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돋보기] 스토리 자원전쟁의 시대

서유기, 삼국지, 신드바드,슈퍼맨,토토로,신데렐라,해리포터 . 이들의 공통점은 무엇일까? 바로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전 세계 사람들의 사랑을 받는 원작(原作)이라는 것이다. 3세기 무렵 쓰인 진수(陳壽)의 역사서 삼국지는 14세기 나관중(羅貫中)에 의해 역사소설로 재탄생한 후 현재까지도 큰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있다. 에너지나 광물에만 자원전쟁이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이제 스토리 산업의 금맥인 원작이나 문화원형을 찾은 스토리 마이닝(story mining)'에서도 치열한 자원전쟁이 벌어지고 있다. 할리우드의 스토리텔러들은 모든 인류가 감동공유할 수 있는 이야기를 싼값에 발굴하여 커다란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재능으로 정평이 나있다. 공전의 히트를 기록한 디즈니 애니메이션 뮬란, 알라딘, 포카혼타스는 각각 중국, 아라비아, 인디언의 정서와 문화에 바탕한 스토리를 담고 있다. 쿵푸 팬더 또한 중국 특유의 무술 수련을 배경으로 이야기를 전개함으로써 큰 성공을 거두었다. 문화원형은 스토리 산업의 원석이다. 이 원형이 버무려져 다양한 스토리가 탄생된다. 스토리 산업은 평범한 상품이나 서비스에 상상력과 스토리를 집어넣어서 훨씬 재미있고, 훌륭한 서비스로 재탄생시키고 있다. 과거 애플 컴퓨터에서 쫓겨난 스티브 잡스는 스토리 회사인 픽사(Pixar)를 세워 토이 스토리를 성공시키며, 다시 애플 컴퓨터에 복귀하였다. 그 후 그는 회사 이름에서 컴퓨터라는 글자를 떼어내고 기술과 감성을 결합한 회사 애플로 변화시킴으로써 초일류 기업으로 올려놓는다. 세계인들이 공감하고 있는 우리의 원작은 무엇이 있을까? 딱히 머릿속에 떠오르는 원작이 없지만, 국내에서도 최근 우리 역사와 전통문화를 소재로 한 콘텐츠가 영화나 드라마에서 크게 성공하면서 새로운 문화자원으로 부각되고 있다. 영화 왕의 남자, 혈의 누 이후 TV드라마 대장금, 궁, 뿌리깊은 나무 등 우리 문화원형과 스토리텔링을 조화한 작품들이 대중들에게 사랑받으며 시대극 열풍을 불러오기도 했다. 아직은 초보적 단계이지만 지자체에서도 문화원형을 탐구 발굴하여 문화산업으로 키우기 위한 노력이 전개되고 있다. 탐라문화연구소는 제주 신화에서 돼지 한 마리를 모두 먹었다는 식신(食神) 궤네깃또를 캐릭터로 재탄생시켰다. 궤네깃또가 제주의 전통음식을 먹고 힘을 내 문제를 해결한다는 내용으로, 제주의 음식문화와 신화를 연결하는 스토리를 개발해 영상화 사업으로 추진한다고 한다. 마치 시금치를 먹고 힘을 내 악당을 물리치는 뽀빠이와 같다고 할까? 문화원형의 발굴과 창작 콘텐츠화는 장기적 투자와 전략이 수반되는 국가적 과제이기도 하다. 경기콘텐츠진흥원과 경기문화재단이 공동으로, 경기도에 산재한 문화원형의 금맥을 찾아 이야기 산업의 소재를 발굴하고 이를 창작화하는 것을 지원하려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문화원형은 우리 고유의 역사와 문화를 현대적 감각에 맞춰, 또 전 세계가 공유할 수 있는 콘텐츠로 가공할 수 있는 무한한 보고이기 때문이다. 성열홍 경기콘텐츠진흥원장

현대경제연구원, 개성공단 착공 9년…“U-turn to 로 키워야”

