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림 시어터 "동료 뿌리 둔 곳이라 뜻깊다"

(연합뉴스) 세계적인 록밴드 드림 시어터(Dream Theater)의 내한공연이 한 달 앞으로 다가왔다. 한국계 멤버 존 명(베이시스트)이 포함된 터라 한국에 각별한 애정을 보이고 있는 이들로서는 벌써 다섯 번째 단독 내한공연이다. 드림 시어터의 드러머 마이크 포트노이(Mike Portnoy)는 공연을 앞두고 연합뉴스와 가진 이메일 인터뷰에서 "존 명의 뿌리가 있는 한국에서 공연을 한다는 것은 언제나 아주 뜻 깊은 일"이라며 "예전에는 해외 투어 때 일본 공연이 전부였지만 이제는 한국에서 반드시 공연을 하고 있다"고 소감을 밝혔다. 드림 시어터는 1985년 버클리 음대에서 만난 기타리스트 존 페트루치, 존 명, 마이크 포트노이 등을 주축으로 결성됐다. 서정적인 멜로디와 강렬한 기타 연주를 내세운 프로그레시브 메탈로 전 세계에서 많은 팬을 확보했다. 1991년 2집 '이미지 & 워즈(Image & Words)'에서 '풀 미 언더(Pull Me Under)' 등을 히트시킨 후 '어웨이크(Awake)' '폴링 인투 인피니티(Falling Into Infinity)' '신스 프롬 어 메모리(Scenes From A Memory)' 등 수작을 잇달아 발표했다. 한국에서는 2000년 5월 서울 올림픽공원 테니스경기장에서 첫 단독 내한공연을 열었다. 이후 2년마다 국내 팬을 만나고 있으며, 지난해에는 1월 올림픽공원 펜싱경기장에서 콘서트를 꾸몄다. 내년에는 1월12일 오후 6시30분 서울 광장동 멜론악스홀에서 공연을 펼친다. 이하 일문일답. --다섯 번째 내한공연을 하는 소감은. ▲처음 한국에 왔을 때 한국 팬의 열정에 우리가 놀랐던 것을 기억한다. 예전에는 일본 공연이 전부였지만 이제는 한국에서 꼭 공연을 한다. --이번 공연의 특색은. ▲새로 나온 '시스터메틱 카오스(Systematic Chaos)'의 수록곡을 주로 연주할 예정이다. 한국 팬들은 아직 신곡을 공연에서 접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신작은 헤비메탈, 프로그레시브, 멜로디가 있는 서정적인 음악까지 모두 포함했다. '리펜턴스(Repentance)'는 서정적이면서 몽환적이고, '더 다크 이터널 나이트(The Dark Eternal Night)'와 '콘스턴트 모션(Constant Motion)'은 헤비메탈스러운 곡이다. --프로그레시브 메탈의 매력은. ▲많은 음악의 결합체다. 음악 자체를 중시하는 장르로 깊이가 있다. 이 음악을 들을 때는 영화를 보거나 책을 읽는 것 같은 느낌을 받을 수 있다. 우리 음악은 예전 프로그레시브 록 밴드인 예스나 제네시스보다 훨씬 현대적이다. 그래서 팬들도 공감하는 것 같다. --음반 제작 때 메시지와 음악 중 어느 것을 먼저 만드나. ▲음반마다 다르다. '옥타베리엄(Octavarium)'이나 '신스 프롬 어 메모리'는 콘셉트를 정한 후 음악을 만들었고, 이번 신보는 7곡을 콘셉트 없이 먼저 만들었다. 다만 메시지보다는 깊이 있고 감동을 주는 음악 자체를 더 중시한다. --가장 기억에 남는 음반은. ▲'신스 프롬어 메모리'다. 밴드 사상 가장 중요한 시기였고, 사느냐 죽느냐의 기로에 놓였을 때 발매한 음반이다. 다행히 음악적으로나 상업적으로 큰 성공을 거뒀다. 이 앨범을 통해 우리는 '부활'했다고 생각한다. --음악 작업을 하지 않을 때 멤버들간의 교류는. ▲자주 만나지 못한다. 두 명은 뉴욕, 두 명은 펜실베이니아, 한 명은 캐나다에 산다. 평소 많은 시간을 스튜디오나 투어에서 보내기 때문에 작업이 끝나면 가족과 시간을 보내려 노력한다. 하지만 부인들끼리 친하기 때문에 명절 때는 모이기도 한다. --최근 자주 듣는 음악은. ▲장르를 가리지 않는다. 항상 좋아하는 아티스트는 비틀스, 레드 제플린, 더후, 핑크 플로이드 등이다. 뮤즈, 콜드 플레이도, 램 오브 갓 등도 즐겨 듣는다. 하지만 우리 음반은 녹음이 끝나면 잘 듣지 않는다. 스튜디오에서 3천 번 이상 듣기 때문이다. --음악 외에 관심 있는 분야는. ▲영화에 관심이 많다. 집에 영화관도 마련했다. 많은 양의 DVD를 갖고 있으며, 영화 제작, 감독에도 관심이 있다. 그래서 드림 시어터의 DVD를 직접 감독한다. --수 차례 한국 공연을 하면서 접한 한국 이미지는. ▲한국 하면 떠 오르는 것은 존 명이다. 그의 뿌리가 있는 한국에서 공연을 한다는 것은 아주 뜻 깊은 일이다. --한국 공연에서 기억에 남는 에피소드는. ▲맨 처음 한국에서는 록페스티벌 무대(1999년 트라이포트 록페스티벌)에 섰다. 당시 태풍 때문에 비가 너무 많이 와서 공연이 취소되지 않을까 걱정했다. 다행히 우리 무대에서는 비가 오지 않았다. 하지만 바람이 많이 불어서 조던 루데스(키보드)의 커닝노트가 날아가지 않을까 조마조마했던 기억이 있다. --한국 문화 중 좋아하는 것은. ▲한국 문화는 내가 좋아하는 영화감독 중 한 명인 박찬욱 감독의 영화를 보면서 많이 접하고 있다. 그는 최고의 감독 중 하나인 것 같다.

