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국제공항 슬롯머신 설치 추진

오는 2001년초 개항될 인천국제공항내에 슬롯머신을 설치하는 방안이 추진되고 있다. 19일 인천국제공항공사에 따르면 건설교통부가 최근 인천국제공항의 관광객 유치를 위해 문화부에 공문을 보내 공항 및 주변 호텔 등지에 슬롯머신을 설치, 현재 출입을 금하고 있는 내국인의 출입을 허용해 줄 것을 요청했다. 이에따라 문화부는 이에대한 검토작업을 벌여 허용 여부를 결정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인천국제공항과 주변 호텔 등지에 슬롯머신이 설치되기 위해서는 현행 관광진흥법 제27조 1항의 내국인 출입금지 조항이 삭제돼야 하는데다 문화부로부터 별도의 허가 절차를 받아야 한다. 이와관련, 건교부 관계자는 “현재 전세계 국제공항 가운데 슬롯머신이 설치된 곳은 미국의 라스베가스로 인천국제공항도 이곳 처럼 공항 주변에 내·외국인이 즐겨 찾는 다양한 위락시설을 유치, 동북아의 관문으로 만들기 위해 슬롯머신 설치가 검토되고 있다” 고 말했다. 한편 현행 관광진흥법상 슬롯머신 설치가 허용되는 곳은 외래 관광객들이 자주 이용하는 호텔 및 국제회의시설·1만t급 이상의 선박 등 3개 시설에 불과해 이번 건교부의 인천국제공항 슬롯머신 설치요구가 수용될 경우 정부의 슬롯머신 정책에 변화가 예상되고 있다. / 인치동기자 cdin@kgib.co.kr

경기도 밀레니엄 복지시책 추진키로

경기도는 내년도에 저소득층 생계지원 사업을 강화하고 자활 지원책을 확대하는 등 밀레니엄형 복지시책을 추진키로 했다고 밝혔다. 도에 따르면 19일현재 도내 한시적 생활보호대상자가 21만명이며 이같은 수치는 내년도에도 감소되지 않을 것으로 보고 이들에 대한 각종 지원책을 수립했다. 도는 저소득층 생계지원 사업에 1천731억원를 투입, 1인당 월 16만6천원 지급하던 지원금을 5천원을 올려 17만1천원을 지급하는 한편‘주거급여제’도 신설, 가구당 2만8천원을 추가 지급키로 했다. 또한 도는 거택 및 한시생계자 11만명에게 1천236억원을 지급하고 자활보호대상자 19만7천명에게도 495억원을 지원할 방침이며 373억원을 투입해 저소득층을 위한 자활지원센타 2개소를 건립키로 했다. 특별 취로사업비를 149억원으로 확대 편성하고 생활안정지원 사업으로 가구당 1천200만원이하의 신용 대출을 해주는 한편 자활 청소년 및 농어민 후계자에게 40억원의 장학금을 지급키로 했다. 사회복지전문요원을 263명에서 528명으로 확대해 복지요원이 미배치된 일선 시·군에 100% 배치하고 공공근로사업도 대졸자 취업 확대를 위해 단순직종외에 전문직종을 추가 신설키로 했다./최인진기자 ijchoi@kgib.co.kr

수도권 매립조합 국가공사화

경기, 인천, 서울 등 3개 시·도가 수도권내 쓰레기 매립을 위해 지난 87년 구성된 수도권매립조합이 빠르면 내년 상반기 국가공사화된다. 국회는 이미경 의원(무소속) 등 47명이 의원입법발의로 제출한 수도권매립지관리법을 지난 16일 본회의에서 통과했다. 이 의원은 이날 제안설명을 통해 “수도권매립지는 규모가 방대함에도 불구하고 경기·인천·서울시가 공동으로 설립한 수도권매립지운영관리조합과 환경부 산하기관인 환경관리공단이 위탁운영하고 있는 등 관리·운영이 이원화돼 책임소재가 불분명해 국가가 직접 관리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 법은 제정후 6개월이 지난후 시행돼 빠르면 내년 6월에는 수도권매립조합이 국가공사로 바뀌고 환경부가 직접 관리하게 된다. 수도권매립조합이 국가공사로 전환되면 환경부 장관은 수도권 매립지의 종합환경관리계획을 5년 단위로 수립·관리해야 한다. 공사는 대통령이 임명하는 사장 1인, 이사 3인, 감사 1인으로 구성된다. 또 현재 3개 시·도에서 근무지 지정 및 파견으로 나와있는 49명의 공무원들은 원대복귀하게 된다. 그러나 단일규모(592만평)로는 세계 최대인 수도권매립조합의 국가공사화에 대해 서울·경기·인천 등 3개 시·도가 반대하고 있어 국가공사로 전환된 뒤 쓰레기매립여부에 상당한 마찰이 예상된다. 경기도 관계자는 “폐기물관리법이나 지방자치법에 폐기물 처리시설의 설치, 운영에 대한 책임은 광역지방자치단체로 규정해 놓고 있는 상태에서 3개 시·도가 자체적으로 설립한 수도권매립지조합을 국가공사화한다면 책임소재 또한 불분명하게 되고 쓰레기 반입수수료 등의 결정여부도 지자체와 마찰을 빚을 소지가 높다”고 지적했다. /유재명기자 jmyoo@kgib.co.kr

도내 4개지역 택지개발지구 지정

건설교통부는 용인 구성지구 등 경기지역의 4개 지역을 비롯 전국 9곳의 177만5천평을 택지개발예정지구로 지정키로 하는 등 미니신도시 개발이 본격화 될 전망이다. 19일 건설교통부는 이번에 지정된 택지개발예정지구에는 경기지역의 경우 3만1천550가구(수용인구 10만1천425명)의 아파트 및 단독주택이 들어서는 것을 비롯 지방의 경우 1만3천540가구(4만3천140명) 등 모두 4만5천가구를 건설, 14만5천여명을 수용할 수 있는 규모라고 밝혔다. 도내에서 택지개발예정지구로 지정된 곳은 용인에만 2개지구로 용인 구성지구는 용인시 구성면 청덕리 일원 37만9천평에 9천150가구를 건설 2만8천365명을 수용하며, 용인 보라지구는 용인시 기흥읍 보라리·공세리 일원 29만9천평에 7천600가구를 건설 2만3천560명을 수용할 계획이다. 또 고양 일산2지구는 고양시 일산·풍동 일원 27만4천평에 7천가구를 건설해 2만4천500명을 수용하며 화성 봉담지구는 화성군 봉담면 동화리·상리·와우리·분천리 일원 24만1천평에 7천800가구를 건설, 2만5천명을 수용하게 되는 등 총 119만2천평이다. 이외에도 지방에서는 청주시 흥덕구 성화동·개신동 일원 14만2천평(청주 성화지구), 충남 공주시 신관동·금흥동 일원 17만3천평(공주 신금지구), 전북 전주시 완산구 효자동 일원 12만3천평(전주 효자4지구), 제주시 노형동 10만9천평(제주 노형지구), 북제주군 조천읍 함덕리 일원 3만6천평(북제주 함덕지구) 등 58만3천평이다. 이번에 지정된 9개지구는 주택공사, 토지공사 등 해당지구의 사업시행자가 2년이내에 개발계획을 수립한 후 실시계획 수립, 토지보상, 조성공사 등의 절차를 거쳐 택지로 개발, 공급하게 되며 택지공급 및 아파트분양은 2∼3년 뒤인 2002년 후반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표명구기자 mgpyo@kg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