개성공단 착공 9주년을 맞아 개성공단을 유턴특구 (U-turn to )로 지정해야 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현대경제연구원은 29일 경제주평 U-turn to 개성공단 보고서를 통해 중국ㆍ베트남 등지에서 다시 돌아오는(유턴) 중소 제조업체를 위해 개성공단을 유턴특구로 발전시킬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달 30일 착공 9주년을 맞는 개성공단은 4월 말 현재 123개 기업이 입주해 5만여 명의 북측 근로자를 고용하고 있다. 공단의 지난해 생산액은 4억 달러 정도다. 연구원에 따르면 개성공단의 입지조건은 중국ㆍ동남아 공단과 비교해 객관적으로 앞선다. 올해 기준 개성공단 노동자의 월 최저임금은 월 63.8달러로 중국 청도공단의 33%, 베트남 딴뚜언공단의 67%에 불과하다. 토지 가격은 ㎡당 39달러 수준으로 청도(100~200달러), 딴뚜언(200~260달러)보다 현저히 낮다. 노동자들과 언어가 통한다는 점, 최근 중국ㆍ베트남이 외국인 기업에 대한 우대 제도를 폐지한 점도 개성공단의 비교 우위를 대폭 높였다는 것이 이 연구원의 설명이다. 이해정 선임연구원은 코트라(KOTRA) 조사 결과 중국 진출 240개 기업 중 12.5%가 유턴 의향이 있다고 답하는 등 비용상승으로 중국동남아 등지에서 돌아오려는 기업이 많은 만큼 개성공단을 유턴특구로 지정해 이들을 유치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이 선임연구원은 경제논리에 따른 남북경협 추진과 함께 정치적 불안정이 부정적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남북 당국의 강력한 개발 의지가 요구된다고 덧붙였다. [최원재기자 chwj74@kyeonggi.com]

화물연대 운송료 협상 타결... 업무복귀 투표 실시

화물연대는 컨테이너운송사업자협의회(CTCA)가 제시한 운송료 인상안에 합의했다고 29일 밝혔다. 이날 화물연대 관계자는 CTCA가 운송료 인상과 관련해 9.9%의 최종안을 제시했다며 화물연대는 오전 11시30분부터 지부별 조합원 총투표를 실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찬반투표에서 최종안이 가결되면 파업은 사실상 종료 절차를 밟는다. 화물연대 관계자는 지부별로 최종안에 대해 오후 2시까지 가부를 묻는 투표를 한다며 과반을 넘어 가결되면 업무에 복귀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컨테이너운송사업자협의회는 대기업 등 화주들로부터 물량을 받아 컨테이너 차량에 물량을 주는 사업체들의 협의회로, 한진, 대한통운 등 15개 물류업체를 회원사로 두고 있다. 화물연대와 협의회는 28일 오후 3시 서울 서초구 방배동 화련회관에서 끝장 협상을 시작, 29일 오전 11시 최종안을 투표에 부치기까지 20시간의 마라톤협상을 진행했다. 지난 27일 1차 협상에서 30% 인상안을 제시했던 화물연대는 2차 협상에서 23% 수정안을 제시했고 4~5%를 고수하던 협의회는 6%를 제시했다. 이후 양측은 정회와 속개를 반복하며 간극을 좁혀 나갔다. 화물연대 각 지부가 최종안을 가결하면 양측은 협상 테이블에서 다시 만나 최종 합의안을 도출하게 된다. 국토해양부는 최종 합의안이 도출되면 파업 해결과 관련해 공식 브리핑을 할 예정이다. 운송업계 관계자는 컨테이너 운송 부문이 화물연대의 주축을 이루는 만큼 협의회와의 타결이 다른 사업장에서의 협상에서 기준점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러나 기대에 못 미치는 운송료 인상안에 불만을 가진 화물연대 각 지부가 최종안을 부결할 수도 있어 막판 업무복귀가 이뤄지지 않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이호준기자 hojun@kyeonggi.com

“메마른 논에 대체작물 심으세요”

