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전신탁 매각자금 보통예금에 예탁

인천시가 지난 9월 한미은행측에 특정금전신탁 예금을 매각하면서 받은 자금 344억원 가운데 구청 몫을 제외한 220억원을 금리 1%짜리 보통 예금에 예탁키로 합의한 사실이 뒤늦게 밝혀졌다. 이는 시가 특정금전신탁에 예금한 원금의 30% 손실에다 연간 20억원 정도의 이자손실까지 떠안는 조건이어서 시가 한미은행과의 협상에 지나치게 끌려 다녔다는 비난을 사고 있다. 15일 시에 따르면 지난 9월2일 시가 보유하고 있던 특정금전신탁 예금 480억원을 한미은행에 344억원에 매각하면서 시의 각종 기금과 지하철건설본부 자금 등 220억원을 1년간 금리 1%의 보통예금에 적립키로 했다고 밝혔다. 시가 보통예금에 넣은 기금은 대학발전기금 34억8천700만원을 비롯, 재개발 기금 18억900만원, 식품위생기금 15억6천400만원 등 모두 115억7천200만원이며, 지하철건설본부 특별회계자금 66억9천400만원과 인천발전연구원 자금 40억원 등도 포함됐다. 이는 정기예금에 넣어둘 때와 비교, 연간 20억원 정도의 이자 차이가 발생하는 것이다. 이때문에 시가 당초 시금고를 승계한 한미은행으로부터 특정금전신탁 예금 전액을 되돌려 받겠다던 입장에서 크게 물러서 원금의 30%는 물론, 이자손실까지 입게 됐다는 비난을 사고 있다. 이와관련, 시 관계자는 “지난 8월 한미은행과 특정금전신탁 예금 매각협상을 할 때 한미은행측이 부실채권에 대한 공동 부담을 요구, 220억원의 공적자금을 1년간 보통예금에 넣어두기로 구두 합의했다” 면서 “그러나 내년 1월께 관련 기금 및 자금을 보통예금에서 빼내 정기예금 등에 넣을 계획” 이라고 밝혔다. /유규열기자 newfeel4@kgib.co.kr 이영철기자 wyatt@kgib.co.kr

인천항 물동량 IMF 이전수준 회복

올들어 국내 경기의 꾸준한 회복세에 힘입어 연말까지 인천항의 수출·입 물동량이 1억만t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14일 인천지방해양수산청에 따르면 올들어 지난달 말까지 인천항을 통한 수출·입 물동량은 9천653만3천t으로 지난해 같은기간 8천438만9천t에 비해 14% 정도 늘었다. 이같은 추세로 인천항의 수출·입 물량이 계속 늘어날 경우 연말까지 1억만t에 근접할 수 있어 IMF관리체제 이전인 지난 97년 수준으로 회복될 수 있을 것으로 인천해양청은 내다보고 있다. 이 기간중 수출·입 물량이 전년동기 대비 크게 늘어난 품목은 유류가 3천39만6천t으로 지난해 같은기간 2천573만5천t에 비해 31.5%, 양곡은 838만8천t으로 지난해 동기(740만2천t) 8.7%가 증가하는 등 대부분이 기업의 생산활동에 필요한 원·부자재들로 국내 경기가 뚜렷한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는 것을 반증해 주고 있다. 또 인천항 수출·입 물동량 증가로 외항선들의 입·출항 척수도 늘어 지난해 11월말까지 내·외항을 포함 총 1만7천598척이던 것이 올들어 지난 11월말까지 1만8천433척으로 전년동기보다 835척(5%)이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함께 인천항을 통한 컨테이너 수출·입 물동량도 올들어 지난 11월말까지 50만7천232TEU(1TEU=20피트 컨테이너 1대)로 전년동기 46만7천240TEU에 비해 9%가 늘었다. 특히 인천항의 이같은 수출·입 물동량 및 외항선 등 선박 입·출항 척수 증가에도 인천항의 체선율이 16.53%로 IMF관리체제 이전인 지난 97년도의 19.73%에 비해 3.2%가 줄어드는 등 인천항의 항만운영 효율이 크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 인치동기자 cdin@kgib.co.kr

인천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