훔친 건설중장비 해외수출 전문절도단 적발

훔친 건설 중장비를 사들여 차대번호 등을 위조한 뒤 베트남 등 해외에 30억원어치를 수출해 온 덤프트럭 전문절도단과 중고자동차 수출업체 대표 등 일당 12명이 경찰에 무더기로 적발됐다. 인천지방경찰청 기동수사대는 2일 공사현장에서 훔친 15t 화물차량 44대를 외국에 팔아온 혐의(장물취득 등)로 서울시 성북구 장위동 TUI무역 대표 김모씨(40)와 인천시 연수구 청학동 건우무역 대표 김모씨(43) 등 10명에 대해 구속영장을 신청하고, 운반책 신모씨(25) 등 2명을 불구속 입건했다. 경찰에 따르면 김씨 등은 지난 4∼5월 덤프트럭 절도범 박모씨(43) 등으로부터 15t 덤프트럭 44대를 대당 500만원에 구입한 뒤 차대번호를 위조해 베트남과 필리핀, 페루 등의 무역상들에게 대당 1천800만∼2천500만원씩을 받고 수출한 혐의다. 경찰 조사결과 절도범 박씨 등은 주로 충남 당진, 아산 등 서해안고속도로 공사현장과 광주, 전주 등 전국을 무대로 각종 공사장에 주차돼 있는 덤프트럭들을 훔쳐 김씨 등에게 팔아온 것으로 드러났다. 경찰은 김씨 등으로부터 범행에 사용한 차대번호 위조기인 각자펀치와 차량 문짝따기 공구 및 수출장부와 입·출금통장 등 80여종을 증거물로 압수했다. 한편 경찰은 지난 3월 초순께 필리핀에 거주하는 한 교민으로부터‘차대번호가 위조된 중고 덤프트럭이 한국에서 수입되고 있다’는 제보를 받고 인천시내 중고차 매매상 등을 상대로 탐문수사를 벌인 끝에 김씨 등을 붙잡았다. /한경일기자 gihan@kgib.co.kr

해양생태공원 조성사업 추진 불투명

인천시 남동구가 논현동 1의1 폐염전 일대에 추진중인 수도권 해양생태공원 조성사업이 불투명한 예산조달 계획과 방대한 사업규모로 정상적인 사업추진에 어려움이 예상되고 있다. 2일 구에 따르면 지난 97년부터 남동구 논현동 폐염전 일대 106만평에 1천400억원을 들여 국내 최대의 해양생태공원을 3단계로 나눠 조성키로 하고, 현재 해양생태공원 타당성 및 기본계획 용역을 마쳤다. 그러나 정상적인 사업추진을 위해서는 해양수산부와 건설교통부 등 정부기관은 물론 시와의 긴밀한 협의를 통한 원활한 국(50%)·시(25%)비 지원을 받아야 하나 기초단체가 정부기관을 상대로 예산지원 협의를 벌인다는 것 자체가 무리라는 지적이다. 구는 우선 1차사업(44만평)에 투입되는 총 공사비 184억원 가운데 국비 50%, 시비 25%를 연차적으로 지원받아 내년 착공할 계획을 갖고 있으나 정작 예산을 지원해줄 정부기관에서는 구체적인 예산지원 규모도 결정하지 못한 상태다. 구는 또 1차 사업부지 내에 포함된 21만평의 사유지 매입대금으로 91억원(공시지가 기준)을 책정했으나 토지주인 ㈜성담측은 2배가 넘는 200억여원(감정가)을 요구하고 있어 부지확보 문제부터 난항을 겪고있다. 이와관련, 구 관계자는“우선 1차사업을 중점적으로 추진해 나갈 방침이며, 사업이 정상적으로 진행되려면 정부와 시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류제홍기자 jhyou@kgib.co.kr

송도신도시 개발 정부 재정지원 미흡

오는 2001년부터 본격적인 개발을 맞게 될 송도신도시가 정부의 계속사업비 증가로 인한 재정지원 미흡, 사업추진 주체의 이원화 등으로 효율적인 업무추진에 어려움이 따를 것으로 지적됐다. 이같은 사실은 한국건설산업연구원 경제연구실 신기덕실장이 인천시로부터 ‘송도신도시 조성사업 예산운영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대한 용역을 의뢰받아 연구한 결과 나타났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매립완료한 송도신도시 2·4공구(176만평)의 올 예상수입은 공동주택용지 선수금과 주택복합용지 선수분양금 등을 합쳐 113억6천만원이나 지출은 하수종말처리장과 홍보관 건립 등 494억3천만원으로 필요재원 확보방안이 시급한 실정이나 정부의 계속사업비 증가와 막대한 공적자금 투자 등으로 송도신도시에 대한 재정지원은 기대할 수 없다고 밝혔다. 이에따라 단기적으로는 현재 진행중인 사업에 대한 투자의 우선순위를 정하고 장기적으로는 연도별 수지균형이 아니라 총괄적인 수지균형 차원에서 예산을 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주장했다. 보고서는 또 매립공사는 송도개발부가 시행하고 조성된 토지의 매각, 외자유치 등은 투자진흥관실에서 시행하는등 조직의 이원화로 효율적이고 지속적인 업무처리에 어려움이 따른다며 조직의 일원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시는 송도신도시 완공에 따른 효율적인 예산운영을 위해 2일 오후 신기덕실장과 인천발전연구원 관계자 등을 초빙, 정책토론회를 가질 예정이다. /이영철기자 wyatt@kgib.co.kr

고액 배당금 미끼 유사 파이낸스사 적발

고액의 배당금을 미끼로 수백명의 투자자로부터 수십억에서 수백억원대의 자금을 끌어들인 유사 파이낸스사 대표와 지점장 등이 경찰에 잇따라 적발됐다. 인천 남부경찰서는 1일 유명벤처기업 등에 투자해 높은 배당금을 주겠다며 투자자들로부터 32억원을 받아 가로챈 혐의(유사수신행위의 규제에 관한법률위반 등)로 ㈜리빙벤처트러스트 인천지점장 안모씨(49) 등 지점간부 3명에 대해 구속영장을 신청했다.. 경찰에 따르면 안씨 등은 지난 3월초부터 지금까지 남동구 구월동에 지점 사무실을 차려놓고 1∼5개월 만기단위로 8.5∼16%의 고액배당을 주겠다며 120여명의 투자자로부터 32억1천만여원을 받아 여수신 행위를 한 혐의다. 경찰 조사 결과 이들은 자금을 운용해 수익을 낼 능력이 없으면서도 자사가 언론·금융·유통부문 벤처기업들에 투자해 고수익을 올리고 있다고 허위선전, 투자자들을 현혹시켜 온 것으로 드러났다. 이에앞서 유사 파이낸스사인 ㈜동방클래식 대표 최모씨(43) 등 3명도 지난달 미인가 유사수신행위를 하다 경찰에 적발돼 구속됐다. 최씨 등도 지난해 8월 중구 중앙동에 무허가 유사 파이낸스 회사를 차린 뒤 홍모씨(45·여) 등 400여명의 투자자들을 끌어모아 최근까지 600억여원의 여수신행위를 하면서 이 가운데 133억7천만원을 받아 챙긴 혐의다. 이와관련, 인천지방경찰청 관계자는“조사결과 이들은 수익사업 없이 신규 투자자들로 부터 유치한 자금을 기존 투자자들에게 배당금으로 지출하는 방식으로 유사 파이낸스사를 운영해 온 것으로 드러났다”며“유사 파이낸스사에 피해를 입지 않도록 신중한 투자를 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경일기자 gihan@kgib.co.kr

인천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