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운영 홈페이지 중국어사이트 엉망

인천시가 개설해 운영하고 있는 인터넷 홈페이지(http://www.metro.inchon.kr)의 중국어사이트가 엉망이어서 국제적 망신을 자초하고 있다. 사용된 문자가 북경어인 간체자(簡體字)가 아니라 대만이나 홍콩 등에서나 사용되는 정자체(正體字)여서 중국인들이 해독하기 어려운데다 관광명소 등을 제외한 정치 경제분야 등에 대한 소개도 전무하고 그나마 어휘나 표현 등이 이른바 ‘콩글리쉬(?)’중국어로 성의 없게 번역됐기 때문이다. 사업차 중국을 자주 왕래한다는 김모씨(42·무역업·인천시 부평구 산곡동 현대아파트)는 며칠전 현지에서 만난 중국 파트너로부터 핀잔을 듣고 얼굴이 화끈거렸다. “중국 네티즌들에겐 송도유원지나 인천대공원 안내 보다는 인천과 관련된 각종 자료가 더 시급한 게 아니냐”며 “어휘 선택도 중국에선 백화점(百貨店)이 공무원연금매장을 뜻하고, 우리가 쓰고 있는 백화점은 백화대루(百貨大樓) 또는 백화대하(百貨大厦)”라고 말했다. 중국인 유학생 천쉬에롱씨(29·중국 북경시)도 한국으로 오기전에 인천시청 홈페이지 중국어사이트를 노크했다 혼란스러웠다. 인천의 전반적인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사이트내 이곳저곳을 기웃거렸지만 표기된 문자가 정자체(正體字)여서 대학교육까지 마친 그도 일일이 사전을 찾아봐야 할 정도였고 관광명소 소개를 제외하고는 유익한 코너 “중국과의 교류가 갈수록 활발해지고 있는 현실을 감안, 중국어사이트를 개설하기 전에 대학측과 협의를 거쳤어야 마땅하다”고 말했다. /허행윤기자 heohy@kgib.co.kr

중국서 취업사기 여권강탈 23명 입국

지난달 하순께 취업차 중국 다롄(대련)을 방문했다가 사기당해 여권을 빼앗기고 귀국하지 못했던 이모(45·인천시 계양구 작전동)·강모(64·인천시 부평구 부평동)씨 등 23명이 지난 13일 오전 9시 대인호편으로 인천항 국제여객 터미널을 통해 입국했다. 법무부출입국 관리사무소는 이들이 대련의 한국 공관에서 발급해준 ‘여행증명서’로 중국에서 출항했으며, 인천항 입항 후 ‘여권분실 경위서’를 제출함으로써 정식적인 입국 절차를 모두 마쳤다고 밝혔다. 이들은 입국절차를 끝낸 뒤 인천지방경찰청 외사계로부터 피해자 조사를 받은 뒤 가정으로 돌아갔다. 한편 이들은 출입국사무소에 제출한 여권분실 경위서를 통해 “자신을 최성학 이라고 밝힌 한국인 남자가 ‘대련시내 원광무역에 취업시켜 월 200만원을 지급하겠다’며 자신들을 모집한 뒤 지난달 19일과 22일 2차례에 나눠 관광비자로 인천에서 중국으로 데려 갔다”고 진술했다. 또 최씨는 23일께 대련시내 한 빌딩 앞으로 자신들을 데려간 뒤 “저 곳이 원광무역이며 앞으로 여러분들이 취업할 곳인데 취업을 위해 필요하니 여권을 모두 나에게 모아 달라”며 여권을 받아가 잠적했다고 밝혔다. 이에따라 출입국관리소와 경찰은 최성학이라고 알려진 이 여권브로커의 신원파악에 나섰으나 가명인 것으로 드러났으며, 최씨의 인상착의를 확인해 국내 및 중국 현지 브로커 조직을 상대로 수사를 확대하고 있다. /김신호기자 shkim@kgib.co.kr

