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월의 월급’ 연말정산 꼼꼼히 체크!

맞벌이 부부, 무조건 한사람에게 몰아줘? 급여차이 적을땐 개별공제 더 유리 기본공제 대상은 어디까지 배우자 형제자매 교육비도 가능해요 13월의 월급을 한푼이라도 더 받기 위한 직장인들의 손길이 분주해지고 있다. 세법 전문가들은 조금만 더 꼼꼼하게 공제 항목 및 자신의 적용 여부를 살피면 그만큼 13월의 월급을 더 받을 수 있다고 조언했다. 20일 전문가들에 따르면 근로자들이 혼동하기 쉬운 것으로 우선 기본공제 대상자의 요건인 소득금액 100만원 이하라는 항목을 꼽았다. 이는 배우자나 부양가족의 소득금액이 100만원 이하여야 연말정산 시 기본공제 대상자가 되기 때문이다. 즉 1인당 소득금액이 101만원만 돼도 소득공제를 받을 수 없는 것이다. 그러나 소득금액과 소득과는 차이가 있다. 소득은 보통 세전 수입, 즉 매출이나 총급여를 의미한다. 반면 연말정산시 적용하는 소득금액은 소득에서 필요경비 등을 제외한 금액이다. 또 맞벌이 부부는 누가 지출하느냐에 따라 연말정산의 수혜 여부가 엇갈릴 수 있다. 부부의 급여 차가 많으면 급여가 많은 사람이 부양가족 공제 등을 몰아서 받는 것이 유리하다. 그만큼 과표가 낮아지기 때문이다. 반면 급여 차이가 적은 경우에는 과세 표준이 최대한 동일하게 되도록 공제금액을 분배하는 게 유리하다. 또 기본공제를 받는 사람이 교육비, 의료비, 보험료, 신용카드공제 등 특별공제를 받는 것이 원칙인 만큼 기본공제를 받을 사람이 이를 지출해야 소득 공제가 가능하다는 점도 유의해야 한다. 의료비는 총 급여의 3%를 초과해야, 신용카드는 총 급여의 25% 이상을 사용해야 공제가 가능한 만큼 부부 중 어느 한 쪽이 지출한 금액이 위 요건에 미달하면 공제를 받지 못할 수 있다. 이런 때에는 한쪽으로 몰아서 부부 중 한 사람이 지출해야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다. 이와 함께 본인이나 배우자의 형제자매도 기본공제 대상에 포함될 수 있으며, 이들의 대학 교육비를 부담한 경우에는 900만원을 한도로 교육비 공제를 받을 수 있다. 초중고교생의 경우 한도는 300만원이다. 최원재기자 chwj74@kyeonggi.com

직장인들 올해 ‘설 상여금’에 주머니 두둑해지나

설을 앞두고 기업들의 체감경기는 나빠졌지만, 설 상여금을 지급하는 기업은 늘어날 것으로 조사됐다. 상여금 지급액도 오르고 연휴 기간도 길어져 전년보다는 풍성한 명절이 될 것이란 전망이다. 19일 한국경영자총협회가 발표한 2014년 설 연휴 및 상여금 실태조사에 따르면, 전년 대비 설 체감경기가 악화됐다(46.6%)는 기업이 개선됐다(9.8%)보다 높았다. 하지만 기업의 76.4%가 상여금을 지급하겠다고 답해 전년(72.3%)에 비해 오히려 4.1%p 높아졌다. 설 상여금 지급액도 전년(118만 1천 원)보다 4.3% 증가한 123만 2천 원으로 집계됐다. 대기업(173만 1천 원)이 중소기업(111만 8천 원)보다 지급액은 많았지만 지급액 증가폭은 중소기업(5.4%)이 대기업(1.3%)보다 컸다. 기업들의 설 상여금 지급 방식은 고정상여금 형태가 75.1%로 가장 많았고 별도 휴가비 형태(15.4%), 고정상여금 및 별도 휴가비 동시지급(9.5%) 순으로 나타났다. 기업의 설 연휴기간은 지난해보다 0.6일 늘어난 평균 4.1일로 나타났다. 올해는 일요일과 연결된 설 연휴로 4일을 쉬는 기업비율이 전년보다 대폭 증가(29.0%63.4%)하면서 대다수 기업(80.3%)이 4일 이상 휴무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기업규모별로는 대기업(4.4일)의 연휴가 중소기업(4.0일)보다 다소 길었다. 근로자들이 개별적으로 연차휴가 등을 활용하면 실제 연휴일수는 12일 더 늘어날 것으로 전망됐다. 정자연기자 jjy84@kyeonggi.com

