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물차량 소음고통 방음벽 설치 호소

인천시 동구 송현3동 송현1·2차 아파트 주민들은 인근 도로에 밤낮으로 대형 화물차량들이 지나가면서 발생하는 소음 등으로 고통을 겪고 있다며 방음벽 설치를 호소하고 있다. 24일 주민들에 따르면 지난 92년 송현3동 1의9와 57 일대에 933세대 규모의 송현1·2차 아파트가 입주했으나 아파트 건너편에 인천제철과 동국제강 등이 위치, 하루평균 500대 정도의 대형 화물차량들이 공장앞 도로를 통행하고 있다. 이때문에 주민들은 낮이면 쉴 새 없이 지나가는 대형 화물차량의 소음으로 창문을 닫아도 귀가 멍멍할 정도인데다 늦은 시간에도 이들 차량들이 내는 경적과 엔진소리 등으로 밤잠을 설치고 있는 실정이다. 또 최근에는 인천국제공항 신축현장으로 가는 차랑들까지 가세, 이같은 불편이 더욱 심화하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실제로 지난해 인천시보건환경연구원에 의뢰해 이 일대에 대한 소음도를 측정한 결과, 낮시간대 경우 77㏈로 나타나 환경기준치인 68㏈를 크게 웃도는 것으로 조사됐다. 주민 이모씨(45)는 “오래전부터 인근에 대형 공장들이 가동되고 있어 대형 화물차량들의 통행이 늦은 밤까지 이어지고 있다” 며 “방음벽 설치가 시급하다”고 말했다. 이와관련, 구 관계자는 “주민들의 불편을 감안, 방음벽을 설치키로 하고 A안(높이 5m 길이 130m)과 B안(높이 10m 길이 156m)을 마련해 검토중이나 이에 소요되는 예산 9억6천100만원중 현재 3억원 정도만 확보된 상태여서 시행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말했다. /허행윤기자 heohy@kgib.co.kr

인천시 대중교통 여건 가장 열악

인천시가 서울 부산 대구 등 6대 도시에 비해 대중교통 여건이 가장 열악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천시의회 신맹순의원은 24일 제77회 임시회에서 자유발언을 통해 “6대도시 인구 10만명당 시내버스 대수는 서울 83, 부산 72, 대구 72, 광주 81, 대전 73대로 나타났으나 인천은 이보다 20여대 이상 부족한 52대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또 신의원은 택시는 서울 671, 부산 608, 대구 648, 광주 534, 대전 621대로 나타났으나 인천은 434대에 그치고 있다고 주장했다. 신의원은 이날 한국도시행정연구소가 지난해 발행한 전국통계연감을 인용, 이같이 발표하고 최근 시내버스 8개노선까지 반납된 상태로 시민불편 해소를 위한 대책마련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이와관련, 신의원은 대안으로 “적자 노선을 반납하려는 회사는 흑자노선도 동시에 반납을 받아 인천시내 모든 노선을 공개 경쟁입찰에 부쳐 서비스를 높이는 것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또 신의원은 마을버스의 경우 요금이 저렴해 가격 경쟁력이 높고 이른 아침부터 저녁 늦게까지 운행해 운행경쟁력이 있으며, 친절·서비스가 높아 서비스경쟁력까지 갖추고 있다며 마을버스의 확충을 동시에 요구했다. /이영철기자 wyatt@kgib.co.kr

심층보도-보궐선거 도미노현상(하)

<下-보궐선거로 물·인적 자원 낭비> 정치신분 상승을 위한 현직 구청장과 시·구의원의 공직사퇴는 곧바로 시민혈세 낭비로 이어진다. 이들이 떠난 빈자리를 채우기 위해 치러질 보궐선거에 들어갈 선거관리비용이 고스란히 시민들이 낸 세금으로 충당되기 때문이다. 이에따라 유권자들의 검증도 거치지 않은채 임기중에 스스로 옷을 벗고 상위직에 출마하려는 공직자들에 대한 ‘범시민 심판절차’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4·13 총선과 남동구청장 보궐선거 출마로 공석이 될 것으로 점쳐지는 자리는 구청장과 시·구의원 등 7석 정도. 또 이로인한 ‘보선 도미노’를 감안하면 앞으로 치러질 보궐선거는 이보다 2배 가까이 늘어날 것으로 정치권은 전망하고 있다. 25일 치러질 남동구청장 보궐선거에는 모두 5억여원의 선거관리비가 책정돼 있다. 시의원은 지난 98년 6·4지방선거 당시 1개 선거구에 2억여원이 관리비로 쓰여졌으며 지난 4월 후보 5명이 경합을 벌였던 부평구의회 보궐선거에는 모두 4천700만여원이 사용됐다. 이를 토대로 앞으로 예상되는 보궐선거에 들어갈 순수 선거관리비용을 뽑아보면 수십억원에 이른다는 계산이 나온다. 여기에다 후보자들이 쓸 법정 선거비용과 선거에 필요한 공직자들의 선거 관리요원 및 투·개표 종사로 인한 업무손실 등도 일부 공직자의 정치신분 상승을 위한 공직사퇴 대가로 빚어지는 국가적인 손실이 되는 셈이다. 인천시민연대 관계자는 “선출직 공직자가 임기를 채우지 않는 것은 유권자와의 약속을 저버리는 것” 이라며 “이들에 대한 사회단체의 부적격자 판단도 정책에 적극 반영해 나갈 방침” 이라고 말했다. /한경일기자 gihan@kgib.co.kr

인천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