SBS FM '직장인밴드' 대상에 비추미밴드

(연합뉴스) 삼성생명의 사내 동호회인 비추미밴드가 SBS 파워FM(107.7㎒)이 주최한 제1회 직장인 밴드 콘테스트에서 대상을 차지했다. 15일 오후 목동 SBS에서 그룹 DJ DOC 김창렬의 사회로 진행된 이번 콘테스트에는 예선을 통과한 총 7개 팀이 출전, 혼성 6인조인 비추미밴드가 창작곡 '니가 없어 행복해'를 선보이며 대상(상금 200만 원)을 거머쥐었다. 우수상(상금 100만 원)은 '아름다운 강산'을 부른 인터넷동호회 7080프로젝트 밴드, 인기상(상금 50만 원)은 'What's up'을 부른 주부 직장인 밴드인 샤인밴드가 각각 차지했다. 크라잉넛과 김종서, 김창렬이 축하 공연을 펼친 이날 콘테스트 실황은 30일 오후 4시 SBS 파워FM '김창렬의 올드스쿨'을 통해 방송된다. 대상을 받은 비추미밴드의 리더 조성호 씨는 "2002년부터 멤버들이 최소한 일주일에 한 번씩은 모여서 연습해왔다. 이번 수상을 기회로 앞으로도 밴드를 즐길 수 있도록 더 신나게 활동할 것"이라며 "오늘 탄 상금의 일부는 현재 원유 유출사고가 일어난 태안반도 주민분들께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도록 기부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창렬의 올드스쿨'은 매주 토요일마다 '우리는 직장인밴드다!' 코너를 진행하며 다양한 직장인 밴드들을 소개하고 있다.

<2007 대중문화> ④가요(끝)

