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공해도 더 높은 목표 추구로 행복 뒷전
인생에서 주된 목표가 성공과 출세인 사람들에게는 나쁜 소식이 나왔다. 최근연구에 따르면 야심가들은 좋은 대학에 들어가고, 연봉이 높은 직업을 얻을 가능성은높지만, 야심이 덜 한 동료들보다 조금밖에 더 행복하지 않고, 실제로 수명은 짧다는것이다.
노트르담 대학교 티모시 저지 경영학 교수 연구팀은 717명의 상위 능력자들을대학부터 은퇴 연령까지 수십년 간 추적 조사했다. 이 연구는 애초 로건 터먼 교수가시작한 것을 그의 사망으로 저지 교수가 이어받았다.
참가자들은 평균보다 똑똑했으며, 많은 사람이 하버드, 예일, 프린스턴, 옥스퍼드등 유명 대학교에서 학위를 받았으며, 물리학자, 대학교수 등 전문직을 가졌다. 또일부는 고등학교만 나왔으며, 또 다른 사람들은 지역 대학이나 명문이 아닌 대학을나왔고, 비전문적인 직업을 가졌다.
연구팀은 인생의 5가지 영역에서 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해 참가자들을 특정 시점에서조사했다. 5가지 영역은 직업, 가정생활, 여가활동, 건강, 인생의 즐거움 등이었다.그 결과 대부분의 경우 개인의 경력이 정점에 도달한 시기는 50대 중반으로 드러났다.또한 야망과 행복의 연관성은 강하지 않았으며, 연구가 끝날 즈음 야망이 강한 사람들은가장 덜 야심적인 사람들보다 사망률이 50%나 높은 것으로(45.5%와 30%였다) 나타났다.
특히 야심을 갖고 성공을 갈망했는데, 목표를 이루지 못한 사람들은 상황이 더욱좋지 못했다. 명문대학교를 나오고, 고연봉 직업을 가진 사람들은 수명에 미치는부정적인 영향은 다소 만회할 수 있었으나, 목표를 실현하지 못한 사람들은 오래살지도 못했으며, 다른 사람들보다 상당히 행복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저지 교수는 학교와 직장에서 다 성공한 야심적인 사람들은 오래 산다며 성공하지못할 경우 수명이 짧아지므로 야심을 가졌다면 성공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렇지않으면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밖에 없다고 말한다.
그러나 성공을 한 사람들도 그들이 지닌 야심 때문에 인생의 즐거움을 누리지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끊임없이 자신에게 부과하는 기준을 높여가기 때문에 항상성공을 갈망하게 되는 것이다. 그 결과 인생의 행복을 느낄 겨를이 없어지고 오히려불행해진다는 것이다.
따라서 연구팀은 인생에서 성공으로 규정한 것이 행복하고 건강한 생활을 보장해주는것은 아니라며, 성공 못지않게 안정된 가족관계, 지속적인 우정 등도 중요하다고강조했다.
이 같은 내용은 미국 폭스뉴스가 12일 보도했다.
[관련기사]
☞20분만운동해도 유전자가 달라진다
☞살찌는당신이런 함정에 빠져 있다
☞과일채소많이 먹으면 피부에서 빛이 난다
☞행복느낌 전염되면 10년 흐뭇불행은?
☞동료와월급 비교하는 사람, 불행 두배
건강·의학
코메디닷컴
2012-03-14 09: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