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블루윙즈 홈경기 2연패 수모

수원 삼성 블루윙즈가 2000 대한화재컵 프로축구대회에서 2연패를 기록하며 지난해 전관왕의 이미지에 손상을 입혔다. 삼성은 26일 수원종합운동장에서 벌어진 대회 A조리그에서 포항 스틸러스와 연장전까지 가는 접전을 벌인 끝에 박태하에게 골든골을 내줘 1대2로 패했다. 이로써 삼성은 홈에서만 2연패를 기록, 조 최하위에 머무는 수모를 당했다. 주전선수들이 상당수 부상으로 빠진 삼성은 이날도 여전히 공·수 연결에서 문제점을 드러내며 시종 답답한 경기를 펼쳤다. 삼성은 전반 미드필드에서 포항에 주도권을 빼앗기며 이렇다할 공격을 펼치지 못하다 22분 자심에게 선제골을 빼앗겼다. 문전 혼전중 흘러나온 것을 이승엽이 문전으로 다시 연결, 이것을 자심이 받아 골지역 정면으로 치고들어가 오른발 슛으로 연결, 골네트를 갈랐다. 선제골을 내준 삼성은 1분 뒤 포항 용병 샤샤에게 단독 기회를 내줬으나 샤샤가 미드필드 중앙에서부터 달려들어가 골키퍼까지 제치고 왼발슛을 연결한 것이 골대를 맞고나와 추가실점의 위기를 간신히 넘겼다. 후반들어 고종수를 빼고 비탈리를 투입하며 반격에 나선 삼성은 4분 장지현의 슈팅이 상대 수비수 몸맞고 나온데 이어 5분에도 장지현이 골지역 오른쪽에서 날린 오른발 강슛이 포항 골키퍼 조준호에 막혀 동점골을 얻지 못했다. 이후 포항의 거센 공격에 고전하던 삼성은 전광판 시계가 멎은 45분 김진우가 미드필드 중앙에서 연결해준 볼을 비탈리가 받아 골키퍼가 나온것을 보고 가볍게 올려차 1대1 동점을 만들며 연장전에 돌입했다. 연장전에서 삼성은 전반 8분 수비수가 부상으로 쓰러져있는 틈을 타 정재권이 오른쪽을 돌파해 연결해준 볼을 박태하가 넘어지며 차넣어 결승골을 기록했다. 한편 성남 경기에서는 새로 둥지를 튼 일화가 후반 22분 마니치가 결승골을 기록한 부산 아이콘스에 0대1로 패했다. ◇26일 전적 ▲수원 포항 2(1-0 0-1 연 1-0)1 삼성 △득점=자심(전22분) 박태하(연전8분·이상 포항) 비탈리(후45분·삼성) ▲성남 부산 1(0-0 1-0)0 일화 △득점=마니치(후22분·부산) /황선학기자 hwangpo@kgib.co.kr

도학생체전 능곡초, 안용중 정상동행

고양 능곡초와 화성 안용중이 제25회 경기도학생체육대회 겸 제29회 전국소년체전 축구 도대표 최종선발전에서 초등부와 남중부 정상에 동행했다. 능곡초는 24일 화산초구장에서 벌어진 대회 마지막날 초등부 결승전에서 홈 그라운드의 화산초와 전·후반 득점없이 비긴 뒤 승부차기에서 4대2로 신승을 거두고 팀 창단후 처음으로 대회 정상을 차지하며 소년체전 도대표로 확정됐다. 한편 안용중은 남중부 결승전에서 조성원의 해트트릭에 힘입어 김한록이 한 골을 만회하는데 그친 안양중을 3대1로 꺾고 5년만에 패권을 되찾았다. 안용중은 이날 우승의 수훈갑인 조성원이 전반 20분 선제골을 기록, 기선을 제압하며 전반전을 마친 뒤 후반 5분만에 조성원이 두번째 골을 터트려 승기를 잡았다. 그러나 안용중은 후반 25분 안양중 김한록에게 페널티킥으로 만회골을 내줘 2대1로 쫓기는 신세가 됐으나 7분 뒤 조성원이 승부의 쐐기를 박는 3호골을 작렬시켜 승부를 마감했다. 한편 여중부 결승전에서는 오산여중이 이천 설봉여중과 5골을 주고받는 접전끝에 최지혜의 2골 활약에 힘입어 3대2로 승리를 거두고 1위에 올랐다. 이날 우승으로 오산여중은 전국소년체전에 올해 처음 채택된 여중부에 도대표로 첫 출전하는 영광을 안았다./황선학기자 hwangpo@kgib.co.kr

최용수-김도훈 주말 그라운드서 격돌

한국프로축구 연봉왕을 놓고 자존심 대결을 벌였던 스트라이커 최용수(26·안양 LG)와 김도훈(29·전북 현대)이 이번 주말 그라운드에서 격돌한다. 최용수와 김도훈은 25일 진주에서 벌어지는 2000 대한화재컵 프로축구대회 A조리그에서 각각 팀의 최전방 스트라이커로 나서 간판 골잡이의 자존심 대결을 벌인다. 연세대 선·후배이기도 한 최용수와 김도훈은 며칠 전만 해도 연봉왕을 놓고 자존심 싸움을 벌였던 라이벌로 서로의 값어치를 실력으로 평가받겠다는 각오. 김도훈이 기본급 2억7천만원에 2000시즌 연봉을 계약하자 최용수는 1천만원 많은 기본급 2억8천만원에 사인했고 다시 김도훈은 3천만원을 보너스로 받아 최고를 기록하는 등 장외대결을 벌였었다. 그러나 두 선수는 끝내 연봉왕을 두고 승패를 가리지 못했다. 기본급에서는 김도훈이 2천만원 많지만 최용수는 승리급(200만원)을 별도로 받기로 계약, 시즌이 끝난 뒤 실질소득을 따져 본 뒤에야 자웅이 가려질 전망이다. 25일 그라운드에서 벌어지는 맞대결은 자존심 싸움의 연장이다. 김도훈은 박성배와 함께 투톱으로 출전하는데 국내복귀 이후 아직까지 기록하지 못한 첫 골을 이번에 터트리겠다고 벼르고 있다. LG의 최용수 역시 아직 첫 골을 신고하지 못하기는 마찬가지. 최용수는 외국인선수 드라간과 신인 최태욱, 이영표 등의 지원을 받아 팀을 승리로 이끄는 동시에 득점왕을 향한 포문을 열겠다는 각오다./황선학기자 hwangpo@kgib.co.kr

