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지노ㆍ7호선 연장… 경제자유구역 아파트 시장 ‘훈풍’

최근 부동산 투자이민제 확대, 외국인 전용 카지노복합리조트 개발, 지하철 7호선 연장 등 굵직한 호재가 잇따르면서 인천경제자유구역 아파트 시장이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13일 인천 부동산업계 등에 따르면 청라지구의 1분기 아파트 매매가격은 3.3㎡당 1천58만 원으로 지난해 말(1천24만 원)에 비해 3.3% 올랐다. 지난해 1분기 시세보다는 10.7% 상승했다. 청라지구는 지난해 인천공항고속도로 청라 나들목과 청라 간선급행버스(BRT)가 개통되면서 서울로의 출퇴근 여건이 개선돼 주택 거래가 증가하고 있다. 또 경인직선화도로 일부 구간 개통으로 교통체증이 완화됐고, 2018년 개통하는 서울지하철 7호선 연장구간(석남 연장) 수혜에 대한 기대감도 반영됐다는 게 업계의 평가다. 영종지구의 아파트 가격도 상승세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자료에서 영종하늘도시 내 우미린 아파트 84㎡는 지난해 초 2억 5천만 원 선에 거래됐으나 최근엔 3억 3천만 원으로 7천여만 원이 올랐다. 인천 영종 동보노빌리티 84㎡는 지난해 말 3억 원에 팔렸으나 현재 3억 2천만 원 안팎의 시세를 보이고 있다. 영종지구는 최근 외국인 카지노 사업에 대해 적합 판정이 나오면서 아파트 가격이 강세를 보이고 있다. 올해 12월 공항철도 영종역 개통도 호재로 작용하고 있다. 송도지구도 차츰 회복 조짐을 보이고 있다. 송도 풍림아이원 1단지의 아파트 84㎡는 지난해 초 3억 1천만 원에서 현재 3억 3천만 원에 시세가 형성돼 있다. 지난 8일 청약신청을 받은 송도 호반베르디움은 1천676가구 모집에 2천489명이 몰리면서 1.5대 1로 순위 내 마감, 지난해 대량미달사태가 벌어졌던 때와 사뭇 다른 분위기다. 인천경제청 관계자는 최근 건설사들이 분양가를 낮추고 계약조건을 완화하면서 기존의 미분양분까지 소진이 빨라지고 있다며 경제자유구역 내 자체 호재가 있어 당분간 투자 수요의 관심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김창수기자 cskim@kyeonggi.com

청라국제도시 점포주택 ‘방 쪼개기’ 인천경제청, 불법행위 점검 나선다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은 2012년 7월부터 2013년 12월 말까지 사용승인된 청라국제도시 내 점포주택 171가구에 대해 건축물 불법행위 점검을 시행 중이라고 13일 밝혔다. 청라국제도시 점포주택지는 지구단위계획에 따라 1필지당 1개의 점포주택을 지어야 하며 1층엔 점포를, 나머지 층엔 3가구를 초과해 건축할 수 없다. 하지만, 수도권 내 전세난 등을 이유로 전세가가 폭등하자 최근 임대수입을 올리기 위해 불법으로 가구 수를 늘리고 임대하는 행위가 성행하고 있다. 건축주들은 점포주택의 준공허가를 받으면 칸막이 등을 이용해 세대를 분리시키는 수법으로 기존 3가구를 5~7가구로 늘려 인근 주차난까지 가중시키고 있다. 이에 따라 인천경제청은 주차난 해소와 화재 등 유사시 소방차 진입로 확보 등을 위해 점검을 하고 있다. 위법행위가 적발되면 먼저 건축주에게 시정지시를 내리고 이에 따르지 않으면 고발과 이행강제금을 부과할 예정이다. 특히 인천경제청은 건축물 관리대장에 위반건축물을 표기해 각종 영업행위를 제한하는 등 건축주에게 불이익을 줄 방침이다. 한편, 인천경제청은 지난해에도 이 같은 점검을 벌여 66건을 적발하고 2억 3천252만 원의 이행강제금을 부과했다. 김창수기자 cskim@kyeonggi.com