(연합뉴스) SG워너비ㆍ에픽하이 등 음반 판매량 10만 장을 넘긴 가수는 몇 안됐다. 대안으로 디지털 싱글, 싱글 및 미니음반 출시가 자리잡는 과도기였다. 장르별로는 아이돌 그룹이 대세였다. 빅뱅, 원더걸스, 소녀시대, F.T아일랜드가 온라인 차트를 휩쓸며 시장을 형성했다. 1980년대 복고 멜로디와 패션을 차용한 원더걸스의 '텔 미(Tell Me)' 춤은 세대와 성별을 뛰어넘어 '따라하기' UCC 열풍을 몰고왔다. '8090' 별들의 복귀, 해외 팝스타 내한 등 좀처럼 보기 힘든 반가운 얼굴도 만났다. 서태지, 박진영, 윤상, 토이 등 90년대 스타를 비롯해 변진섭, 유미리, 김혜림, 이예린 등 80년대 추억의 가수들이 음반 또는 공연으로 컴백해 30대 이상 팬들의 가슴을 설레게 했다. 그룹 H.O.T 출신 솔로가수 문희준은 11월 군에서 제대했다. 비욘세, 크리스티나 아귈레라, 스코어피언스, 블랙아이드피스, 린킨 파크 등 최정상의 팝스타들이 대거 내한해 침체된 공연업계에 활력을 불어넣기도 했다. 원체 사건 사고가 많은 가요계지만 올해도 어김없었다. 유니가 자살했고 방실이도 뇌졸중으로 쓰러졌다. 아이비는 옛 애인으로부터 협박당했고, 싸이를 비롯해 이재진ㆍ강현수 등은 병역특례 비리 의혹에 휘말렸다. 비 역시 미국, 캐나다 등 월드투어 일부 지역 공연 취소로 한동안 논란의 중심에 섰다. 그나마 김장훈의 잇따른 기부 소식이 가슴을 훈훈하게 만들었다. ◇새 얼굴의 10대가 주름잡다 신진세력을 대거 발굴했다. 특히 하반기를 주름잡은 빅뱅과 원더걸스를 비롯해 소녀시대, F.T아일랜드 등 10대가 주축인 아이돌 그룹이 대거 히트곡을 냈다. 일본에서 활동하다 국내 데뷔한 19세 여자가수 윤하도 나이답지 않은 가창력으로 사랑받았다. 빅뱅의 '거짓말', 원더걸스의 '텔 미'를 비롯해 소녀시대의 '소녀시대', F.T아일랜드의 '사랑앓이', 윤하의 '비밀번호 486' 등은 이들의 노래가 젊은 세대의 전유물이란 편견을 깨고 폭넓은 팬층에 소비됐다. ◇디지털 싱글ㆍ미니음반이 대안 정규 음반 판매량이 급감함에 따라 온라인서 유통하는 디지털 싱글, 3~5곡이 수록된 싱글 혹은 미니음반을 내는 가수가 급증했다. 디지털 싱글은 정규 음반 활동을 마쳤거나, 시작 전 공백을 메우기 위한 형태로 출시됐다. 이기찬, 성시경, 하하 등 많은 가수들이 한두 곡씩 출시해 지속적인 신곡 활동을 이어갔다. 싱글 및 미니음반의 경우 데뷔 팀에게 두드러진다. 원더걸스와 소녀시대, 슈퍼주니어T 등이 싱글 음반으로 처음 선보였고 지난해 데뷔한 빅뱅은 한 해에만 싱글음반 한 장, 미니음반 두 장을 발표했다. 음반 시장의 고사를 안타까워 한 선배가수 이승환 역시 미니음반으로 팬들을 찾았다. ◇국민 응원춤 '텔 미' 신드롬 '테테테테테 텔 미~'. 박진영이 키운 원더걸스의 '텔 미' 신드롬은 하반기 가요계를 강타했다. '텔 미'는 80년대 디스코 리듬에 '촌티' 패션, 팔찌춤과 찌르기춤으로 단박에 눈과 귀를 사로잡았다. 미국에서 음반작업 중이던 박진영이 원더걸스에게 보낸 '원격 안무지도' 동영상이 기폭제가 됐다. 이후 군인, 교사, 간호사 등 각계각층에서 '텔 미' 춤을 패러디한 UCC를 인터넷에 올려 월드컵 당시 '꼭짓점 댄스', '개그콘서트'의 '마빡이' 열풍과 비교됐다. 또 양파, 신화 등 동료 연예인들도 방송, 콘서트에서 이 춤을 추며 트렌드에 동참했다. ◇끊이지 않은 사건 사고 1월 유니의 자살을 시작으로 안타까운 소식이 잇따랐다. 방실이가 뇌졸중으로 쓰러져 중태에 빠졌다가 회복됐고 베이비복스 리브 출신 한애리는 성형 부작용으로 생사기로에 서기도 했다. '키다리 미스터 김'의 가수 이금희 씨와 '아! 대한민국'의 작사가 박건호 씨는 고인이 됐다. 올해 대어급 가수로 성장한 아이비는 전 남자친구로부터 폭행 및 협박에 시달리다 고소, 남자친구는 구속 수감돼 재판을 받고 있다. 병역특례비리 수사 한파도 가요계에 몰아쳤다. 싸이는 부실근무를 이유로 병무청이 복무처분취소 및 편입취소를 통보하자 행정소송을 제기했다. 그러나 12일 원고 패소 판결을 받아 현역 입대가 불가피해졌다. 강현수와 천명훈도 이미 차례로 재입대 통보를 받아 공익근무요원으로 근무하고 있다. ◇8090 얼굴들, 반갑네 미국 버클리음대에서 유학을 마치고 귀국한 윤상이 국내 공연 무대로 복귀하며 새 음반 발매 소식을 전했고, 미국에서 프로듀서로 활동하던 박진영은 6년 만에 7집을 내 타이틀곡 '니가 사는 그집'으로 좋은 반응을 얻었다. 4년여 동안 종적을 감췄던 '문화대통령' 서태지 또한 15주년 음반에 이어 후배들의 트리뷰트 공연으로 구성된 15주년 기념 공연을 개최했다. 유희열의 프로젝트 팀 토이도 6년 만에 6집을 냈다. 80년대를 주름잡은 변진섭, 유미리, 조덕배, 이예린, 김혜림 등도 음반 및 공연으로 활동을 재개해 가요계를 풍성하게 했다.

