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의회 2기 의장단선거 물밑경쟁 치열

인천시의회 제1기 의장단 임기가 이달말로 만료됨에 따라 제2기 의장단 선출을 위한 물밑경쟁이 한창이다. 4일 시의회에 따르면 제1기 의장단 선출이 지난 98년 7월8일 이뤄짐에 따라 늦어도 2기 의장단 선출이 다음달 8일 이전에는 이뤄져야 한다. 현재 거론되는 의장후보는 강부일 현 의장과 지난 1기 의장후보로 나섰다가 결선투표에서 아쉽게 분패한 송종식 의원, 이복식·이영환 현 부의장 등 4명 선이다. 강 의장은 민주당 인천시지부장인 박상규 의원과의 긴밀한 관계를 강점으로 삼고 소속당 의원들을 상대로 “현명한 판단이 내려지면 마다하지 않겠다”는 우회적 방법으로 득표활동을 벌이고 있다. 강 의장이 선출되면 인천시의회 사상 최초의 연임 의장이 탄생되는 것이다. 반면 지난번 선출때 1차에서 투표인원 29명 가운데 14표를 얻어 12표를 얻은 강의장보다 오히려 2표를 앞섰던 송의원의 추격도 만만챦다. 송의원은 젊은 의원들과 개혁적인 성향의 의원들을 상대로 의정개혁의 당위성을 설명하며 공감을 얻어가고 있다. 이밖에 평상시 의장직 도전의사를 밝혀온 이복식 부의장과 전국 광역시 최초의 여성의장을 꿈꾸는 이영환 부의장의 도전도 무시못할 형국이다. 이와함께 부의장 후보로는 김영주 운영위원장, 유병호 문교사회위원장, 박균열 건설위원장, 고남석 내무위원장, 홍미영 예결위원장 등이 거론되고 있는 가운데 치열한 물밑 각축을 벌이고 있다. 한편 각 상임위원장들에 대한 구체적 윤곽은 오는 8일 치뤄질 남동1·4와 연수 선거구의 보궐선거에서 ‘누가 당선되느냐’에 따라 전체적 양상이 크게 달라질 전망이다. /이영철기자 wyatt@kgib.co.kr

중국 단동산업단지 2년째 빈터로 방치

인천시가 50여억원을 들여 준공한 중국 단동산업단지가 2년이 넘도록 입주 기업을 찾지 못한 채 빈터로 방치되고 있어 예산낭비라는 지적을 사고 있다. 4일 시에 따르면 시가 52억여원을 들여 지난 98년 5월 중국 단동 11만4천900여평에 인천산업단지를 조성했으나 현재 입주한 업체는 전무한 실정이다. 지난해 6월 계약을 맺은 은비 어패럴(의류제조업체)이 이달중 공장을 준공할 예정이며 같은해 9월 계약을 맺은 광성용역(자동차 관련 업종)은 계약금만 낸채 아직 중도금도 못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 두 업체 외에 공장용지 분양을 신청한 업체는 없는 실정이며 지금껏 거둬들인 수입은 4천만원이 채 안된다. 더욱이 시는 산업단지의 인도 포장공사와 통신선 설치비 등으로 올해 8천900여만원의 예산을 집행하고 있으나 현장에 공사를 감독할 공무원도 파견돼 있지 않아 시공업체가 자의적으로 공사를 벌이고 있다. 또 일부 업체들이 계약을 체결하고 입주할 경우 시는 단지운영 계획에 따라 공원과 가로수·공단지원본부 등 지원시설을 설치하지 않을 수 없어 20여억원의 예산을 추가로 들여야 할 처지이다. 이처럼 단동산업단지가 막대한 예산만 투입한채 부실상태로 남아 있는 것은 97년 11월에 터진 IMF 사태가 가장 큰 원인으로 분석되나 지나치게 의욕이 앞선 시의 해외투자사업도 한몫을 했다는 분석이다. 특히 시가 최근 경기가 다소 회복되고 있는데도 불구, 이미 실패한 사업으로 낙인찍고 입주 업체를 적극적으로 찾아 나서지 않는 현재의 소극적 행정 대응도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시 관계자는 “지난 1월 지역업체들에게 단동산업단지 분양 공문을 보냈고 최근 관련 문의가 들어오고 있어 조만간 분양이 더 될 것”이라고 말했다. /유규열기자 newfeel4@kgib.co.kr

강화군 세균검출 약수터 방치 말썽

강화군이 일부 약수터에서 기준치 보다 많은 세균이 검출돼 음용수로 적합하지 않은데도 이용 통제 등 조치를 취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나 말썽을 빚고 있다. 2일 군에 따르면 하루 200여명이 찾는 강화읍 대산리 산 129의 1 오읍약수터에 대한 수질검사를 인천시 보건환경연구원에 의뢰한 결과 지난 1·3월에는 일반세균이 기준치(㎖당 100마리)보다 많은 160마리와 240마리가 각각 검출됐으며, 4월에는 대장균이 검출됐다. 그러나 군은 이처럼 음용수로 적합하지 않다는 검사 결과를 약수터 입구에 게시해 이용객들을 통제하거나 경고문 및 폐쇄조치를 취하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 뿐만아니라 군은 지난 4월 미지정 약수터 4곳에 대한 수질검사 결과 3곳에서 대장균을 비롯해 암모니아 질소, 질산성 질소 등이 검출됐음에도 관리대상이 아니라는 이유로 아무런 조치도 취하지 않은채 방치하고 있다. 주민 박모씨(38·강화읍 관청리)는 “음용수 부적합 판정을 받은 약수터에 아무런 조치도 취하지 않아 주민들이 그대로 이용했다는 것은 사실상 직무유기”라고 말했다. 이와관련, 군 관계자는 “오음약수터에 대해서는 2∼3일내 주변청소와 함께 재검사를 거쳐 기준 적합 판정을 받은 만큼 이용에 아무런 문제가 없다”고 말했다. /고종만기자 kjm@kgib.co.kr

인천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