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설>본예산 심의 부동의 통보

경기도가 경기도의회 예결위가 심의한 예산안에 대해 본예산 심의사상 처음으로 부동의 의사를 통보함으로써 경기도정은 새천년을 여는 첫날을 파행으로 열 수 밖에 없을 것으로 보인다. 17일 예결위에서 예산심의안을 확정해 본회의에 상정치 못했을 뿐만아니라 오는 20일까지로 연기된 본회의까지도 이번 심의과정에서 불거진 집행부와 도의회가 합의를 이끌어내기가 쉽지않아 보이기 때문이다. 우선 재심의를 위한 기한이 없다는 문제다. 도의회의 연회기 120일이 오는 23일 만료된다. 도가 20일 본회의에서 예결특위가 상정한 예산심의안을 부동의한뒤 재심의를 의뢰하더라도 불과 3일만에 또다시 심의를 거쳐 예산안을 확정하기란 물리적으로 어려운 실정이다. 특히 이번 예산심의과정에서 계수조정위(위원장 김재익) 소속 의원들이 부동의 통보를 받고 책상까지 뒤엎으며 불편한 감정을 표출하고 있을 뿐아니라 의원들과 관련된 예산을 빙자로 집행부가 의원들에게 압력을 행사했다고 주장하고 있어 짧은 기간중에 쉽게 감정의 실타래를 풀기가 어려워 보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도의 2000년도 예산안은 빨라야 내년 1월이나 돼야 의결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의원들이 재심의를 보고 있는 시각도 또다른 문제다. 의원들은 이번 예산심의가 채 일주일도 되지않아 충분한 심사가 이루어지지 않은만큼 도가 재심의를 요청할 경우, 철저한 심사를 통해 숨어있는 지사의 판공비 부분까지도 캐내겠다고 벼르고 있다. 이같이 의원들이 도가 제출한 예산안에 대한 세부사항까지 파고들 경우, 재심의 기간은 더욱 늘어날 수 밖에 없으며 감정이 상한 의원들이 재심의에서 도의 요청을 받아들일 지도 의문이다. 이와함께 편성권 문제를 둘러싼 갈등도 예산심의를 조기에 매듭지지 못할 요인으로 분석되고 있다. 도는 부동의 사유로 예산편성권은 집행부가 갖고 있는만큼 상임위나 예결위에서 삭감된 예산을 부활하고 신설된 예산은 삭감해 달라는 요청에서 더 나아가 삭감예산안을 도에서 작성, 제출하는 예산안을 승인해 달라고 요구하고 있다. 반면 도의회는 예산심의권이 있는만큼 도가 제출한 예산중 불요불급한 예산은 삭감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다. 결국, 이런 상황이 계속되면 도는 우선 급한대로 긴급재정체제로 내년 예산을 운영하며 재심의 결과를 기다려야 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긴급재정으로 도정을 운영할 경우, 경상비는 사용할 수 있으나 사업비 집행은 불가능해 내년도의 도민지원사업이나 기반시설 사업 등 각종 사업들은 차질을 빚을 수 밖에 없을 것으로 보인다. /정일형기자 ihjung@kgib.co.kr 최인진기자 ijchoi@kgib.co.kr

