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요금 하늘높이 뛰고 서민들 펄쩍 뛰고

오르라는 월급은 제자리인데, 생활비는 계속 오르고 있어 죽을 맛입니다 두 딸을 키우는 가장이자 부모님을 모시고 사는 직장인 K씨(44평택)는 요새 그 좋아하던 술자리도 끊었다. 남들이 알 만한 대기업에서 일하고 있지만 홀로 여섯 식구를 책임진 가장인 만큼 최근 심상치 않은 생활비 인상에 허리띠를 졸라매기로 했다. 만만치 않은 아이들 교육비에 대출비, 교통비, 생활비 등을 모두 감당하는데도 힘겨운데 시내버스 요금 등 공공요금도 줄줄이 인상되고 있기 때문이다. 3일 통계청 등에 따르면 5월 소비자물가는 지난해 동기대비 2.5% 올랐으며, 지난 3월 이후 3개월 연속 2%에 멈췄다. 하지만, 지역난방비 등 공공요금이 줄줄이 인상되거나 인상이 예고되면서 가뜩이나 허리띠를 졸라맨 서민들이 울상을 짓고 있다. 이미 지난 1일부터 지역난방요금이 평균 6.5% 인상됐으며, 전기요금도 인상 폭을 놓고 지식경제부와 재정부 간 협의가 진행 중이지만 인상은 기정 사실화되고 있다. 고유가에 따른 액화천연가스(LNG) 등 원자재 값 상승을 반영한 결과다. 앞서 LPG 가스 공급사들은 이달 들어 1㎥당 가격을 평균 49.8원 올렸다. 이에 따라 지역난방 아파트 전용면적 85㎡ 세대는 월평균 4천300원 정도를 내달부터 더 내야 한다. 또 경기지역 시내버스 중 일반형 버스 요금이 이달 16일부터 10%씩 인상, 일반인의 경우 100원이 오른게 된다. 통계청 관계자는 전기요금 등 공공요금이 인상되면 소비자물가도 덩달아 상승하는 등 생활비도 줄줄이 오를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안영국기자 ang@kyeonggi.com

대형마트 의무휴업 한달… 과연 효과는?

백화점쇼핑센터 등 휴무 제외 시장차원 홍보 부족매출 답보 수원, 성남 등 경기지역 일부 지자체가 대형마트 의무휴업에 돌입한 지 한 달이 지났지만, 전통시장의 매출액에 대한 변화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3일 경기도에 따르면 수원, 성남, 부천 등의 지자체가 매월 둘째넷째 주 일요일을 대형마트 의무휴업일로 삼고 4월22일 첫 강제휴무를 시행한 가운데 지난달부터 안양, 안산 등 7개 지자체가 동참하는 등 경기지역 10여개 지자체에서 의무휴무를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홍보가 부족한데다 대형마트를 제외한 쇼핑센터, 백화점 등은 강제휴무에서 제외되면서 시장 매출이 늘지 않은 등 전통시장 활성화라는 본래 취지가 무색해 지고 있다. 성남지역 전통시장에서 과일가게를 운영하는 K씨(47여)는 대형마트 의무휴업으로 인한 효과를 전혀 체감하지 못하고 있다. 인근의 쇼핑센터가 휴무일 없이 운영하는데다, 시장 차원의 홍보도 벌이지 않으면서 손님이 늘지 않았기 때문이다. K씨는 대형마트가 매달 두 번 쉰다는데 대형마트나 다를 바 없는 쇼핑센터가 그대로 영업하니 매출이 늘리가 있느냐며 혀를 찼다. 수원의 한 전통시장에서 25년째 건어물상을 운영 중인 A씨(64)도 일 평균 10만원 안팎의 매출액이 지난 한 달간 전혀 늘지 않은 실정이다. 이처럼 상인들은 대형마트 의무휴업에 따른 효과가 없다는 지적이지만 시장별 매출액 변화조차 제대로 집계되지 않으면서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한 뾰족한 대안이 없는 형편이다. 신근식 성남 중앙시장 상인연합회 부회장은 대형마트 뿐 아니라 쇼핑센터 등 규제대상을 늘려 의무휴업에 대한 효과를 극대화하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며 시장의 매출액 집계, 시장 간 네트워크 형성, 홍보 등 자구노력을 펼칠 수 있는 여건도 마련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성보경기자 boccum@kyeonggi.com

커피전문점에 ‘흥’이 사라졌다?

