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호금융·보험사서 돈 빌리기 힘들어진다

최근 가계대출이 급속하게 늘어난 상호금융, 신협 등 제2금융권의 대출 문턱이 높아진다.금융위원회는 26일 은행권의 대출 규제가 강화된 틈을 타 가계대출을 대폭 확대한 상호금융회사와 보험사에 대한 규제를 강화한다고 밝혔다.우선 조합원이 아닌 사람은 상호금융회사에서 대출을 받기가 어려워진다.금융위는 상호금융의 비조합원에 대한 신규대출 한도를 연간 신규대출 총액의 3분의 1로 제한했다.수협의 경우 현재 비조합원 대출 규제가 없고, 농협은 신규대출의 절반까지 비조합원에게 돈을 빌려줄 수 있다.조합원의 가족이나 다른 조합의 조합원에 대한 대출도 비조합원 대출에 포함시켜야 한다.금융위는 보험사나 보험설계사가 전단지나 문자메시지를 통해 대출을 권유하고, 알선하지 못하도록 감독을 강화하고, 대출모집인 운용도 제한할 방침이다. 특히 가계대출 증가율이 높은 보험사는 집중검사를 받게 된다.이처럼 금융위가 제2금융권 대출기준을 강화한 것은 제2금융권이 가계부채 증가의 주범으로 지목받고 있기 때문이다.2007년 제2금융권 가계대출은 38조1천억원(16.7%) 늘어나 증가액과 증가율 모두 은행권(17조5천억원, 5.0%)을 앞질렀다.제2금융권 가계대출은 매년 두자릿수 증가율을 보여 연간 5~6%대 증가에 그친 은행권을 압도했다. 제2금융권 가계대출 잔액은 2004년 말 193조8천억원으로 은행권276조3천억원에 크게 못 미쳤지만, 지난해 말에는 402조3천억원으로 은행권(455조9천억원)과 비슷해졌다.금융위 관계자는 제2금융권의 대출영업에 대한 규제가 강화되지만 서민 불편이없도록 금융지원을 강화할 것이다며 새희망홀씨 대출의 연간 자금지원 규모를 1조5천억원으로 확대하고, 바꿔드림론과 보금자리론 지원도 강화할 방침이라고 말했다.이선호기자 lshgo@kyeonggi.com

삼성전자, 국민은행과 대학생 위한 공동마케팅 진행

삼성전자와 KB국민은행은 금융과 문화가 결합된 신개념 문화공간인 KB 락스타존에서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공동마케팅을 진행한다고 21일 밝혔다. 양사는 전국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41개점 중 서울과 수도권 10개 지점에 삼성전자의 최신 IT기기를 비치해 이 곳을 찾는 고객들이 체험할 수 있도록 했다. KB 樂스타존에는 얇고 가벼우면서도 강력한 성능을 지닌 삼성 시리즈5 울트라 노트북과 슬림한 디자인, 뛰어난 성능과 휴대성을 동시에 갖춘 삼성 슬레이트PC, 상큼한 컬러가 돋보이는 노트북 삼성 시리즈3, 갤럭시 노트 등 삼성전자의 최첨단 IT기기들이 전시될 예정이다.또한 갤럭시탭도 대여 가능해 다양한 최신 IT제품들을 풀패키지로 즐길 수 있다.삼성전자 관계자는 기존 체험 공간이 스펙과 디자인을 보여 주는 것에 그쳤다면 이번 KB국민은행과의 공동 마케팅은 고객의 일상에 보다 밀착해 즐거움과 유용성을 제공하는 체험존 2.0으로 체험 공간의 패러다임을 전환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주요 대학가 주변에 위치해 대학생들이 다양한 혜택을 누리고, 삼성전자 브랜드를 친밀하게 느낄 수 있게 되길 희망한다고 전했다.최원재기자 chwj74@kyeonggi.com

서민 89% 대출 원리금 내기도 ‘막막’

