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현석 42.6% - 최성 30.8%

여야 후보 두 명이 맞대결을 펼치는 62고양시장 선거에서 한나라당 강현석 후보가 야권 단일 후보인 민주당 최성 후보를 10% 이상 차이로 앞서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경기일보중부일보기호일보가 공동으로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리서치앤리서치에 의뢰해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한나라당 강 후보는 42.6%의 지지율로, 민주당 최 후보(30.8%)를 11.8%p차로 앞섰다. 부동층은 26.6%였다. ★관련기사 3면적극투표층 지지도에서도 48.2% 대 35.1%로, 강 후보가 13.1%p차로 앞서고 있다.당선 가능성에서는 강 후보가 50%를 넘어 54.4%를 기록해 최 후보(19.2%)와 35.2%p차이를 보였으며, 적극투표층의 당선가능성 조사에서도 강 후보가 56.2%로 최 후보(20.3%)에 비해 35.9%p차로 크게 앞선 것으로 조사됐다.지역별로는 강 후보가 덕양구 43.0%, 일산동구 42.2%일산서구 42.3%를 얻어 전 지역에서 비슷한 지지를 얻었으며, 최 후보는 덕양구(28.7%)보다는 일산동구(30.2%)와 일산서구(34.3%)의 지지가 다소 높았다.경기지사 지지도, 고양서도 김문수가 유시민 앞서경기도지사 선거에서는 한나라당 김문수 후보가 54.4%로 50%대를 넘었으며, 고양갑에서 재선 의원을 역임한 국민참여당 유시민 후보는 32.5%를 기록해 두 후보간 차이는 19.7%p차이를 보였다. 진보신당 심상정 후보는 2.9%였으며, 부동층은 12.4%다.정당 지지도는 한나라당이 40.9%로, 민주당 23.5%에 비해 17.4%p차로 앞섰다. 국민참여당은 3.1%였다.도 교육감 후보 지지도에서는 김상곤 후보가 12.2%로 가장 높았으며, 이어 강원춘 후보(7.1%), 정진곤 후보(5.9%), 한만용 후보(2.8%) 순으로 조사됐다. 부동층은 무려 72.0%로 유권자들의 무관심이 여전한 것으로 드러났다. 고양시의 시급한 지역현안은 곡릉천창릉천 시민공원화(24.3%)와 킨텍스 2단계 및 한류월드 조속추진(21.7%)이 엇비슷했다. 투표여부에 대한 조사에선 반드시 투표할 것이란 응답이 63.0%로 조사됐다. /김재민김동식기자 jmkim@ekgib.com

네거티브 선거전 판친다

62지방선거전이 팽팽한 접전을 벌이면서 여야간, 후보들간 네거티브전이 가열되고 있다. 특히 여야와 후보들이 정책 대결보다는 상대방 흠집잡기를 위해 흑색선전, 깍아내리기 등에 거친 언어를 사용하면서 정책대결이 아닌 인신공격성 혼탁선거가 되고 있다.한나라당 경기도당은 18일 논평을 통해 엉겁결에 민주당 곁방을 차지한 우쭐함이 지나치다며 대구에서 서울에서 자리를 탐하다 기웃기웃거리다 엉겁결에 횡재했다고 지역철새론으로 유 후보를 공격했다. 또 김 후보측도 유 후보가 지난 2008년 총선당시 수도권 규제 완화에 반대했다며 경기지사 자질론으로 시비를 걸고 있다.이에 맞서 국민참여당 유시민 후보측은 김 후보의 정당 적응력을 칭찬하고 싶다며 민중당에서 제도정치권에 들어갔던 바꾼 과거 전력을 문제 삼고 있다. 이와 함께 수원시장 후보전도 낙하산 공천 발언을 놓고 고교 동문 후보간 날선 공방이 벌어지고 있다.한나라당 심재인 후보 선대본부는 이날 논평을 통해 염 후보가 모 언론사의 토론회에서 심 후보를 낙하산 공천자로 거론, 후보의 자격시비를 들고 나온 것은 사실을 왜곡하는 치졸한 발언이며염후보는 당내 경선과정에서도 네거티브 선거전을 펼쳤다고 비난했다. 이에 염태영 후보 선대위는 정확한 진위 파악 없이 네거티브전에 나서는 것은 수원시장 후보의 품격을 떨어뜨리는 것이라고 맞섰다.여기에 여야도 연일 상대 방의 수도권 광역단체장 후보에 대한 거친 인신공격을 퍼붓고 있다. 한나라당 지도부는 정치 낭인, 친북좌파, 정치 구걸 등의 거친 용어를 사용하며 노풍(노무현 바람) 차단을 위해 유 후보 때리기에 나서고 있으며 민주당도 김 후보가 박근혜 전 대표에게 구걸하고 있다고 맞받아치고 있다.지역정가 관계자는 이번 선거가 다음 총선뿐 아니라 대선 전초전 성격을 띠면서 여야뿐 아니라 후보들간 신경전이 더욱 심각해질 것이라며 앞으로 상호 비방전이 더 심해질 경우, 유권자들로부터 외면 당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김동식김규태장충식기자 dsk@ekgib.com

정치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