지속적인 가뭄으로 모내기를 망친 논에 콩, 팥 등 대체 작물을 심을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고 있다. 28일 경기도와 경기도농업기술원에 따르면 현재 도내 물이 부족해 모내기를 아직 못 했거나 모가 말라죽는 등 피해를 입은 논은 화성 166㏊, 파주 34㏊ 등 총 267㏊에 이른다. 도는 현재 피해 지역에 간이양수장을 설치하는 등 긴급 용수를 조달하고 굴삭기, 양수기, 급수차 등 장비와 인력을 총 동원하고 있지만 모내기를 다시 하기에는 어려운 상황이다. 이에 도와 농기원은 가뭄이 지속될 경우를 대비해 가뭄의 영향을 상대적으로 적게 받는 콩, 팥, 녹두 등 대체작물을 피해 논에 재배할 수 있도록 준비 중이다. 농기원은 콩의 경우 다음달 중순, 팥과 녹두, 사료용 수수, 열무와 얼갈이 배추는 다음달 하순, 가을감자는 다음달 말일까지 파종을 할 수 있는 한계 시기로 보고 있다. 이에 따라 종자관리소에 비축해 둔 해당 종자를 확보 중이며 다른 시도에서 종자를 구할 수 있는지도 파악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경기도농업기술원 관계자는 가뭄으로 모내기에 실패한 논에 최대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 물이 적게 들어가고 여름에 심을 수 있는 대체작물을 심으려는 것이라며 일단 이번 주말 비 예보가 있기 때문에 다음달 초까지 상황을 지켜본 뒤 늦지 않게 대체작물을 심을 수 있도록 농가 지도에 나설 예정이라고 말했다. 구예리기자 yell@kyeonggi.com

“벼 타들어가는데 재해보험 가능하나요?”

화성시 벼 재배 농민 A씨는 최근 모내기 한 논에서 가뭄 피해가 발생하자 다급히 농작물재해보험에 가입하려 했다. 그러나 재해보험 가입기간이 끝난데다 이미 피해가 발생한 작물의 경우 재해보험 가입이 불가하다는 지역농협 관계자의 답변을 듣고 망연자실하고 있다. 이미 피해입어 가입못해 NH 경기총국 가입 마감 작년보다 128%나 늘어 평택지역 쌀 전업농 B씨도 모내기한 논바닥이 가뭄으로 갈라지면서 재해보험 가입을 신청하려 했지만 가입기간이 마감돼 애간장을 태우고 있다. 이처럼 104년만의 가뭄이 지속되면서 지역농협 등에 뒤늦게 농작물재해보험 가입문의가 잇따르는 등 가뭄으로 인해 농작물재해보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28일 NH농협손해보험 경기지역총국에 따르면 지난 22일 벼 농작물재해보험 가입을 마감한 결과 가입건수는 1천892건, 가입면적은 3천162만3천852㎡로 나타났다. 지난해 벼 농작물재해보험 가입건수 1천477건, 가입면적 2천406㎡와 비교했을 때보다 각각 128%, 131.4% 급증한 수치다. 특히 올해는 극심한 가뭄이 발생하면서 재해보험 가입이 늘었다는 게 농협손해보험의 분석이다. 농협손해보험 경기지역총국 관계자는 일부 가뭄 피해 농가에서 뒤늦게 가입을 요구하는 경우도 있는데 안타깝지만 이미 피해를 입은 농작물은 가입이 어렵다며 이상기후로 인한 피해가 빈번한 만큼 미리 재해보험에 가입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선호기자 lshgo@kyeonggi.com

‘돼지질병방제 피드백 사업’ 효과 톡톡

경기도축산위생연구소가 도내 양돈농가들의 생산성 향상을 위해 시행중인 돼지질병방제 피드백사업이 큰 효과를 거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경기도축산위생연구소에 따르면 돼지질병방제 피드백 사업은 양돈 농가에 가장 큰 피해를 주고 있는 돼지소모성질병을 줄이기 위한 사업으로, 연구소는 돼지의 혈액을 검사해 질병이 있는지를 미리 알려줘 대비토록 하고 있다. 연구소는 2007년 98개 농가를 대상으로 사업을 시작해 현재 120개 농가로 확대했으며, 사업에 참가한 양돈농가들의 모돈 1두당 연간 출하 두수는 평균 19두로 시행 전인 14.5두보다 4.5두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19두는 축산선진국 덴마크의 출하 두수 20두에 근접한 것으로 모돈 200두를 보유하고 있는 농가의 경우 연간 약 2억6천만원의 소득이 향상된 것이다. 또 농가를 대상으로 실시한 만족도 조사에서도 97.2%의 높은 만족도를 기록했다. 경기도축산위생연구소 관계자는 돼지소모성질병은 젖 뗀 돼지가 서서히 죽어가는 질병으로 농가에 큰 걱정거리였다며 피드백사업의 효과가 입증된 만큼 G-마크브랜드 가입농가뿐 아니라 소규모 영세농가까지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해 사업을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호준기자 hojun@kyeonggi.com

경제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