인천 SK 올시즌 복병으로 등장

프로야구 제8구단 인천 SK의 전력이 당초 예상했던 것보다 훨씬 강한 것으로 드러나고 있다. 지난해 0.224의 승률로 꼴찌로 처졌던 쌍방울의 전력을 이어 받아 최하위를 면치 못할 것으로 내다보던 전문가들은 7개 구단의 무상양도 선수명단을 보고는 ‘만만치 않다’고 입을 모았다. 올해 목표로 세운 승률 4할은 물론 지난해 우승팀과 준우승팀 한화와 롯데, 그리고 LG 등 같은 매직리그 소속팀과 당당히 플레이오프 진출을 다툴만하다는 것. SK가 작년 쌍방울에 비해 크게 달라진 점은 이번 양도선수 영입으로 투수진이 크게 강화됐고 전력에 보탬이 안됐던 용병이 물갈이됐다는 점이다. 기존의 김원형, 박정현, 김기덕, 성영재, 오상민, 유현승 등에 강병규, 권명철, 김태석이 새로 합류하는 SK 마운드는 어느 팀에도 그다지 뒤지지 않는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여기에 SK는 용병 3명을 보유할 수 있게됨에 따라 메이저리그급 투수 1명을 물색하고 있어 스카우트가 성공할 경우 투수력은 더욱 막강해질 전망이다. 새내기 투수 이승호와 엄정욱, 배홍철도 하와이 전지훈련에서 합격점을 받았고 지난해 부상으로 제몫을 해내지 못했던 에이스 김원형이 회복세를 보이고 있는 점도 SK에게는 큰 힘이 됐다. 외국인 야수 2명을 새로 보강한 타선도 다른 팀 투수들이 만만하게만 봤던 지난해 쌍방울 수준이 아니다. 메이저리그 출신인 헨슬리 뮬렌과 마이너리그 출신의 타이론 혼은 시범경기에 나서지는 못했지만 ‘해결사가 없다’던 타선에 활력소가 될 것으로 보인다. 작년 부상을 당해 신통치 않았던 조원우가 제 컨디션이 살아나고 있고 신인왕 출신 이동수와 최태원이 건재하다면 2년차 좌타자 이진영과 신인 채종범 등이 합류하는 공격력도 해볼만해졌다. 또 하나의 변수는 앞으로 활발하게 진행될 팀간 트레이드. SK는 앞으로 약점을 트레이드를 통해 해결할 방침이라고 공언, 이런 거래가 성사될 경우 SK는 올 시즌 프로야구 판도를 뒤흔들 복병으로 등장할 전망이다. /황선학기자 hwangpo@kgib.co.kr

전국장사씨름대회 초등부 김성준 우승

용인 왕산초의 김성준이 제30회 회장기전국장사씨름대회에서 초등부 청장급 우승을 차지했다. 김성준은 23일 문경시민체육관에서 벌어진 대회 이틀째 초등부 청장급 결승전에서 이진성(교룡초)을 맞아 전광석화 같은 안다리걸기를 성공시켜 1위에 올랐다. 또 소장급의 엄형철(왕산초)도 김시리(평산초)와 양승민(수원 우만초)을 각각 준결승전과 결승전에서 연파하고 우승했으며, 역사급 결승전서는 인천 부개초의 김민정이 김창환(화정남초)을 잡채기로 뉘여 정상에 우뚝섰다. 대학부 개인전 경장급서는 용인대의 박진호가 결승에서 이정일(영남대)을 들배지기에 이은 밀어치기로 물리치고 우승했고, 용장급의 김효인(인천대)은 정종익(울산대)을 결승에서 들배지기로 꺾어 금메달을 획득했다. 한편 대학부 단체전 결승에서 지난 대회 우승팀 경기대는 영남대에 접전끝에 3대4로 역전패, 대회 2연패 문턱에서 주저앉았다. 경기대는 앞선 준결승전에서 대구대를 4대1로 일축하고 결승에 올랐고, 영남대는 역시 울산대를 4대1로 물리쳤었다. 초등부의 용인초와 왕산초도 준결승전에서 각각 대동초와 봉래초에 석패, 공동 3위가 됐다. 이밖에 초등부 장사급의 김동현(왕산초)은 준우승에 그쳤고, 역사급 박영운(우만초)은 동메달에 머물렀다. 대학부 용사급 홍철민(인천대)과 용장급 김진우(경기대)는 각각 2,3위에 입상했다. 역사급에서는 인하대의 김기태가 준결승전에서 김종덕(대구대)과 승부를 가리지 못하고 계체승을 거둔뒤 결승에 올랐으나 이한신(영남대)에 덧걸이로 패해 준우승했다. /황선학기자 hwangpo@kg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