30일 오후 1시 수원의 A커피 전문점은 손님들로 매장이 꽉 차있었지만 평소와 달리 배경음악 소리가 전혀 들리지 않았다. 최근 커피 전문 프랜차이즈 업체인 스타벅스가 매장에서 사용한 배경음악에 대해 대법원이 저작권 침해라고 최종 판결을 확정하면서 경기지역 일부 커피 전문점들이 매장내 배경음악 사용을 자제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날 커피 전문점을 찾은 일부 고객들은 커피 전문점에서 배경음악이 없으면 앙금없는 진빵과 다를게 없다며 불만을 쏟아내기도 했다. 대법원 2부는 지난 10일 한국음악저작권협회가 협회에 저작권이 있는 배경음악 사용을 금지해 달라며 주식회사 스타벅스 코리아를 상대로 낸 소송에서 원고 일부 승소 판결한 원심을 확정했다. 재판부는 저작권법은 판매용 음반의 경우 저작권자의 공연권을 제한해 공중을 대상으로 재생할 수 있도록 하고 있지만, 스타벅스 측이 재생한 문제의 매장 배경음악용 CD는 판매용 음반이 아니어서 저작권을 침해한다고 밝혔다. 스타벅스는 각 매장에 저작권 소송이 제기됐던 마이 걸 등 배경음악 사용을 중지하도록 하고 저작권료를 내지 않도록 예외규정에 있는 판매용 음반을 사용하도록 했다. 이와 함께 카페베네는 한국음악저작권협회와 배경음악 저작권과 관련해 협의를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경기지역 일부 커피 전문점들은 대형 커피 프랜차이즈와 저작권협회의 협의 결과에 주목하면서 배경음악을 사용하지 않거나 음악 소리를 최대한 낮추는 등 이번 대법원 판결에 신중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실제 이날 수원시 인계동의 B커피 전문점은 배경음악을 틀고 있었으나 가사도 들리지 않을 정도의 작은 소리로 음악을 틀고 있었으며 매산동 C커피전문점은 아예 배경음악을 사용하지 않고 있었다. 프랜차이즈 B커피전문점 종업원 이모씨(24)는 본사에서 배경음악 사용과 관련해 구체적인 방침이나 지침이 내려온 것은 아니지만 이번 판결로 배경음악 사용에 매장 내부적으로 신경을 많이 쓰고 있다며 각 매장에서는 배경음악 사용과 관련한 명확한 규정이나 방침을 알지 못해 아무 음악이나 무턱대고 사용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한편 지난 2008년 저작권협회는 스타벅스가 10여년 간 전국 매장에서 마이 걸 등을 배경 음악으로 틀면서 사용료를 지급하지 않았다고 소송을 제기했다. 최원재기자 chwj74@kyeonggi.com

