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생활체육 축구대회 파행운영

제1회 월드컵 붐 조성 ‘인천지역 구·군대항 생활체육축구대회 선발전’이 안전문제로 폐쇄된 운동장에서 무단 개최돼 사고가 발생하는등 졸속 운영으로 비난을 사고있다. 인천시 남구생활체육협의회가 지난 16일 한국산업단지(5·6공단) 주안지원부 ‘근로자운동장’에서 공단측에 운동장 사용허가도 받지 않은채 선발전을 개최했다. 특히 근로자운동장은 경인고속도로와 접해 있어 담장을 넘어간 축구공 때문에 고속도로상 교통사고가 빈발, 공단측이 지난해부터 이 운동장을 폐쇄했었다. 이날도 2차례에 걸쳐 축구공이 경기장밖으로 넘어 갔고, 이 것을 찾으려 고속도로를 무단횡단한 사람을 피하려던 승용차 2대가 급정거 하면서 차량 일부가 파손되는 사고가 발생했다. 뿐만아니라 운동장이 폐쇄된 이후 관리를 하지않아 경기장에 병조각과 쓰레기 등이 곳곳에 방치돼 선수와 가족 등 200여명이 큰 불편을 겪기도 했다. 이와함께 이번 대회가 ‘월드컵 붐 조성 구·군 대항전’이라는 취지와는 달리 ‘생활체육 구·군 연합회’소속팀들만 출전토록 명시, 구연합회가 구성되지 않은 중구 관내에서는 단 1개 팀도 출전치 못했으며, 남구에서도 비회원인 남사랑연합회 소속 13개 팀이 참가하지 못한채 9개팀만이 출전하는등 반쪽대회로 전락했다. 또 경기 운영에도 문제점을 노출, 특정 팀 임원이 자기 팀 경기에 부심으로 배정되는가 하면 대회 주최측이 출전 선수의 신원확인 요청을 묵살해 선수들이 운동장을 점거 항의하는 불상사마저 발생했다. 이와관련 인천시축구연합회 관계자는 “심판 요청을 하지 않은 남구 지역만 말썽을 빚었고 다른지역은 문제없이 원만하게 경기가 진행됐다”고 말했다./김신호기자 shkim@kgib.co.kr

대형 종합병원 인터넷 홈페이지운영 부실

정확한 의료정보 전달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해야 할 3차 의료기관의 인터넷 홈페이지 내용이 부실한데다 관리마저 제대로 안되고 있다. 특히 인터넷 사용자가 폭발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비의료인에 의한 검증되지 않은 사이비 의료관련 광고마저 덩달아 늘고 있어 이들 의료기관들이 인터넷을 통한 정보제공에 적극 나서야 한다는 지적이다. 27일 인천시내 3차 의료기관들과 네티즌들에 따르면 현재 인터넷에 가장 많이 올라와 있는 비의료인이나 검증되지 않은 의료정보는 비만, 성장장애, 암, 간장질환, 당뇨병 등 만성질환과 관련된 사이트로 200여개에 이르고 있다. 이같이 비의료인에 의한 각종 의료정보가 범람하면서 의료소비자들이 정보의 진위여부를 가리기 위해 종합병원 사이트를 방문하고 있지만 대부분 병원 인터넷사이트는 이러한 욕구를 충족시켜 주지 못하고 있다. A병원의 경우 병원소개, 진료안내 등 기초적인 자료만 올라와 있을뿐 환자들이 질병에 대한 궁금증을 해소할 공간은 전혀없다. 특히 B·C병원 등 시내 일부 종합병원들은 아예 인터넷사이트조차 운영하지 않고 있다. 회사원 이모씨(31·인천씨 남동구 구월동)는 “소아성장과 관련한 자료를 찾기위해 종합병원의 사이트에 들어갔으나 질환에 관련된 의료정보는 어느 곳에서도 찾을 수 없었다”면서 “종합병원이라면 최소한 인터넷상에 범람하고 있는 의료정보가 올바른지 그른지 비의료인들에게 정확히 알려주는 잣대 역할을 해야 하는게 아니냐”고 말했다. /손일광기자 ikson@kgib.co.kr

