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사판 ‘먼지 지옥’ 여기에서 수업을…

인천의 한 초등학교 학생들이 공사장과 다름없는 먼지구덩이 교실에서 개학을 맞아 학부모의 반발이 거세지고 있다. 4일 인천 서부교육지원청에 따르면 계양구 H 초교는 현재 학교 내진보강 공사가 한창이다. 내진보강 공사는 겨울방학 기간인 지난달 초께 착공, 이달 말께 완공할 계획이다. 개학을 하루 앞둔 지난 2일 교실을 청소하고자 학교를 방문한 학부모들은 공사장과 다름없는 학교 모습에 매우 놀랐다. 타일공사 등 일부 공사가 마무리되지 않은 채 공사 잔해 등이 복도 등에 아무렇게나 널브러져 있었기 때문이다. 개학 당일에도 학생들이 복도에서 걸을 때마다 바닥공사가 이뤄지지 않은 탓에 먼지가 풀풀 날리는 등 학생들은 먼지구덩이 속에서 수업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내부 공사는 애초부터 이달 말까지 계획된 공사였던 것으로 밝혀져 학부모들의 비난을 사고 있다. 공사가 마무리되지 않은 상태에서 최소한의 청소조차 제대로 하지 않은 채 개학을 맞아 아이들을 먼지구덩이 속으로 밀어 넣었기 때문이다. 한 학부모는 지금 아이들은 위험천만한 공사장에서 공부하고 있는 것과 마찬가지라며 학교와 서부교육청은 도대체 무슨 생각으로 엉망진창으로 변한 학교에서 개학을 맞도록 내버려뒀는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서부교육청 관계자는 개학을 앞둔 상태에서 공사현장과 다름 없이 학교를 방치한 부분은 분명히 잘못한 일이 맞다며 학교 관계자, 학부모 등과 이 사안에 대해 긴급회의를 열어 복도에 먼지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천을 까는 등 다양한 개선안을 논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민기자 suein84@kyeonggi.com

인천 교육청, 맞춤형 설계ㆍ 체계적 지원 ‘진로교육’ 강화

인천시교육청은 학생들의 자기주도적 진로개발 능력 향상을 위해 올해도 지속적으로 진로교육을 강화할 예정이라고 4일 밝혔다. 꿈 찾아 행복 영그는 인천 진로교육을 주제로 시행하는 진로교육은 지난해 진로교육 성과 분석을 바탕으로 학교 진로교육 체계화, 교원학부모 진로교육 역량 강화, 진로교육 지원체제 활성화 등의 방향으로 추진한다. 우선 학교의 진로검사 및 상담활동, 진로수업, 진로체험활동 등 다양한 진로교육이 일관성 있게 이뤄질 수 있도록 교육과정 운영을 통해 학교 진로교육 체계화에 나선다. 이 과정에서 학생들은 각종 동아리 활동의 지원을 받을 수 있으며, 학습 방법 등 다양한 코칭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다. 또 교원 대상 연수와 학부모 대상 진로교육을 주요 내용으로 교원학부모 진로교육 역량 강화 사업을 벌이고, 학교장일반교사진로진학상담교사를 대상으로 진로교육 역량강화 연수를 연중 시행한다. 특히 학부모를 대상으로 진로 코치 양성 과정도 운영한다. 지난해 진행된 학부모 진로 코치 과정은 초중고교 학부모 1만 명이 신청해 온오프라인으로 진로교육에 대한 배움의 기회를 제공했다. 이와 함께 진로교육 지원체제 활성화를 위해 학교 진로교육을 지원하는 유관기관과 연계 시스템을 구축, 교육 기부를 활용한 진로체험을 강화한다. 지난해 남동구와 연수구는 진로직업체험센터를 설립해 지역 학교의 진로교육을 지원했다. 올해는 1개 대학교를 선정해 학과 체험센터를 구축할 계획이다. 김윤성 시교육청 창의인성교육과장은 올해도 학생의 개인 맞춤형 진로설계 능력과 생애 진로개발 역량을 강화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진로교육을 진행하겠다며 무엇보다 진로교육의 내실화 운영에 초점을 맞추겠다고 말했다. 김민기자 suein84@kyeonggi.com

인천교총, 교학사 사보기로 간보기?

인천시 교원단체총연합회(이하 인천교총)가 교학사 교과서 사보기 운동에 참여하려는 조짐을 보이고 있어 논란이 일고 있다. 2일 인천지역 교육계에 따르면 교학사 교과서 사보기 운동을 벌이는 조전혁 전 국회의원은 지난달 29일 자신의 트위터에 인천교총 교과서 운동 참여라는 제목의 글을 올렸다. 여기에는 인천교총이 교학사 교과서(한국사) 사보기 운동에 참여하기로 했으며, 인천교총 소속 교원들이 먼저 교학사 교과서를 많이 사서 읽어야 한다고 당부하는 내용이 담겨 있다. 글이 게재되자 전교조 인천지부를 비롯한 지역 교육계가 사실 여부 및 상황파악에 나서는 등 논란에 휩싸였다. 파장이 커지자 조 전 의원은 인천교총 전임 회장인 윤석진 교장(부평 남초교)과 협의했을 뿐, 인천교총이 운동에 참여할지는 아직 결정된 바 없다고 급히 글을 수정했다. 윤 교장은 개인적으로 교학사 교과서 사보기 운동에 참여하겠다는 의사를 밝힌 것이라며 회장직에서는 물러났으니 인천교총을 대표하는 의견은 아니다라고 해명했다. 하지만, 여전히 논란의 불씨는 남아 있다. 조 전 의원은 같은 날 트위터에 연이어 부산교총 회장과 사무총장이 운동에 참여한다는 글을 올렸으며, 전국교총이 운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실무진과 협의를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이처럼 인천지역 국회의원을 지낸 조 전 의원이 전국교총에 교학사 교과서를 사용하라고 독려하고 있고, 윤 전 인천교총 회장까지 참여의사를 밝히고 나서 지역 교육계로 확산될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더욱이 전국교총이 참여하기로 결정하면 인천교총이 따를 것은 불 보듯 뻔한 일이다. 윤석진 전교조 인천지부 정책실장은 1만 명 이상의 회원을 가진 인천교총이 역사왜곡 논란에 싸인 교학사를 돕는다는 것은 상식적이지 않다며 인천교총이 교학사를 돕는 운동에 참여한다는 것은 매우 우려되는 일이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조전혁 전 국회의원은 인천교총을 비롯해 전국교총 실무진과 교학사 교과서 사보기 운동 참여를 협의하는 것은 사실이라고 말했다. 김민기자 suein84@kyeonggi.com

인천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