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문예회관 경영합리화 시급

경기도 문화예술회관의 관람객수가 적고 수입도 매년 감소하는 등 채산성이 적어 경영합리화 조치가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도에 따르면 경기도 문화예술회관이 실시중인 각종 문화·예술 행사가 도민의 다양한 욕구를 총족시키기에 미흡할뿐만 아니라 관람률도 저조하다. 도립예술단 정기공연의 경우 올 한해동안 1만5천587명이 관람해 4천300만원의 수익을 올렸으나 1만7천652명 관람에 5천800만원의 수익을 올린 지난해보다 관람객은 2천65명, 수익은 1천500만원이 각각 감소됐다. 이 공연의 평균 관람률은 지난 2년간 60%에 불과했다. 특히 지난해에 비해 세입예산은 5.8% 감소한 반면 세출예산은 11.2% 포인트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문예회관측이 도민의 다양한 문화적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했던 것은 물론이고 급변하는 지역 정서마저 외면했던 결과로 지적되고 있다. 도는 문예회관이 민간위탁시설로 전환된후 인력 배치가 불합리하고 유사·중복 업무도 상당수 있는 등 조직관리에 대한 문제점도 이같은 현상을 부채질한 것으로 분석했다. 이와관련, 도 관계자는“문예회관은 현재 채산성이 적어 경영합리화 조치가 필요하다”며 “창작 국악공연을 포함해 온 가족이 관람할 수 있는 대중화된 프로그램 개발이 시급하다”고 말했다./최인진기자 ijchoi@kgib.co.kr

97년 도민 1인당 총생산 13% 증가

97년말 현재 경기도민 1인당 GRDP(지역내총생산)는 947만2천800원으로 전년에 비해 79만3천900원인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천시가 2천415만1천200원으로 가장 높았고 화성군(2천318만8천400원), 용인시(2천157만7천200원) 순인 반면 고양시(439만5천900원), 하남시(452만1천200원), 의정부시(513만1천800원)는 가장 낮았다. 29일 경기도가 발표한 지난 97년 기준 지역내총생산 현황에 따르면 도지역총생산 (경상가격 기준)은 79조1천246억원으로 전년 69조4천417억원보다 13.94%인 9조6천829억원이 증가했다. 경제성장률은 10.34%로 전년 성장율 8.33%보다 2.01%P 높았다. 지역내총생산을 시·군별로 보면 수원시가 9조8천385억원으로 가장 많았고 안산시 7조3천90억원, 용인시 6조2천6억원 순이었다. 반면 가장 작은 규모는 연천군(4천385억원), 양평군(4천620억원), 가평군(4천801억원) 등이다. 특히 수원시는 전년보다 증가율이 33.7%로 삼성전자와 유사업종 등으로 성장률이 지속됐고 포천군은 -2.9%로 오히려 감소했다. 경제활동별 부가가치 규모를 살펴보면 제조업(46,86%), 건설업(13.83%), 부동산임대업 및 사업서비스업(10.43%) 등이 높았고 광업(0.2%), 통신업(1.3%), 운수창고업(1.9%)은 낮았다. 시·군별 경제성장률은 수원시(9조3천722억원), 이천시(3조5천714억원), 화성군(3조6천122억원)의 성장율이 증가한 반면 포천군(1조732억원), 광명시(1조6천122억원), 여주군(9천28억원) 등은 감소했다. 이는 지역별로 제조업, 통신장비업 등 생산시설이 많은 지역은 성장률이 급증하고 생산시설이 없는 지역은 후퇴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도는 이에 따라 이 GRDP를 토대로 2020 비전전략 수정시 지역별 구조를 개선하고 재정지원 등에 참고로 활용할 계획이다. 지역내총생산은 한 지역 안에서 가계기업, 정부 등 모든 경제주체가 일정기간동안 생산활동에 참여해 창출한 부가가치를 시장가격으로 평가한 합계다. /유재명기자 jmyoo@kgib.co.kr