한 해 소득 겨우 400만원… 농민의 한숨

소작농, 비싼 임대료에 재료비인건비 껑충한해 쥐꼬리 수입 농가 상위 20%, 하위 20%의 12.1배 소득부익부빈익빈 심화 여주에서 1만3천여㎡(4천여평) 땅에 콩과 논농사를 짓는 농민 P씨(56)는 연간 순이익 400만원을 채 올리지 못하고 있다. 3년 전 현재의 10배 규모로 농사를 지어온 P씨는 토지 임대료를 비롯해 재료비, 인건비 등 각종 비용부담을 견디지 못하고 농사규모를 줄였지만, 어렵기는 마찬가지다. 3.3㎡ 당 1천300원 안팎의 임대료 부담을 줄이려 농기계가 들어갈 수 없는 땅을 얻으면서 임대료를 절반 가까이 줄이고 외부 인력은 전혀 쓰지 않고 있음에도 월 100만원을 벌어들이지 못하기 때문. 결국, P씨는 지난해부터 오전과 저녁에만 농사를 짓고 낮에는 농약 판매를 하면서 생계를 이어가고 있다. P씨는 농촌에서 돈을 벌려면 규모가 크거나 자기 땅이 있거나 자본금이 풍부해 시설을 지어야 하는데 이런 사람이 얼마나 되겠느냐며 20년 농사지어도 영세농은 결국 빚더미에 앉아 다른 일을 찾아다녀야 하는 실정으로, 농사짓기가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다고 말했다. 반면 남양주에서 채소 유통법인을 만들어 농사짓는 S씨(60)는 지난해 200억원 이상의 매출을 올리며 20억원의 순이익을 벌어들였다. 자본금을 바탕으로 유통업을 시작했고 물량을 두루 확보하면서 고소득을 올린 것. S씨는 올해 재투자를 통해 순이익을 늘릴 방침이다. 이처럼 농촌사회의 양극화가 갈수록 심해지면서 상하위 소득격차가 12배를 넘어선 등 농가의 부익부 빈익빈이 심각한 실정이다. 30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2010년 농가소득 상위 20% 계층의 연평균 소득은 8천7만4천원으로 하위 20% 계층의 연평균 소득 662만원의 12.1배에 달하면서 2005년 9.6배보다 크게 증가했다. 특히 같은 해 도시가구의 소득격차가 5.8배에 그치면서 농가의 소득계층 간 양극화가 상대적으로 더욱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농업계는 규모의 경제에 기반을 두고 대규모 및 최첨단 농가 위주의 정책을 펴면서 농가의 양극화가 심화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전국농민회총연맹 경기도연맹 관계자는 갈수록 고령농, 소농 등의 영세농민이 농사할 수 있는 기반을 잃어가는 상황이라며 반값비료값, 반값농기계 등 소농지원정책이 따로 있어야 하지만 농업 죽이기 정책을 펴는 마당에 이는 언감생심인 형편이라고 말했다. 성보경기자 boccum@kyeonggi.com

AK PLAZA 수원점, ‘애경 창립 58주년’ 통큰이벤트 쏜다

AK PLAZA 수원점이 백화점 모기업인 애경그룹 창립 58주년을 맞아 다음달 6일까지 다채롭고 풍성한 프로모션과 이벤트를 진행한다. AK프라자 수원점에 따르면 5층 사은데스크에서는 다음달 6일까지 백화점 회원카드인 AK카드로 20만원 이상 구매시에는 1만원 상품권이나 유니맥스 벽걸이겸용 미니선풍기 중 택일해 증정하며, 40/60/100/200만원 이상 구매 고객에게는 2/3/5/10만원 상품권을 증정한다. 화장품 상품군의 경우 AK카드로 15/30/60/100만원 이상 구매고객에게 1/2/4/7만원 상품권을 증정한다. 이외에 KB카드, 현대카드, 신한카드 등 각종 카드혜택도 있다. 다양한 사은행사와 함께 풍성한 이벤트도 함께 진행된다. 2012년 런던 올림픽을 맞아 다음달 1일부터 14일까지 2주간 백화점 구매고객 대상으로 올림픽 개최지인 런던 여행권(1명, 동반1인포함)과 유로2012 우수국 여행권(1명, 동반1인 포함) 및 2012 프로야구 관람권을 총1천명(1인2매)에게 증정하는 다이나믹 모션 경품이벤트가 열릴 예정이다. 할인행사도 풍성하다. 버버리(30~20%), 코치(40%), 마크바이마크제이콥스(20%일부 품목 제외), 에트로(40~30%), 발리(40~20%) 등 해외명품브랜드가 세일에 들어가며 MCM/제이에스티나/훌라 등 유명핸드백도 30~20% 할인된다(일부품목 제외). 이벤트홀에서는 영패션 그룹 대전, 휠라코리아 여름패션 대전, 아동 쿨맥스&크록스 페스티발 등이 열려 저렴한 가격에 여름상품을 구매할 수 있다. 이와 함께 다음달 3일까지는 56층에서 가구가전 박람회를 진행한다. 5층에서는 진열 가전 특가상품전 및 유명 브랜드 침대 특집전을, 6층에서는 프리미엄 소파 및 식탁 제안전이 열려 다우닝 오로라 3인소파 135만원, 에이스 침대 180만7천원, 시몬스 123만2천원 등에 판매한다. 윤달이 끝나고 웨딩시즌을 맞아 진행되는 이번 박람회는 혼수로 고민하는 예비 부부들과 경기지역 신규입주 예정 고객의 고민을 덜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프리미엄 가전 혼수상품 제안전에서는 LG전자와 삼성전자 등 대형가전을 보다 실속있게 구매할 수 있다. LG 시네마3D스마트TV(47형) 227만원, 디오스 냉장고(870L)253만원, TROMM 세탁기(16㎏) 159만원, 삼성 3D 스마트TV(46형)301만원 등 인기상품을 다양한 사은품과 함께 선보인다. 구예리기자 yell@kyeonggi.com

