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사 절반 이상은 올해 금융산업 실적이 지난해보다 저조할 것으로 예상했다. 대한상공회의소가 최근 발표한 2013년 금융업 경영여건 전망을 보면 전체의 55.6%가 지난해보다 감소할 것이라고 응답했다. 반면 증가할 것이라는 응답은 12.7%에 그쳤고, 비슷한 수준일 것은 31.7%로 조사됐다. 이 같이 전망한데는 37.7%가 한국경제의 저성장, 저금리 기조 확산을 들었고, 가계부채 급증(26.3%), 유럽발 재정위기 지속(20.2%), 국내 금융시장 경쟁심화(11.4%), 금융규제 강화(4.4%) 등이 뒤를 이었다. 업종별로 보면 은행업이 71.2%로 가장 부진할 것으로 예상했고, 카드업(66.7%), 증권업(52.9%), 보험업(45.3%) 등 순으로 조사됐다. 은행사들은 실적 부진 이유로 가계대출 연체율 및 예금 중도해약 증가(32.7%), 수수료 인하 등 수익감소(32.7%), 부동산 시장 침체로 인한 대출 실적 감소(19.2%) 등을 꼽았다. 카드사들은 가맹점 수수료 인하 압력(50%), 가계부채 증가에 따른 연체율 증가(50%)를, 증권사는 글로벌 경기침체로 인한 주식시장 위축(48.6%), 국내 경기침체, 가계부채 등에 따른 투자자금 이탈(24.3%) 등이 실적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내다봤다. 또 보험사들은 업종내 경쟁심화(33.3%), 경기둔화에 따른 신 계약자 감소 및 해약 증대(33.3%), 저금리 지속으로 인한 수익성 악화(25%), 대출채권 연체율 및 부실채권 비율 증가(8.3%)를 실적 감소 요인으로 들었다. 이어 올해 국내 금융시장의 안정화를 위해서는 가계 및 국가 부채 관리(58.5%), 국제공조를 통한 금융시장 안전망 구축(23.9%), 건전성 규제강화(9.3%), 환율안정(6.8%), 단기 외화 차입 관리(1.5%) 등이 필요하다고 대답했다. 박광수기자 ksthink@kyeonggi.com
금융·증권
박광수 기자
2013-01-16 13: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