여성접대부 고용 퇴폐영업 찻집 성업중

인천시 남동구 간석2동 133 일대 주택가에 여성접대부를 고용하며 퇴폐영업을 일삼는 일명 ‘찻집’들이 우후죽순으로 들어서고 있어 주민들이 대책마련을 호소하고 있다. 14일 주민들에 따르면 주택가 골목인 이 일대에 지난해 6월부터 찻집들이 들어서기 시작해 현재 10여개소가 성업중에 있다. 이들 업소들은 오후 10시께부터 새벽 3∼4시까지 영업을 하고 있어 취객들의 고성방가와 현란한 네온싸인 등으로 심각한 수면방해에 시달리고 있다. 또 업소 맞은편 주택들의 경우 여름철에 창문조차 열지 못하는 등 주거조건 악화로 주택매매에도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일반음식점으로 허가를 내고도 버젓이 여성접대부를 고용하는 불법 퇴폐영업을 일삼고 있으나 단속의 손길은 전무한 실정이다. 주민 정모씨(43)는 “지난해 까지만도 남동구 지역에서 쾌적하기로 손꼽히던 동네가 불과 1년만에 창문도 제대로 못열고 사는 흉흉한 동네로 변하고 말았다”고 말했다. 이와관련, 경찰과 관할구청 관계자는 “현행법상 이 지역에 일반음식점 허가를 제재할 규정이 없다”며 “그러나 여성접대부 고용 등 불법퇴폐영업 업소에 대해서는 강력한 단속을 벌여나가겠다”고 밝혔다. /류제홍기자 jhyou@kgib.co.kr

시민단체들 대우차 정상화기구 구성

인천지역 관·재·정·학·종교·노동계 및 시민단체들이 ‘인천 자동차산업살리기 범시민협의회’를 구성, 대우자동차 정상화 운동을 벌여나가기로 했다. 최기선 인천시장, 지역 국회의원 등을 비롯한 각계 지도급 인사 91명으로 구성된 협의회 관계자 60명은 지난 13일 상공회의소에서 모임을 갖고 실무협의회(각 기관 실무급 간부 71명)와 실무추진반(상공회의소 2명 등 5명) 등 조직적인 대우차 정상화 운동을 위한 기구를 구성했다. 협의회의 세부추진 계획에는 관내 각 유관단체를 대상으로 한 ‘대우차 사주기 서신 보내기’와 각 단체 명의의 ‘현수막 걸기’등이 포함돼 있으며 시민단체와 일반시민들을 대상으로 한‘대우자동차 단체견학’도 추진해 나갈 방침이다. 이와함께 다음달 초 ‘인천시민 결의 및 걷기대회’7월 중 ‘인천지역 출신 연예인 초청 시민공연’을 열어 대우차 정상화에 대한 시민 공감대도 유도할 방침이다. 협의회는 관공서 업무차량 대우차로 교체 및 공공기관 내 대우차 전시 등 구체적인 대우차 판매지원에 나서는 한편 종교계와 법조계는 ‘대우차 살리기 기도회 및 법회’와 대우차 관련 무료자문기구를 각각 개최, 운영하는 등 조직적이고 범시민적인 ‘대우차 살리기 운동’을 전개해 나가기로 했다. 특히 협의회의 이같은 움직임은 인천지역 총 매출액 18.4%, 고용11.2%, 수출 20% 등 대우자동차가 인천경제에 절대적인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데 따른 것으로 그 기능과 역할에 인천시민들의 시선이 집중되고 있다. 이와관련, 이수영 인천상공회의소 회장은 “대우자동차 처리 문제가 인천경제를 고려하는 수준에서 이뤄지는지의 여부가 곧 인천경제의 존망을 가늠하는 만큼 정부는 협의회의 의견과 주장을 반드시 받아들여야 한다”고 말했다. /류제홍기자 jhyou@kgib.co.kr

인천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