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안, 수촌리, 화수리, 화산동, 사강리, 상안리…. 지금으로부터 89년 전 치열한 3·1만세운동이 펼쳐졌던 화성의 지명들이다. 화성뿐만 아니라 전국적으로 일제의 압제에 항거해 펼쳐졌던 3·1만세운동은 우리 민족의 가치를 높였고 국권 회복이란 목표 아래 민초들의 뜨거운 투쟁으로 이어졌다. 그날의 함성은 그래서 거룩했고 위대했다. 경기일보와 화성시가 주최하고 화성문화원이 주관하는 제89주년 3·1절 기념행사가 다음달 1일 화성시 향남읍 일원에서 열린다. 이날 행사는 시민과 학생 2천5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3·1운동 묘역 참배를 비롯, 화성지역 3·1운동 학술회의, 학생마라톤, 다채로운 이벤트 등으로 진행된다. 먼저 오전 9시 발안 3·1운동 기념비를 비롯, 이정근 창의탑, 수촌리 3·1독립운동 기념비, 상안리 3·1운동 기념비, 이필주 독립운동가 기념비 등을 차례로 참배하며 일제의 만행이 극치를 이룬 제암리 교회에서 묘역 참배 및 헌화가 이어진다. 이후 도지사와 수원보훈지청장, 독립유공자 및 유족, 광복회원, 종교인 등이 참석한 가운데 3·1절 기념식이 열리고, 제암리 3·1정신교육관에서 학술회의가 마련된다. 특히 학술회의는 김진원 화성시 학예연구사 사회로 진행되는 가운데 박환 수원대 사학과 교수가 ‘화성지역의 3·1운동과 유적답사, 증언록’, 김형목 독립기념관 선임연구원이 ‘화성지역 3·1운동의 배경-한말 국권회복운동 중심’, 조규태 한성대 역사문화학부 교수가 ‘제암리사건과 제암리유적의 역사적 의미’ 등을 주제로 각각 발제한다. 한동민 수원시 전문위원, 허동현 경희대 학부대학장, 이길원 경기도 문화관광해설사회장이 토론자로 참여한다. 이어 경기도육상경기연맹 주관으로 5㎞와 10㎞ 학생마라톤이 열리고 제암리 기념관 입구 및 기념관 내에서 깃발서예 200여점이 전시된다. 탁본체험·혈서체험·고문체험 등도 펼쳐진다. 3·1운동 사진 및 근대 화성의 옛모습을 담은 사진전과 페이스페이팅, 가족기념사진전, 송산 3·1운동 순국기념탑 제막식 등도 준비된다. /이형복기자 bok@kgib.co.kr
종교
이형복기자
2008-02-28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