대통령 특별담화 후속조치 발표

마지막 장기수 2명과 모범수형자, IMF형 경제사범등 3천501명의 재소자들이 가석방, 형집행정지 등으로 풀려난다. 또 보호관찰 대상자 중 6천145명에 대한 보호관찰이 가해제되고, 담합 등으로 입찰참가 자격제한 등의 제재를 받고 있는 건설업체와 건설기술자에 대한 제재조치 및 신용불량 관리대상자에 대한 금융제재가 해제되는 등 106만명이 새천년을 앞두고 대통령의 은전을 받게된다. 이와함께 소액 재산범죄나 수표부도사범 등 생계형 범죄로 수배를 받고 있는 이들에 대해서는 내년 1월1일부터 3개월간 자수기간이 설정돼 이 기간에 자수하면 불구속 등의 선처를 받는다. 김정길(金正吉) 법무부장관은 29일 김대중(金大中)대통령의 특별담화와 관련, 이런 내용의 후속조치를 발표하고 오는 31일부터 시행키로 했다. 석방대상자를 유형별로 보면 가석방 3천242명, 가출소 58명, 가퇴원 192명, 형집행정지 9명이다. 형집행정지 대상은 마지막 장기수로 불리는 성모씨(70·대구교도소), 신광수씨(69·광주교도소) 등 남파간첩출신의 비전향 장기수 2명과 형기의 절반이상을 채운 현대자동차 전 노조위원장 김광식씨 등 노동사범 3명, 전 남총련의장 정오균씨 등 한총련 관련 사범 4명이다. 이들은 정부의 조건없는 석방방침에 따라 준법서약서를 쓰지않고 풀려나게됐다. 가석방 대상에는 형기의 80% 이상을 복역한 모범수형자 중 각종 기능자격 취득자 548명, 검정고시 합격자 138명, 각종 기능대회 입상자 68명, 외부통근자 307명, 무기수 12명, 형기 10년 이상의 장기수 197명 외에 교통사고 등 과실범과 수표부도등 IMF형 경제사범 등이 포함됐다. 지난 89년 제도 도입 이래 10년만에 처음 이뤄지는 보호관찰 해제는 12월10일 현재 보호관찰 기간의 2분의 1을 경과한 자로서 재범의 위험성이 적고 관찰성적이 양호한 6천145명을 대상으로 했다. 입찰참가자격 제한이 해제되는 건설업체는 담합행위 등이 적발된 2천734개 건설업체와 264개 설계, 감리업체이며 자격대여 등으로 자격정지 등의 제재를 받고 있는 7천837명의 건설기술자는 제재해제와 벌점삭제 혜택을 받는다. 법무부는 자수기간에 자수하는 생계형 범죄자에 대해서는 원칙적으로 불구속 수사하되 피해회복이나 원상회복이 된 경우에는 불기소 처분하며 구속수사 대상자도 구형량을 최대한 낮추기로 했다. 법무부는 또 소액부도 등으로 금융권에서 신용불량자로 분류된 이들 중 채무를 변제하고도 신용불량 관리대상자로 남아 금융제재를 받고 있는 106만3천491명(99년10월말 현재)을 구제하기 위해 일반채무 500만원, 카드연체 50만원인 신용불량 기준을 1000만원, 100만원으로 각각 상향조정하고 제재조치를 선별적으로 해제하도록 금융권에 권장키로 했다./유제원기자 jwyoo@kgib.co.kr

국회 정개특위 회의한번 못열고 해산

여야간 실랑이 끝에 이틀짜리 ‘초단기’ 활동시한을 갖고 재구성된 국회 정치구조개혁 입법특위가 회의 한번 열지 못한 채 29일 또다시 활동시한 종료로 해체되고 말았다. 여야는 지난 24일 정개특위가 해체된 후 정치개혁 협상을 국회 행정자치위로 넘기자는 여당과, 특위를 재구성하자는 야당으로 나뉘어 맞서오다가 3당 총무회담에서 2일간 정개특위를 재구성키로 겨우 합의, 28일 본회의에서 특위 구성안을 통과시켰다. 이에따라 여야는 28일과 29일 특위 회의를 열어 정치개혁협상을 속개, 선거법, 국회관계법, 정당법 등에 대한 절충을 벌일 예정이었다. 그러나 특위는 첫날 회의에 이어 29일 오전 회의에서도 24명의 특위위원중 고작 8명만 참석, 성원미달로 유회됐다. 이로 인해 특위는 협상은 커녕 위원장 및 3당 간사 선임도 못하는 등 특위 구성절차도 밟지 못하고 ‘수명’을 다하는 진기록을 세웠다. 특위 위원들이 회의에 대부분 불참한 것은 무엇보다도 협상의 가장 큰 줄기인 선거구제 문제가 매듭지어지지 않은 상황에서 하루동안 특위를 가동해 봐야 별 소득이 없을 것이라고 예단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에따라 “회의도 하지 않을 특위를 왜 구성키로 했느냐”며 특위 위원들의 성실성에 대한 비난여론이 거세게 일고 있다. 뿐만아니라 3당 총무들이 아예 ‘2일간’의 초단기 특위 활동에 합의한 것 자체가 문제라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 결국 합동연설회 폐지문제와 법인세 정치자금화 문제 등 아직 합의되지 않은 쟁점사안들은 새 천년에서나 다시 논의되게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