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저균 배달사고 파악 포천 사격장 피해 방지

SOFA 합동위원회 개최

▲ 지난 4월 발생한 주한미군 탄저균 샘플 배달사고 등을 논의하기 위한 한미 양국의 주한미군 주둔군 지위 협정(SOFA) 합동위원회가 15일 오후 서울 외교부 청사에서 열렸다. 한미 공동위원장인 신재현(왼쪽 네번째) 외교부 북미국장과 테런스 오샤너시(오른쪽 두번째) 주한미군 7공군사령관이 인사를 나누고 있다.  연합뉴스

한미는 15일 최근 빚어진 오산미군기지 탄저균 배송사건과 관련해 합동위원회를 가졌다.

이날 합동위에서는 지난 11일 구성된 한미합동실무단의 운영 방향과 포천 군사격장 민간피해 등에 대해 논의가 이뤄졌다.

외교부 관계자는 이날 합동위 직후 “한미 양측은 주한미군 탄저균 배달사고와 관련해 지난 11일 한미합동실무단이 구성된 것을 평가했다”며 “양측은 향후 합동실무단의 면밀한 사실 관계 파악과 유사 사고 재발을 방지할 수 있는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대책이 마련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협력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SOFA 운영·절차 개선’에 대한 언급은 정부가 주한미군 탄저균 배달사고의 재발을 막기 위해 SOFA 협정 자체를 개정하는 것보다 ‘합의권고문’(Agreed Recommendation) 개정으로 가닥을 잡은 것을 시사한 것으로 받아들여진다.

그러나 주한미군의 탄저균 배달사고와 관련한 종합적이고 최종적인 대책은 이달 중으로 예상되는 미측의 자체 조사결과 발표와 한미 합동실무단 활동 이후 나올 것으로 보인다.

지난 4월 미국 군(軍) 연구소에서 살아 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탄저균 샘플이 주한미군 오산 공군기지로 배송되는 사고가 발생했고 오산 기지 실험요원 22명이 노출됐으나 감염되지는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날 회의에서 지난 3월 발생한 포천 지역 미군 연습탄 민간피해 사고(도비탄 사고)와 관련, 미측은 미8군이 현재까지 진행한 조사결과를 우리 측에 설명했으며 향후 재발 방지를 위해 우리 정부와 단계별로 긴밀히 협력해 나가겠다는 뜻을 밝혔다.

또 한미는 주한미군기지 평택 이전과 연계된 한국인 근로자의 감원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가능한 범위내에서 모든 협력을 다하기로 했다.

정진욱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