생큐! 인천 경제자유구역 지방세수 기여도 10년 새 3배↑

인천경제자유구역 규모가 커지면서 10년 사이 지방세수 기여도가 3배 가까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9일 인천시 등에 따르면 2012년 기준 경제자유구역인 송도청라영종지구를 관할하는 연수서중구의 지방세 징수액 1조 681억 9천600만 원 가운데 경제자유구역에서 걷힌 금액은 4천626억 7천800만 원으로 43.3%에 달했다.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이 문을 연 2003년 경제자유구역에서 발생한 지방세 수입은 739억 5천200만 원이다. 같은 해 연수서중구의 지방세 징수액은 총 4천602억 200만 원으로 경제자유구역에서 발생한 세수가 이 중 16%를 차지했다. 10년 새 경제자유구역 지방세수 기여도가 2.7배가량 늘었다. 특히 시구세 가운데 시세의 증가가 두드러졌다. 경제자유구역 인구 증가로 부동산 거래가 활발해지면서 시세인 취득세가 늘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2003년 연수서중구가 징수한 시세 3천923억 3천400만 원 중 경제자유구역 분은 582억 4천900만 원으로 14.8% 차지했다. 그러나 2012년엔 7천810억 1천800만 원 중 시세가 3천654억 1천만 원으로 절반에 가까웠다. 구세는 2003년 678억 6천800만 원 중 157억 300만 원으로 23.1%였으나, 2012년에는 2천871억 7천800만 원 중 구세가 972억 6천800만 원으로 33.8%를 차지했다. 인천경제청 관계자는 경제자유구역 계획 인구가 65만 명인데 그 중 3분의 1인 20만 명 정도가 입주했고 3분의 2가 남아 있다며 세수 증가 요인은 여전히 많다고 설명했다. 한편, 2003년 2만 5천778명이던 경제자유구역 인구는 지난달 말 기준 20만 2천377명으로 10배 늘었다. 김창수기자 cskim@kyeonggi.com

“중소상인 벼랑 끝으로 내모는 개악”

인천 중소상공인자영업자 살리기 운동본부(인천을 살리기 운동본부)는 9일 공정거래위원회의 경쟁 제한 조례의 부분 개선 및 폐지 방안을 두고 중소상인을 벼랑 끝으로 내모는 것과 다름없다며 반대 입장을 밝혔다. 운동본부는 이날 성명을 내고 공정거래위원회의 발표는 전통시장과 소규모 상점이 생존을 위협받는 상황 끝에 싸워 얻어낸 조례를 다시 뒤엎고 대기업 중심으로 바꾸겠다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공정위는 최근 발표한 지방자치단체 경쟁제한적 조례규칙 등에 관한 실태 파악 및 개선방안 연구에서 인천 등 지자체의 신규 입점 제한 내용을 담은 조례규칙이 사업 활동을 제한하는 차별적인 규제라고 지적했다. 담배소매인 지정을 위한 50m 거리제한 규정, 지역 건설업체 공동수급 참여를 권장하는 규정 등을 담은 조례도 경쟁을 제한하는 것으로 판단, 부분적인 개선 및 폐지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운동본부 관계자는 공정위의 조례 개선 요구는 풀뿌리 지방자치를 훼손하고 인정하지 않겠다는 것이라며 향후 공정위의 조례 개선 및 폐지를 저지하기 위한 서명운동 등 단체 행동을 벌일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운동본부는 지난해 5월 인천지역 중소상인시민사회계노동계정치계 등이 함께 모여 만든 인천 최초의 중소상공인자영업자를 위한 조직이다. 박용준기자 yjunsay@kyeonggi.com

한국지엠, 2014 쉐보레 크루즈 스타일 패키지 출시

한국지엠㈜은 쉐보레 크루즈(Chevrolet Cruze)에 새로운 디자인 패키지를 적용하고 동급 최고 수준의 안전사양을 탑재해 상품성을 높인 크루즈 스타일 패키지를 14일부터 판매한다. 7일부터 사전계약에 돌입한 크루즈 스타일 패키지는 전후면 범퍼를 새롭게 디자인했으며, 17인치 메탈 그레이 알로이 휠을 채택해 한층 세련된 외관을 선보였다. 또한, 국내외에서 인정받은 탁월한 차체 안전성과 더불어 국내 준중형차 최초로 사각지대 경고시스템(SZBA, Side Blind Zone Alert)을 적용했다. 한국지엠은 지난 1일부터 CRUZE IS REAL TV광고를 통해 그 어떤 기준에도 크루즈가 진짜라는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다. 또한 크루즈 스타일 패키지 출시를 기념해 다음달 18일까지 홈페이지를 통해 추첨을 통해 신라호텔 식사권, 고급 화장품 세트 등 푸짐한 경품을 제공하는 이벤트를 진행 중이다. 2014 쉐보레 크루즈 스타일 패키지의 가격은 1.8 가솔린 세단 LT+ 1천964만원, LTZ+ 2천55만원, 1.4 가솔린 터보 세단 LTZ+ 2천150만원, 크루즈5 1.4 가솔린 터보 LTZ+ 2천175만원(자동변속기 기준)이다. 이경애 한국지엠 마케팅본부 전무는 더욱 탁월해진 주행성능을 지닌 크루즈는 스타일리시한 디자인 아이템을 대폭 채택한 스타일 패키지까지 제공, 다양한 엔진 라인업, 세련된 스타일, 뛰어난 안전성 등으로 고객 모두를 만족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박용준기자 yjunsay@kyeonggi.com

