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큐! 인천 경제자유구역 지방세수 기여도 10년 새 3배↑

연수·서·중구의 총 징수액 ‘43.3%’인 4천626억 달해

인천경제자유구역 규모가 커지면서 10년 사이 지방세수 기여도가 3배 가까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9일 인천시 등에 따르면 2012년 기준 경제자유구역인 송도·청라·영종지구를 관할하는 연수·서·중구의 지방세 징수액 1조 681억 9천600만 원 가운데 경제자유구역에서 걷힌 금액은 4천626억 7천800만 원으로 43.3%에 달했다.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이 문을 연 2003년 경제자유구역에서 발생한 지방세 수입은 739억 5천200만 원이다. 같은 해 연수·서·중구의 지방세 징수액은 총 4천602억 200만 원으로 경제자유구역에서 발생한 세수가 이 중 16%를 차지했다. 10년 새 경제자유구역 지방세수 기여도가 2.7배가량 늘었다.

특히 시·구세 가운데 시세의 증가가 두드러졌다. 경제자유구역 인구 증가로 부동산 거래가 활발해지면서 시세인 취득세가 늘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2003년 연수·서·중구가 징수한 시세 3천923억 3천400만 원 중 경제자유구역 분은 582억 4천900만 원으로 14.8% 차지했다. 그러나 2012년엔 7천810억 1천800만 원 중 시세가 3천654억 1천만 원으로 절반에 가까웠다.

구세는 2003년 678억 6천800만 원 중 157억 300만 원으로 23.1%였으나, 2012년에는 2천871억 7천800만 원 중 구세가 972억 6천800만 원으로 33.8%를 차지했다.

인천경제청 관계자는 “경제자유구역 계획 인구가 65만 명인데 그 중 3분의 1인 20만 명 정도가 입주했고 3분의 2가 남아 있다”며 “세수 증가 요인은 여전히 많다”고 설명했다.

한편, 2003년 2만 5천778명이던 경제자유구역 인구는 지난달 말 기준 20만 2천377명으로 10배 늘었다.

김창수기자 cskim@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