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7년말 현재 경기도민 1인당 GRDP(지역내총생산)는 947만2천800원으로 전년에 비해 79만3천900원인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천시가 2천415만1천200원으로 가장 높았고 화성군(2천318만8천400원), 용인시(2천157만7천200원) 순인 반면 고양시(439만5천900원), 하남시(452만1천200원), 의정부시(513만1천800원)는 가장 낮았다.
29일 경기도가 발표한 지난 97년 기준 지역내총생산 현황에 따르면 도지역총생산 (경상가격 기준)은 79조1천246억원으로 전년 69조4천417억원보다 13.94%인 9조6천829억원이 증가했다.
경제성장률은 10.34%로 전년 성장율 8.33%보다 2.01%P 높았다.
지역내총생산을 시·군별로 보면 수원시가 9조8천385억원으로 가장 많았고 안산시 7조3천90억원, 용인시 6조2천6억원 순이었다.
반면 가장 작은 규모는 연천군(4천385억원), 양평군(4천620억원), 가평군(4천801억원) 등이다.
특히 수원시는 전년보다 증가율이 33.7%로 삼성전자와 유사업종 등으로 성장률이 지속됐고 포천군은 -2.9%로 오히려 감소했다.
경제활동별 부가가치 규모를 살펴보면 제조업(46,86%), 건설업(13.83%), 부동산임대업 및 사업서비스업(10.43%) 등이 높았고 광업(0.2%), 통신업(1.3%), 운수창고업(1.9%)은 낮았다.
시·군별 경제성장률은 수원시(9조3천722억원), 이천시(3조5천714억원), 화성군(3조6천122억원)의 성장율이 증가한 반면 포천군(1조732억원), 광명시(1조6천122억원), 여주군(9천28억원) 등은 감소했다.
이는 지역별로 제조업, 통신장비업 등 생산시설이 많은 지역은 성장률이 급증하고 생산시설이 없는 지역은 후퇴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도는 이에 따라 이 GRDP를 토대로 2020 비전전략 수정시 지역별 구조를 개선하고 재정지원 등에 참고로 활용할 계획이다.
지역내총생산은 한 지역 안에서 가계기업, 정부 등 모든 경제주체가 일정기간동안 생산활동에 참여해 창출한 부가가치를 시장가격으로 평가한 합계다.
/유재명기자 jmyoo@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