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항 1월 컨테이너 물동량 역대 최고

인천항의 1월 컨테이너 물동량이 20만TEU를 넘어서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인천항만공사는 1월 인천항 컨테이너 물동량이 20만 9천107TEU를 기록, 전년 동월 물동량(19만 602TEU)보다 9.7% 증가했다고 24일 밝혔다. 전체 물량 가운데 53.5%를 차지한 수입물동량은 11만 1천771TEU로 전년 동월보다 1만 1천TEU가량 증가했다. 수출물동량은 95만 258TEU로 전년 동월보다 7천TEU가량 늘었다. 환적 및 연안 물동량은 각각 1천171TEU, 908TEU로 집계됐다. 국가별로는 대 중국 교역량(12만 7천461TEU)이 10.7%(1만 2천342TEU) 증가했고, 타이(8천627TEU)도 31.7%(2천78TEU)가 늘었다. 반면 말레이시아 물동량(4천937TEU)은 중간재의 교역비중이 낮아지면서 19.7%(1천213TEU) 줄었고, 대만(6천129TEU)은 13.9% (992TEU) 줄었다. 주요 증가품목을 보면 기계류 및 그 부품, 철강 및 그 제품, 음료·주류·조제식품 등 총 31개 품목 중 23개 품목이 교역량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1월 벌크 물동량은 전년 동월 대비 10.1% 증가한 1천99만t(RT)을 기록했다. 수입화물이 707만t으로 전체 물량 중 64%를 차지, 전년 동월 대비 3.6% 늘었다. 수출화물은 95만t으로, 전년 동월 대비 4.3% 감소했다. 연안화물은 전년 동월 대비 43.8% 늘었다. 벌크화물 중 물량이 증가한 주요 품목은 원유·석유(81만t, 26.0%), 모래(63만t, 13.0%) 등이다. 유류는 최근 유가 하락에 따른 수요 증가, 모래는 건설 경기 회복에 따른 해사 수요 증가가 증가세를 견인한 것으로 분석됐다. 김미경기자

인천상공회의소, 2016년도 정기의원총회 열어

인천상공회의소는 24일 파라다이스호텔에서 이강신 회장 등 7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2016년도 정기총회’를 열고 퇴임으로 결원된 부회장을 새로이 선출하고 올해 주요 추진사업 계획을 확정·의결했다고 밝혔다. 이날 신임 부회장에는 현대제철㈜ 오태하 공장장, ㈜경신 김현숙 회장, ㈜경인기계 구제병 회장, 인천도시가스㈜ 정진혁 대표이사, 동서식품㈜ 박효식 공장장, 영림목재㈜ 이경호 대표이사, 남동공단경영자협의회 박순용 회장 등 7명이 선출됐다. 또한 신임 상임의원에는 ㈜삼양사 인천1공장 박승구 상무, 기업은행 인천지역본부 양춘근 본부장, ㈜신세계 인천점 곽웅일 상무, OCI㈜ 김기철 공장장, ㈜우성아이비 이희재 대표이사, 대한설비건설협회 인천시회 최호선 회장 등 6명을 선출했다. 인천상의 정관에는 정원 120명에 부회장 18인, 감사 2인, 상임의원 30인을 둘 수 있고, 기존 일부 임원들의 퇴임으로 인해 이번 추가 임원을 선출했으며 이들의 임기는 22대 의원의 잔여기간(2018년 3월)이다. 이와함께 인천상의는 총회에서 2015년도 주요 사업 실적 및 2016년도에 추진할 주요 사업계획을 보고하고, 2015회계년도 결산·수지잔액 처분(안)을 심의해 무수정 의결했다. 김덕현기자

인천 개성공단 입주기업 찾은 홍용표 장관 “빠른 시일내 경영정상화 최선”