‘AI 비상’ 재래닭 등 종축 가금류 방역 총력

전북에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가 발생한 가운데 농촌진흥청이 연구가치가 뛰어난 종축 가금류 방역을 강화하고 나섰다. 농촌진흥청은 국립축산과학원에 보유하고 있는 종축 중 가금류에 대한 철저한 차단방역과 함께 일반 농가에도 방역관리를 실시하고 있다고 19일 밝혔다. 축산과학원은 토종 재래닭 등 유전적 가치가 뛰어난 종계나 종오리 등 모두 2만2천490마리(닭 1만6천34마리, 오리 6천456마리)의 종축 가금류를 보유하고 있다. 이들 가금류는 수원 축산과학원 본원(닭 703마리)과 천안 자원개발부(닭 1만2천847마리, 오리 6천456마리), 남원 가축유전자원시험장(닭 2천484마리)에 각각 분산 관리되고 있다. 이양호 청장은 17일 농촌진흥청 구제역AI특별대책추진상황실을 찾아 재해대응과장으로부터 차단방역 대책을 보고 받고 농진청 보유 종축에 대한 방역 관리를 철저히 해 줄 것을 지시했다. 또 도농업기술원과 시군농업기술센터를 통해 가금류 사육농가를 대상으로 방문자 출입제한, 사료차량 출입 등 오염원차단, 철새의 분뇨가 묻어서 유입되는 사례가 없도록 할 수 있는 모든 수단을 강구하라고 당부했다. 특히 12월에 시군농업기술센터가 주관이 돼 추진하고 있는 새해농업인 실용교육 추진에 있어서도 전북지역에는 축산농가 대상으로 실시하는 교육을 무기 연기하도록 했으며, 가금 및 축산농가들의 모임, 연찬, 집합교육 등을 자제해 동물전염병 AI확산 우려를 차단하는데 동참할 것을 주문했다. 구예리기자 yell@kyeonggi.com

중기청, 2014년도 중소기업 수출역량 강화사업 참여 기업 신청받아

중소기업청은 2014년도 중소기업 수출역량 강화사업 추진계획을 확정하고 20일부터 신청을 받는다. 중소기업 수출역량 강화사업은 수출 초보수출 유망글로벌 강소 등 단계별로 각종 해외 마케팅 도구를 패키지로 지원하는 사업이다. 수출 초보 기업 1천 개 사, 수출 유망 기업 400개 사, 글로벌 강소기업 150개 사 등 총 1천550여 개 사를 선정지원할 예정이다. 선정된 수출 초보 기업은 2천만 원 한도에서 소요 비용의 90%, 수출 유망 기업은 3천만 원 한도에서 소요 비용의 70%, 글로벌 강소기업은 1억 원 한도에서 소요비용의 50%를 지원받을 수 있다. 특히 중기청은 올해부터 수출 사업 서비스 지원제도를 새로 도입해 내수와 수출 초보 기업의 해외 진출에 가장 큰 애로인 제품홍보디자인, 통번역, 법률회계해외 마케팅 등 수출 애로 컨설팅을 수출지원센터와 연계해 원스톱으로 제공한다. 오는 3월부터 수출에 애로를 겪는 내수ㆍ수출 초보 기업이 지방중기청 수출지원센터를 방문하면 상담진단을 받아, 필요한 사업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올해는 50억 원의 예산으로 1천500개 사를 지원할 예정이다. 중소기업 수출역량 강화사업에 참여를 원하는 기업은 중소기업 수출지원센터 홈페이지(www.exportcenter.go.kr)에서 다음 달 7일까지 신청하면 된다. 정자연기자 jjy84@kyeonggi.com

경제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