회사원 신모씨(39)는 월급이 제대로 나오지 않아 생활자금 대출금 5천만원에 대한 원리금을 내지 못했다. 게다가 7년 전 아파트를 구입한 뒤 이 마저도 제대로 갚지 못해 지난해 경매로 아파트가 넘어가면서 신용불량자가 됐다. 신용불량자가 된 이후 국내외 시중은행 통장거래가 모두 막혀 통장 거래가 힘들어 사용 가능한 제2금융권 통장을 개설했지만 신용보증회사에서 수시로 거래 중인 통장을 지급정지 시켰다. 신씨는 어쩔 수 없이 친구 명의의 입출금 통장과 체크카드를 사용 중이다.신씨는 돈을 모으기 위해 버는 것이 아니라 빚을 갚기 위해 일을 하는 것 같다며 통장거래마저 힘든 나같은 젊은 신용불량자는 결혼은 물론 노후대비도 상상할 수 없어 씁쓸하다고 말했다.이처럼 가계빚의 늪에서 허덕이는 서민들이 늘어나면서 원리금 상환에 부담을 느끼는 가구가 89.6%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20일 한국은행이 내놓은 전국 2천30가구를 대상으로 실시한 2011 가계금융조사 자료를 보면 생활비, 사업자금 등으로 금융기관에서 대출을 받고 있는 가구가 전체의 54.0%를 차지한다.이 중 생활자금이 부족해 대출을 받았다는 응답이 32%로 가장 많았고, 사업자금과 주택구입 목적이 각각 18%, 17%로 뒤를 이었다.대출자들 중 3명 가운데 1명(31.1%)은 만기 때 대출금 일시 상환이 어려웠고, 원리금 상환 대출자 89.6% 역시 매달 내야하는 원금과 이자에 부담을 느끼고 있었다. 특히 지난해 하반기 은행에 신규대출 또는 만기연장을 신청한 가구는 22.5% 달했지만 대출조건이 맞지 않아 원하는 만큼 받지 못한 가구가 30%를 넘어섰다. 높은 은행 문턱을 넘지 못한 서민층 중 절반은 제2금융권을, 21%는 사채시장을 전전했고, 이 조건마저 충족하지 못한 19%에 해당하는 가구 19%는 대출을 포기했다.한은 관계자는신용대출자들 중 상당수가 만기 일시 상환 방식의 대출을 사용 중이라며 상대적으로 고금리로 사용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아 부담이 클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장혜준기자 wshj222@kyeonggi.com

신한카드 결제 거부 조치 유보

국 자영업 연합체는 20일 시행하기로 한 신한카드 결제 거부 조치를 신용카드 수수료율 차별을 금지하는 개정법안의 국회 통과 여부를 보고 결정하기로 했다.이에 따라 유권자시민행동과 직능경제인단체총연합회가 지난 6일 결의한 신한카드 결제 거부 조치는 당분간 미뤄지게 됐다.사진관과 카센터, 공인중개사, 학원, 숙박업 등 60여개 업종 100만 업소가 속해 있는 이 단체는 신용카드 수수료 인하에 소극적이라는 이유로 업계 1위인 신한카드를 지목하고 결제 거부를 알리는 전단을 업소에 부착하는 등 실력행사를 준비해왔다.수원에서 부동산을 운영하고 있는 자영업자 이모씨(47)는 국회에서 수수료율 차별 금지 법안이 통과될 예정이라 우리가 먼저 강하게 나갈 필요는 없다고 밝혔다.그러나 이들 단체는 오는 22일 여신금융협회 앞에서 대규모 규탄 대회를 열고 막대한 이익만 챙기고 자영업자를 무시한 카드사들의 각성을 촉구할 방침이다.또한 개정안 통과가 무산되거나 일부 문구 등 내용이 수정될 경우 신한카드 거부 운동에 즉각 돌입하기로 했다.한편 소상공인단체연합회도 지난 15일 삼성카드, 롯데카드, 현대카드 중 1개사를 상대로 카드 결제 거부 운동을 벌이겠다고 밝혔으나 무리하게 강행하기보다 국회 입법 추이를 지켜보는 쪽으로 의견이 모아졌다.최원재기자 chwj74@kyeonggi.com

경제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