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자메시지 선거운동 ‘딜레마’

62 지방선거에 문자메시지를 통한 선거운동이 처음으로 도입됐지만 역효과도 만만찮아 후보들이 시점과 내용 등을 어떻게 정할지 고심하고 있다.14일 인천시선관위에 따르면 62 지방선거 후보들은 예비후보로 등록한 후 한번에 직접 유권자 20명에 대해 무제한 문자메시지 발송이 가능하지만 컴퓨터를 이용한 문자메시지는 최다 5차례까지 보낼 수 있다.홍보물의 경우, 예비후보로 활동할 땐 선거구 세대수 10분의 1까지, 본 후보 등록후엔 모든 세대에 걸쳐 각각 한 차례 발송이 가능하다.이에 따라 62 지방선거에 선거구 당 후보 5명이 나온다고 가정할 경우, 유권자들은 투표일까지 1명 당 문자메시지 200통과 우편홍보물 80부 이상 등을 받게 된다.유권자 입장에선 사실상 문자메시지홍보물 공해로 여길 수 있을 정도다.이에 각 후보 진영은 거부감을 주지 않으면서 효과는 배가시킬 수 있는 문자메시지 발송 시점을 놓고 묘안을 짜내느라 머리를 맞대고 있다.시장 후보 A씨는 홍보 보다는 정책 제안을 받는 수단으로 문자메시지를 활용할 계획이다. 인천을 바꾸는 정책 공약을 제안해 주세요라는 문구를 통해 홍보 효과도 거두고 시민들의 반응도 이끌어낸다는 복안이다. 구청장 선거에 나선 B후보는 혹시 모를 당내 경선에 대비, 공심위 구성 전후에 집중적으로 보내 인지도를 높일 계획이라고 말했다. 교육감 출마를 준비 중인 C후보는 공천 이후를 공략할 계획이다.C후보는 본선 승리를 위해선 공천 이후가 적당하고, 유권자들로부터도 호응을 얻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이에 대해 선관위 관계자는 문자메시지를 잘 활용하면 상당한 성과를 거둘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손일광기자 ikson@ekgib.com

한나라 "좌파 포퓰리즘" vs 야권 "보편적 복지"

62지방선거의 핵심 이슈로 떠오른 '무상급식' 문제를 놓고 여야의 신경전이 가열되고 있다. 야권이 일제히 이번 선거의 중점 공약으로 전면 무상급식을 내세운 반면, 여권은 이를 '부자 무상급식'으로 평가절하하고 나섰다. 한나라당 정몽준 대표는 11일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자유민주체제의 가장 큰 위협은 사회주의나 전체주의가 아닌 포퓰리즘"이라며 무상급식 문제를 거론했다. 앞서 최구식 의원이 "재벌집 아들딸과 손자들 점심을 우리가 낸 세금으로 내주는 것"이라고 규정한 직후였다. 전날 홍준표 전 원내대표 역시 "가진 사람들 자제에게 무상급식을 하는 것은 복지가 아니다"라며 "국민 세금을 쓰지 않아도 될 곳에 쓰는 좌파 포퓰리즘"이라고 비판했었다. 정부와 여당은 즉각 이같은 논리를 바탕으로 오는 18일 당정회의를 연 뒤, 무상급식 문제에 대한 종합대책을 내놓을 예정이다. 반면 진보 성향의 야 5당은 지방선거 연대의 핵심 연결 고리로 '전면 무상급식'을 내세우고 있다. 민주당 정세균 대표는 이날 오전 방송기자협회 초청 토론회에서 "세계 모든 나라가 의무교육에 무상급식을 동반하고 있다"며 "이는 보편적 복지"라고 강조했다. 노영민 대변인도 논평을 통해 "서민 아이들만 모아서 공짜밥을 주겠다는 것은 밥이 아니라 모욕과 상처를 주는 것"이라며, 한나라당의 이른바 '서민 무상급식' 정책을 힐난했다. 현재 국회에는 민주노동당 권영길 의원 등이 제출한 6건의 무상급식 관련 법안이 계류중이다. 이런 가운데 지도부와는 다른 목소리를 내고 있는 일부 여야 정치인들의 '차별화 행보'도 눈길을 끌고 있다. 한나라당의 경우 서울시장 후보 출마를 선언한 원희룡 의원과 보건복지위 소속인 손숙미 의원이 전면 무상급식에 찬성하고 있다. 반면 민주당에서는 서울시장 출마를 선언한 김성순 의원이 전면 무상급식에 신중한 입장을 나타냈다. 또 국민참여당 소속으로 경기지사에 도전장을 낸 유시민 전 보건복지부 장관 역시 "당장 전면 무상급식을 실시하는 건 좀 어려울 것 같다"며 야권 흐름과는 사뭇 다른 입장을 나타냈다.

정치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