‘임대아파트 대기 1만9천가구’ 공급 늘린다

인천시가 올해부터 공공임대아파트 공급을 늘리기로 했다. 시는 2일 기자설명회를 열고 공동주택 커뮤니티 활성화, 주거 취약계층 주거비 및 시설 지원 등 주거복지를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2억 8천800만 원을 들여 쪽방 등 월세 세입자 차상위 계층 492세대를 대상으로 매월 임대보증금을 지원하고 1억 1천700만 원을 투입해 긴급 임대료, 보증금 등 긴급주거비를 지원한다. 선학연수 영구임대아파트 2천300세대에는 6억 4천800만 원을 들여 시설개선사업을 벌이고 인천도시공사와 한국토지주택공사 영구임대아파트, 괭이부리마을 등 7개 단지 8천452세대에는 공동전기료 1억 7천 만원을 지원한다. 현대제철(주) 인천공장의 후원을 받아 희망의 집수리 사업에 2억 원을 쓴다. 특히 인천시는 임대아파트를 추가 건설하는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다. 현재 인천지역 임대아파트 입주대기자는 1만 1천955가구(영구 1만871세대, 국민 1천84세대)나 된다. 시는 종합건설본부 조직을 개편해 직접 임대아파트 건설에 나설 방침이다. 영구 임대아파트는 국비를 85%까지 지원받을 수 있고 국민 임대아파트는 국비 30%, 기금 40%를 지원받을 수 있다. 하명국 시 도시계획국장은 임대아파트 입주수요가 매우 많은데도 불구하고 임대아파트 확대에 소홀했다며 인천시 재정상황을 고려해 단계적으로 임대아파트 건설 종합계획을 준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미경기자 kmk@kyeonggi.com

인천도시공사, 부채비율 줄었지만… 적자폭 더 커져

인천도시공사가 부채규모와 부채비율이 줄어 재무구조가 호전됐다. 그러나 적자폭은 매우 커진 것으로 확인됐다. 2일 인천도시공사의 11기(2013년) 결산서를 살펴보면 자산은 10조 3천846억 원으로 10기(2012년) 10조 1천520억 원보다 2천326억 원 늘었다. 유동자산은 7조 4천608억 원으로 4천억 원 상당 줄었으나 비 유동자산이 2조 6천350억 원으로 6천543억 원 늘었다. 매출액은 6천547억 원으로 전기보다 46% 상당 늘었다. 구월 아시아드를 성공적으로 분양해 주택매출이 전기보다 2배 이상 늘었고, 영종하늘도시와 검단산업단지 분양으로 용지매출도 소폭 늘어났다. 부채는 7조 8천188억 원으로 1천84억 원 줄었다. 부채비율도 304.72%로 전기 356.31%보다 51.59%p 줄었다. 목표인 300%에는 도달하지 못했으나 거의 근접한 수치다. 이처럼 재무구조가 일부 호전되기는 했으나 적자는 큰 폭으로 늘었다. 인천도시공사의 지난해 당기순손실은 2천409억 원으로 전기 333억 원보다 6배가량 늘었다. 이처럼 당기순손실이 늘어난 이유는 공사가 경영개선을 하고자 자산을 매각하는 과정에서 상당수 할인매각을 했기 때문이다. 송도 5공구 124단지를 매각하면서 손실 1천199억 원이 발생했다. 1단지는 장부가액이 962억 원이지만 874억 원에 매각해 88억 원 손해를 봤으며, 2단지는 450억 원, 4단지는 661억 원 상당의 손실이 생겼다. 이 밖에도 차입금 이자비용으로 1천90억 원을 물었으며, 3년 연속 적자를 기록한 탓에 법인세도 227억 원 냈다. 관련법상 기업이 적자를 볼 경우 법인세 납부를 연기(이연법인세)할 수 있으나 3년 연속 적자를 기록하면 연기할 수 없다. 이와 관련, 공사 측은 재정건전성을 확보하고 사업비를 절감하고자 추가로 사업구조조정을 진행하고 현금지출을 최소화하는 방안을 추진했다며 앞으로 적정부채비율을 유지하면서 금융비용을 줄이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미경기자 kmk@kyeonggi.com

인천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