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4월 주한미군 오산 공군기지로 미군 군 연구소에서 탄저균 샘플을 배송한 사고와 관련해 한미 합동실무단이 구성됐다. 12일 외교부에 따르면 한미 합동실무단은 기존의 SOFA 합동위나 산하에 있는 20개 분과위와는 별개로 설치된 조직이며 이번 탄저균 배달사고를 다루기 위한 한시조직이다. 우리 측에서는 국방부 정책기획관이, 주한미군에서는 기획참모부장(소장급)이 각각 양측 단장을 맡았다. 합동실무단에는 우리 측의 국군화생방방호사령부, 국군의무사령부, 국방과학연구소, 질병관리본부, 외교부, 기획재정부, 농림축산식품부, 관세청, 민간 법률 및 미생물 분야 전문가 각 1명 등이 참여하며 한미 양측에서 최소한 20명 이상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합동실무단은 이달 중으로 탄저균 배달사고가 발생한 미 오산 공군기지 검사실을 방문해 한미간에 기술적인 공동조사 및 평가를 처음으로 실시할 예정이다. 한미는 또 합동실무단 구성과 별도로 15일 SOFA 정기 합동위원회(제 195차)를 개최해 탄저균 배달사고를 정식 의제로 상정하는 한편, 이번 사고 이후 진행과정과 한미간 협의 사항 등을 검점하고 합동실무단 활동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다. 탄저균 배달사고와 관련한 조사 및 재발방지책은 이달 중으로 발표될 것으로 예상되는 미측의 자체 조사결과와 이를 바탕으로 한 합동실무단 활동, SOFA 합동위 등을 통해 최종 마무리될 것으로 보인다. 외교부 관계자는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검토를 위해 통합협의체로서 합동실무단을 구성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정진욱기자
북한국제
정진욱 기자
2015-07-12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