날씨 덥더니… 대파로 널뛰기할 지경

올 초 폭락했던 대파값이 최근 전달보다 두배 가까이 오르는 등 큰 폭으로 요동치고 있다. 29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와 농협수원유통센터 등에 따르면 이날 대파 평균 도매가격은 1천780원(1㎏상품)으로 지난달 평균 1천400원에 비해 25.4% 상승했다. 지난해 5월 1천34원이었던 것과 비교하면 무려 72.1%나 오른 것이다. 소매가격의 경우 농협수원유통센터를 기준으로 지난달 30일 한단에 1천200원이었던 대파는 이날 2천300원까지 오르면서 무려 91.7%의 급등세를 보이고 있다. 이는 전월 대비 91.7%, 전년 대비 79.7% 상승한 가격이다. 올 초 파 한단 값이 1천100원대로 떨어지면서 산지에서 파를 폐기하고 파 소비 촉진운동을 벌였던 것과는 대조적이다. 올 초 가격 하락 현상은 지난해 대파 값이 큰 폭으로 올라 산지에서 파 재배면적을 크게 늘렸고 출하량이 많아진 데 따른 것이었다. 그럼에도 이처럼 최근 들어 파 값이 크게 오른 것은 예년보다 더운 봄 날씨 탓이다. 날씨에 민감한 파는 기온이 오르면 생육이 더디게 진행되는데 4~5월 이른 더위가 시작되면서 생산량이 급감한 것이다. 하지만 이처럼 짧은 기간 내에 파값이 큰 폭으로 등락을 거듭하는 것은 정부의 수급 조절에도 착오가 있었던 것이 아니냐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농협수원유통센터 관계자는 지난달 초에는 자체 행사로 파 한단을 990원에 팔기도 했는데 파값이 하늘 높은 줄 모르고 치솟고 있다며 수요에 비해 물량이 많이 달리는 상태라고 말했다. 구예리기자 yell@kyeonggi.com