홍용표 통일부 장관이 인천지역 개성공단 입주기업을 찾아 경영정상화에 필요한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는 뜻을 전했다. 홍 장관은 22일 인천시 서구에 있는 신영스텐과 연수구 대화연료펌프를 방문, 개성공단 입주기업의 어려움과 건의사항을 청취했다. 개성공단 입주기업은 가동 중단으로 제품 생산에 차질을 빚을 뿐만 아니라 설비와 자재, 완제품 등을 회수하지 못해 피해를 보는 곳이 많다. 대화연료펌프의 경우 개성공단 생산량의 20%가량만 간신히 맞추고 있는 상황이다. 대화연료펌프 유동옥 회장은 “생산라인을 급하게 만들어 수출물량을 중심으로 생산하고 있다”며 “고객이 떠나지 않도록 안간힘을 쓰고 있다”고 설명했다.대화연료펌프는 다행히 수출 등은 큰 차질이 없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유 회장은 “대화연료펌프는 세계 1위 제품으로 꼽힐 정도”라며 “개성공단 입주기업들이 기존에 갖고 있던 경쟁력을 어떻게 지켜내느냐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홍 장관은 “개성공단 중단은 국가안보를 위해 필요한 결정이었다”며 “통일부뿐만 아니라 정부 전체가 개성공단 입주기업의 피해를 최소화하고 필요한 부분을 지원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고 전했다. 김미경기자

장관들 잇단 방문… 구멍뚫린 인천항·인천공항 보안실태 점검

김영석 해양수산부 장관과 유일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연이어 인천을 방문해 인천항과 인천국제공항 등 보안시설을 강화할 것을 주문했다. 김영석 해양수산부 장관은 22일 인천해양수산청에서 임현철 인천지방해양수산청장 등 전국 10개 지방해수청장을 비롯해 관계기관인 부산·인천항보안공사 사장 등 20명이 참석한 가운데 ‘전국 항만보안 현안 점검회의’를 열었다. 김 장관은 또 인천항만보안공사 종합상황실에 들러 폐쇄회로(CC)TV와 경비인력의 근무 실태를 확인했다. 김 장관은 이 자리에서 “보안시설과 장비가 제 기능을 할 수 있도록 관리를 철저히 해야 한다”며 “보안인력의 근무기강을 확립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말했다. 김 장관은 특히 “외국인 선원들의 밀입국 사고나 외국 테러에 대비해 항만보안을 더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유일호 기획재정부 장관도 22일 인천공항 수출입청사에서 김낙회 관세청장, 김대섭 인천본부 세관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올해 첫 전국세관장회의를 열고 수출 활성화와 보안강화를 강조했다. 유 장관은 “역직구 활성화 및 수출지원을 강화할 수 있도록 관세환급 대상을 넓히겠다”며 “감소하고 있는 수출을 올해 반드시 되살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유 장관은 이날 군·경·세관 합동으로 폭발물 등 테러물품을 검색·적발하는 모의훈련에 참관한 뒤 “대테러 보안을 강화할 수 있도록 관계기관이 유기적으로 협조해 달라”고 요청했다. 김미경기자

외국인들 한국 정착 연착륙 이렇게…

“인천경제자유구역에서 살게 된 외국인들은 총 5단계의 ‘문화충격(Culture Shock)’을 겪게 됩니다.” 인천경제자유구역 글로벌센터는 22일 한국조지메이슨대학에서 외국인들의 조기 정착을 돕고자 개최한 ‘제1회 IFEZ 글로벌센터 오리엔테이션’에 외국인 교직원들의 관심이 뜨거웠다고 밝혔다. 이날 오리엔테이션은 기존 센터 내에서 진행했던 방식에서 벗어나 시간·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직접 찾아가 다양한 형태로 내·외국인이 교류하는 형식으로 마련됐다. 특히 인천글로벌캠퍼스 한국조지메이슨대학의 요청으로 한국에 입국한 지 얼마 되지 않은 외국인 교직원 30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인천경제청은 오리엔테이션을 통해 “외국인들은 한 개의 냄비에 든 음식을 여러 사람이 숟가락으로 떠먹는 것을 이해하지 못한다. 또 엘리베이터를 탈 때 직위가 높은 사람이 먼저 타는 것도 이해를 못한다. 그럴 때일수록 서로 문화가 다름’을 알고 이해하려고 노력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인천경제청은 외국인 교직원들에게 영문으로 된 대중교통 안내지도, 한국생활 가이드북, 주요 전화번호·웹사이트 안내 책자, 경제자유구역 홍보물 등 외국인을 위한 유용한 ‘Welcome Kit’을 제공, 큰 호응을 얻었다. 인천경제청 글로벌센터는 앞으로 분기별 1회 이상 오리엔테이션을 실시하고, 한국어 교실과 전통문화체험 등 외국인을 위한 행사와 다양한 프로그램을 열어 외국인들의 정착을 도울 계획이다. 박정순기자