사이버공간 선거운동 갈수록 혼탁

4·13총선이 갈수록 과열되면서 사이버공간도 덩달아 혼탁해지고 있다. 특정후보를 비방하거나 홍보하는 내용의 스팸메일 보내기(전자우편이나 메시지를 무차별적으로 보내는 채팅행위)가 기승을 부리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최근 들어선 일부 벤처기업들이 후보측에 유권자들의 전자메일 주소를 제공해주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이같은 현상을 부추기고 있다. 회사원 채모씨(35·인천시 연수구 옥련동)는 요즘 새로운 골칫거리가 생겼다. 귀가후 자신의 노트북 컴퓨터를 켜기만 하면 발신처가 불분명한 E-메일들이 수북하게 도착돼 있는 탓이다. 채씨는 “어떻게 E-메일주소를 알았는지 아침에 컴퓨터를 부팅하면 생전 들어보지도 못한 ID가 적힌 메일들이 잔뜩 밀려있어 내용을 확인하는데만도 30분이상 걸린다”고 말했다. 이들 전자편지들은 대부분 초기화면 윗부분에 붉은색이나 노란색 바탕에 ‘OO후보는 패륜아 ’‘XX후보는 이중인격자’등의 글귀가 적혀져 있다. 대학원생 이모씨(25·여·부천시 원미구 춘의동)도 비슷한 고민을 겪고 있다. 이씨는 “스팸메일을 개봉하지 않은채 방치해두면 프로그램을 파괴하는 바이러스로 둔갑될 수도 있다”며 “문제는 일부 벤처기업들이 유권자들의 전자우편 주소를 후보측에게 팔아 넘기는데 있다”고 말했다. 이와관련, 인천시선관위 관계자는 “네티즌들이 사이버공간을 통한 불법선거운동에 시달리고 있는게 사실이지만 전담인력이 없어 효율적인 단속에 나서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허행윤기자 heohy@kgib.co.kr

인천행동연대 본격적인 낙선운동 돌입

인천지역 35개 시민단체로 구성된 2000년 총선 부패정치 청산 인천행동연대는 낙천 대상인사들이 총선에 출마키로 함에따라 본격적인 낙선운동에 들어가기로 했다. 27일 인천행동연대는 시청 기자실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낡은 정치, 부패 정치사회에 대한 시민사회의 심판이 필요하다며 본격적인 낙선운동에 돌입한다고 밝혔다. 이들이 선정한 낙선 대상자는 민주당 중·동·옹진의 서정화 의원과 자민련 이세영 후보, 민주당 남구을 이강희 의원, 한나라당 부평갑 조진형 의원 등 4명이다. 낙선대상 사유는 서 의원의 경우 경기은행 부당대출압력 의혹, 조직폭력배 석방을 위한 탄원 서명 등이며, 이 후보는 동인천동 화재사고때 주책임자로서 직권남용 혐의로 영장신청 (기각), 당적 변경 등이다. 또 이 의원은 돈봉투 살포의혹에 따른 금권선거 조장, 아들의 초호화 결혼식, 당적변경, 조 의원은 아들의 대학 부정입학·괌 KAL기 추락참사 당시 기념촬영 등이다. 인천행동연대는 이와관련 “현행 선거법이 허용하는 방법은 물론, 호별 방문을 통한 낙선자 홍보, 유인물을 통한 홍보, 집회를 통한 홍보 등을 전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어 “국민주권 회복과 더 이상 시민 대표로 자임해서는 안될 후보자들이 당선되는 왜곡된 관행을 끊어 버리기 위해 시민불복종 낙선운동을 펼 것”이라고 강조했다. /4·13총선특별취재반

인천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