왕년에 금값, 요즘은 X값… 배추의 몰락

물가안정을 이유로 정부가 중국배추를 긴급수입한 지 한 달 만에 배추값이 하락세를 이어가면서 배추값 폭락이 우려되고 있다. 27일 경기지역 농수산물도매시장에 따르면 올해 봄 배추 작황이 좋고 노지배추가 본격적인 출하를 앞둔 가운데 이달 들어 얼갈이열무알타리 등 배추 대체작물이 생산되기 시작하면서 배추값이 큰 폭으로 하락, 한 달 만에 절반 가까이 떨어졌다. 구리농수산물도매시장에서 지난 25일 거래된 상급 배추 10kg 한 망(3포기)의 도매가는 전주보다 1천500원 가까이 떨어진 2천280원으로 지난달 25일 도매가 1만원의 3분의 1 가격으로 뚝 내려가면서 내림세를 지속하고 있다. 수원농수산물도매시장도 상황은 마찬가지로 지난주 평균 배추값이 10kg 한 망에 5천300원을 기록해 전주 7천200원에 비해 2천원 가까이 떨어졌다. 얼갈이와 열무가 4kg에 각각 3천100원, 4천800원에 거래된 점을 고려하면 배추의 kg당 가격은 얼갈이 등에도 못 미치는 실정이다. 수원농수산물도매시장 한 관계자는 배추값이 지난주 내내 5천원대에 머무른 형편이라며 날씨가 더워질수록 배추보다는 열무 등의 소비가 늘어나므로 가격 하락이 지속하지 않을까 걱정된다고 말했다. 이에 더해 앞으로 시설봄배추와 노지배추가 본격적인 출하를 앞두고 있는데다 배추 대체작물까지 꾸준히 생산돼 배추값 폭락이 우려되고 있다. 지난해 5월의 경우 배추값 폭락에 따라 10kg 한 망이 1천원대로 떨어지면서 kg당 배추가격은 150 원 안팎까지 내려갔다. 한국농업유통법인중앙연합회 관계자는 앞으로 수주 간 각종 배추가 출하될 예정이어서 지난해와 같은 가격폭락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한편 정부는 올 봄 배추 도매가 상승이 우려된다며 중국배추를 2천t을 수입하기로 했지만 지난달 들여온 900t 중 일부에서 외래해충이 발견됨에 따라 배추 수입을 중단한 상태다. 성보경기자 boccum@kyeonggi.com

학생이 줄어드니 우유도 말라간다

학생 수 감소 등으로 학교 급식을 통해 지급되는 우유량이 갈수록 줄어들면서 낙농산업 위축이 우려되고 있다. 24일 낙농진흥회에 따르면 지난해 학교우유급식에 사용한 원유량은 14만2천t으로 2009년 14만8천t, 2010년14만7천t에 이어 3년 연속 감소했다. 우유급식률은 비슷하거나 오히려 늘었음에도, 학생 수가 점차 감소함에 따라 우유급식 원유량이 줄어들고 있는 것. 실제 지난해 전국 평균 우유급식률은 52.1%로 전년도 51.8%보다 0.3% 늘어났다. 그러나 2010년 726만명에 이르던 초중고교생이 한 해 만에 25만명 가까이 감소했고, 급식학생 수는 2010년 376만여명보다 10만명 이상 줄어든 365만여명으로 나타났다. 경기지역도 지난해 초중고교 및 특수학교 학생 수가 175만4천여명으로 전년도 179만5천여명보다 4만명 이상이 감소, 우유급식 학생 수 역시 101만6천여명에서 98만9천여명으로 3만명 가까이 줄었다. 특히 경기지역 중고교의 지난해 우유급식률은 각각 39.9%, 19.9%에 그치는 등 중고생의 우유급식이 활발히 이뤄지지 않으면서 학교우유급식 사업이 위축되고 있는 형편이다. 실제 화성의 A 우유급식소는 우유를 보급하는 40여개 학교 중 80% 이상이 초등학교로, 중고등학교에서 우유급식을 기피하면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 50여개 학교에 우유를 납품하는 성남의 B 우유급식소도 최근 몇년 사이 납품 물량이 20~30% 감소했다. 우유급식소 한 관계자는 중고교의 경우 학교에서 우유급식을 하지 않음에 따라 아예 보급이 되지 않는 곳도 있다며 학교 납품물량이 줄고 있어 걱정이라고 말했다. 이처럼 학교우유급식이 줄어들면서 낙농산업이 타격을 입을 것으로 우려됨에 따라 학교의 적극적인 우유급식 및 무상급식 확대에 대한 요구가 일고 있다. 낙농진흥회 관계자는 학교 우유급식은 국내 백색시유 하루 소비량의 20% 이상을 차지하는데다 원유 생산량의 14.5%를 소비하는 주 소비처라 학교우유급식이 줄어들면 낙농산업도 위축될 수밖에 없다며 교육청 및 지자체가 적극적으로 나서 무상 우유급식을 시행하고, 학교급식률을 높여야 한다고 말했다. 성보경기자 boccum@kyeonggi.com

경제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