중부지방고용노동청, ‘중부권역 일학습병행제 공동훈련센터 워크숍’

중부지방고용노동청은 최근 지역 내 기업의 경쟁력 강화와 일자리 창출을 위해 ‘중부권역 일학습병행제 공동훈련센터 워크숍’을 개최했다. 워크숍에는 임명선 중부고용청 인천고용센터 과장, 정성훈 한국산업인력공단 중부지역본부장, 공동훈련센터 관계자 등 40여 명이 참석했다. 일학습병행제 공동훈련은 기업에서 필요한 실무형 인재를 기르기 위해 취업을 원하는 청년 등을 학습근로자로 채용, 기업현장에서 6개월~4년 체계적 교육을 제공하고, 교육훈련을 마친 자의 역량을 국가가 평가해 자격 등으로 인정하는 제도다. 워크숍 참여기관은 한국폴리텍대학 인천캠퍼스, 한국폴리텍대학 남인천캠퍼스, 인천재능대학교, 인하대학교, 인천대학교, 유한대학교, 인천경영자총협회, 인천인적자원개발위원회 등 8개 기관이다. 일학습병행제는 상시 신청이 가능하며, 참여를 희망하는 기업은 공단 중부지역본부(032-820-8641~7)로 문의하면 된다. 정성훈 본부장은 “일학습병행제는 기업의 경쟁력 강화와 일자리 창출에 많은 도움이 된다”며 “참여기업에 젊은이들이 비전과 성취감을 느낄 수 있도록 체계적 지원을 하고 능력중심 사회로 나가는 구심점이 될 수 있도록 일학습병행제 확산에 주력하겠다”고 말했다. 이인엽기자

포스코건설, 파나마에서 6.5억불 규모 복합화력발전소 및 가스터미널 수주

포스코건설은 최근 파나마에서 미국의 발전회사인 AES사가 발주한 미화 6.5억불(한화 약7500억원) 규모의 콜론(Colon) 복합화력발전소 및 가스터미널 건설공사에 대한 EPC(설계·조달·시공)계약을 체결했다고 21일 밝혔다. 콜론 복합화력발전소는 발전용량이 380MW로 파나마 최대 규모이다. 이 발전소는 파나마 수도인 파나마시티에서 북쪽으로 60㎞ 떨어진 콜론(Colon) 지역(파나마운하 대서양쪽 초입)에 위치해 있으며, 포스코건설은 저장용량 18만㎥의 가스터미널도 함께 건설하게 된다. 콜론 복합화력발전소에서 생산되는 전력은 약 15만 가구가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규모로, 파나마운하 인근 산업단지와 콜론 지역에 안정적인 전력 공급이 가능하게 된다. 포스코건설은 지난 10여년 동안 쌓은 발주처의 신뢰와 중남미 지역에서 에너지플랜트 품질시공기술력을 높이 평가받아 세계 유수의 건설업체들과의 치열한 경쟁을 뚫고 수주에 성공했다. 포스코건설 오건수 에너지사업본부장은 “회사는 국제유가하락 등으로 인한 어려운 해외수주환경 속에서도 지난해 12월 필리핀과 칠레에 이어 파나마 복합화력발전소 수주를 연달아 성공했다”며 “이는 중남미 에너지플랜트시장에서 세계적인 기업들과 어깨를 나란히 할 만큼 위상을 확보하게 된 밑거름이 됐다”고 말했다. 한편, 포스코건설은 지난 2006년 AES사가 발주한 칠레 벤타나스 석탄화력발전소를 수주하면서 국내 건설사로서는 최초로 중남미 에너지플랜트시장에 진출했으며 2007년에는 칠레 캄피체·앙가모스 석탄화력발전소를, 2009년에는 페루 에너지플랜트 시장에 진출해 칼파·칠카우노 복합화력발전소를 잇따라 수주하는 등 중남미 진출 10년만에 총 56억불에 달하는 에너지플랜트를 수주했다. 박정순기자

인천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