 비교적 가격 안정세를 보였다. 구예리기자 yell@kyeonggi.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