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교육청 대화한마당 형식에 그쳐

경기도교육청이 수능을 마친 고 3학년생들의 생활지도 등을 위해 추진한 학생, 선생님, 학부모의 대화 한마당이 모범생위주의 연출식으로 진행된데다 대화시간보다는 특별강연, 공연 등에 치중되는등 겉치례 행사에 그쳤다는 지적이다. 10일 도교육청과 교육계에 따르면 수능이후 학생지도 특별교육 프로그램으로 학생과 선생님, 학부모가 한자리에 모여 각자의 이야기를 터놓는‘학생·선생님·학부모의 한마당’을 남·북지역으로 나눠 9·10일 실시했다. 그러나 도교육청은 도내 284개 고교별로 학생·선생님·학부모를 각 1명씩 참석토록 할당, 거의 모든 학교가 특차지원생이나 학교회 간부 등 모범생과 이들의 학부모를 참여시켜 그간 학교생활과 학생지도의 어려움이나 실패사례는 없고 자기자랑식 성공사례발표에만 그쳤다. 그나마 학생·선생님·학부모 등의 발표시간을 4∼5분으로 제한하고 특강·공연 등에 대부분의 시간을 할애, 각자의 경험이나 바람 등을 터놓고 이야기할 수 있는 시간이 거의 없도록 프로그램을 편성해 당초 취지를 무색케 했다. 이때문에 대부분의 일선 고교에서 대화 한마당 행사에 회의적인 반응을 갖고 참석치 않았으며 참석한 학부모·선생님들 조차 행사취지 등에 부정적인 반응을 나타냈다. 실제로 이날 도교육청 강당에서 열린 대화 한마당에는 당초 남부지역 200개 대상고교에서 학생·선생님·학부모 각 1명씩 600명이 참석할 예정이었으나 250여명밖에 참석치 않았으며 지난 9일 의정부 경민고 강당에서 열린 북부지역 행사에도 예정인원의 절반밖에 참석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대화 한마당에 참석했던 학부모 김모씨(45·여)는 “학생·선생님·학부모 등 3자가 평소 갖고 있던 생각 등을 터놓고 이야기하는 ‘이해의 장’인줄 알고 참석했다”며 “그러나 대화의 시간은 별로 없고 연출식 발표와 강연·공연으로 일관, 행사취지에 의구심마저 든다”고 말했다./이민용기자 mylee@kgib.co.kr 최종식기자 jschoi@kgib.co.kr

도교육청 과·소규모 학교 2002년까지 통·폐합

경기도교육청은 도내 과·소규모 학교를 우선 통합대상학교 등 3개 유형으로 분류, 오는 2002년까지 통·폐합을 완료하기로 했다. 10일 도교육청이 발표한 ‘과·소규모 학교통합 추진계획’에 따르면 통·폐합대상 학교를‘우선 통합대상학교’와 ‘일반 통합대상학교’,‘분교장개편 대상학교’등 3개 유형으로 분류, 오는 2002년까지 통·폐합을 추진키로 했다. 우선 통합대상학교는 1년이상 3복식 수업을 하고 있거나 2년이상 2복식 수업이 지속되고 있는 학교중 학생수가 20명이하인 학교로 주민설득을 통해 투선 통합하기로 했다. 일반 통합대상학교는 학생수 100명이하의 학교가운데 우선 통합대상학교에서 제외된 학교로 학부모 과반수 이상의 동의를 얻어 통합을 추진키로 했다. 또 1년이상 복식수업이 실시되고 있는 학교는 분교장개편 대상학교로 지정하고 분교장 개편에 대한 학부모의 과반수 동의를 얻지 못할 경우 본교로 유지하되 인근 학교 교장을 겸임교장으로 발령키로 했다. 도교육청은 통합학교에는 5억원, 분교장개편학교에는 2천만원의 특별예산을 지원, 교육여건을 개선하는 한편 폐지된 학교의 경우 학교발전사와 배출 유명인사 등을 기록한 연혁비나 기념비를 건립하기로 했다. 한편 도교육청은 이달말까지 지역교육청별로 내년부터 2002년까지의 연도별 학교통합계획을 수립, 지속적인 주민설득을 통해 내년 2학기부터 통합을 추진키로 했다./이민용기자 mylee@kgib.co.kr 최종식기자 jschoi@kgib.co.kr

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