道, 예산안 부동의 도정개막 파행전망

경기도가 경기도의회가 심의한 2000년도 본예산에 대해 사상 처음으로 부동의 의사를 밝혀 밀레니엄시대의 도정 개막은 파행으로 맞게 될 것으로 보인다. 도의회 2000년도 예산결산위원회는 16일 저녁부터 계수조정소위를 열어 17일 오후 상임위 심의를 거친 3조6천809억1천여만원의 예산안중 196억7천여만원을 삭감하고 224억3천여만원을 증액한 3조6천837억1천여만원을 확정, 본회의에 상정할 계획이었으나 도가 부동의 의사를 밝힘에 따라 예산안 의결을 위한 본회의를 20일로 연기했다. 예결특위가 조정한 예산안은 경기도가 제출한 3조6천809억5천여만원보다 27억6천여만원이 증액된 것이나 삭감예산이 많아 예비비가 146억8천여만원에 달하는 규모다. 그러나 도는 예결위가 심의한 예산안에 대해 예산편성권한이 도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의회가 지나치게 많은 예산을 신설했을 뿐만아니라 각종 사업예산을 삭감, 사업추진이 어렵다며 부동의 의사를 도의회에 통보해 왔다. 도는 또 계수조정과정에서 사업예산중 5억∼10억원의 삭감과 상임위에서 삭감된 예산의 부활, 의원들이 신설한 예산의 삭감을 요구하고 이를 반영치 않을 경우, 의원과 연계된 사업들을 공개하겠다는 의사를 밝혀 의원들의 반발을 샀다. 이같이 도가 도의회가 심의한 예산안에 대한 부동의 의사를 밝혀옴에 따라 계수조정소위 (위원장 김재익) 소속 의원들은 109억6천여만원을 증액하고 218억9천여만원을 감액했던 1차 심의결과를 철회하고 2차 심의를 통해 77억5천여만원을 증액하는 대신 196억7천여만원을 삭감하는 최종안을 의결하고 본회의에 상정할 계획이었으나 불편해진 집행부와의 관계에 대한 조정으로 회의를 소집치 못했다. 특히 의원들은 이과정에서 집행부가 의회의 예산심의권을 지나치게 간섭하고 있을 뿐만아니라 의원들의 지역사업을 빌미로 압력을 행사하고 있다며 강한 불만을 표출했다. 한편 도는 이번 예산안이 본회의에 상정될 경우, 부동의를 통보할 계획이며 의회는 부동의 통보시 재심의에 착수할 예정이나 의회 연회기가 오는 23일로 만료돼 사실상 2000년도 예산안은 내년초나 돼야 의결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 경우 도는 올 예산을 준용한 가예산을 편성, 집행하되 경상경비만 집행이 가능하고 사업예산을 집행할 수 없어 파행운영이 불가피하다. /정일형 ihjung@kgib.co.kr 최인진기자 ijchoi@kgib.co.kr

자유의 다리 복원 일반에 공개된다

6.25 당시 포로교환 장소로 유명한 파주시 문산읍 마정리 임진각 ‘자유의 다리’가 복원돼 ‘독개다리’등과 함께 안보관광상품으로 일반에 공개된다. 17일 시는 6.25 50주년인 2000년을 맞아 이같은 내용의 ‘안보관광사업 기본계획안’을 마련, 추진해 나가기로 했다. 계획안에 따르면 독개다리(길이 900m)에 안보관광열차(미니기차)를 설치, 관광객들이 임진각에서 도보로 자유의 다리를 건너 열차를 타고 그동안 갈 수 없었던 독개다리 끝까지 간뒤 셔틀버스로 제3땅굴도 관광할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이다. 또 독개다리 옛 남·북쪽 초소에 비무장지대 녹슬은 철조망, 짚공예품, 주먹밥 등의 안보관광상품 판매전시장을 만들고, 자유의 다리앞 연못에 우리나라 국토 형태의 무궁화꽃 등(燈)(가로 60m, 세로 25m)을 띄운 통일연못도 조성한다. 이와함께 임진각 광장에 대형 낙서판(길이 84m, 폭 1.5m)을 만들어 고향에 보내는 글 등을 적을 수 있는‘망향의 장’을 조성하고 오는 31일 첫 타종되는 밀레니엄 평화의 종을 일반 관광객도 타종할 수 있게 할 방침이다. 시는 이를 위해 관련 군부대, 지방철도청 등과의 실무협의를 일부 끝냈으며, 지난해 8월 7억8천만원을 들여 96년 수해로 침수돼 붕괴위험이 있는 자유의 다리 해체공사를 시작, 지난 10일 원형 그대로 복원해 개방했다. 시는 이 사업들을 내년 3월말까지 모두 끝낸뒤 관광객을 맞이할 예정이며, 특히 2∼3년안에 제3땅굴, 도라전망대 일대를 관광지로 지정, 이들 안보관광시설과 연계하는 관광코스로 개발해 나가기로 했다. 한편 고양시는 성석동 오미산주요소 앞에서 설문동 설문교 구간 2차선 도로를 내년 3월부터 2003년 12월을 목표로 확포장할 계획이나 도비지원이 40%에 불과해 공사착공이 불투명한 실정이다./파주=고기석기자 koks@kg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