<새음반> 크레이그 데이비드 '트러스트 미' 등

(서울=연합뉴스) ▲영국 최고의 R&B 싱어송라이터로 꼽히는 크레이그 데이비드(Craig David)가 신작 '트러스트 미(Trust Me)'를 발표했다. 데이비드는 흑인 음악인 펑크(Funk)를 전면에 내세웠다. 쿠바 음악과 펑크를 적극 도입한 '핫 스터프(렛츠 댄스)(Hot Stuff(Let's Dance))'가 대표적이다. 데이비드 보위가 1983년 발표해 화제를 모은 '렛츠 댄스'의 연주 부분을 과감하게 샘플링해 경쾌한 리듬을 부각시켰다. 아울러 어쿠스틱 느낌이 두드러진 '쉬스 온 파이어(She's On Fire)', 데이비드 특유의 발라드 감성에 쿠바 사운드를 적용한 '저스트 어 리멤버(Just A Remember)' 등을 실었다. 총 11곡. ▲영국 ITV의 유명 노래 경연 쇼 프로그램인 '엑스-팩터(The X-Factor)'의 2005년 우승자 출신인 쉐인 워드(Shayne Ward)의 정규 2집 '브레스리스(Breathless)'가 나왔다. 폭넓은 성량을 자랑하는 그는 2005년 경연 프로그램에서 우승한 후 벼락 스타로 떠올랐다. 첫 싱글 '댓츠 마이 골(That's My Goal)'이 발매 첫 날 30만 장 넘게 팔렸고, UK 차트에서도 1위에 올랐다. 1집에서 아름다운 발라드로 주목 받았던 그는 이번에도 특유의 감미로운 곡을 담았다. 앨범 타이틀과 같은 제목의 '브레스리스'에서 고음 부분을 곱게 잘 처리해 감동을 전한다. 아울러 1집에서 볼 수 없었던 흥겨운 리듬의 노래도 여러 곡 시도했다. 음반의 첫 싱글인 '이프 댓츠 오케이 위드 유(If That's Okay With You)'를 비롯해 레게 리듬이 들어간 '대미지드(Damaged)', 디스코 사운드를 입힌 '탱글드 업(Tangled Up)' 등이다. 13곡.

<새음반> 로라 피지 '랑데부' 등

(연합뉴스) ▲'아이 러브 유 포 센티멘탈 리즌스(I Love You For Sentimental Reasons)', '렛 데어 비 러브(Let There Be Love)' 등 국내 영화와 CF에 삽입된 음악으로 잘 알려진 여성 재즈 보컬리스트 로라 피지(Laura Fygi)가 신작 '랑데부(Rendez-Vous)'를 국내 발매했다. 독일어를 구사하는 네덜란드인 아버지와 프랑스어를 하는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난 그는 재즈 명곡을 프랑스어 버전으로 해석해 올 초 발표했다. 이번에 국내 발매한 음반은 오리지널 버전에 영어 버전이 더해져 두 장의 CD로 선을 보인다. '르 콩티낭탈(Le Continental)'을 필두로 콜 포터의 명곡 '투 르 주르, 투트 라 뉘(Tout Le Jour, Toute La Nuit)', 유명한 프랑스 노래 '세시봉(C'est Si Bon)' 등을 담았다. 영어 버전에는 '애즈 타임 고스 바이(As Time Goes By)', '나이트 앤드 데이(Night And Day)' 등을 실었다. ▲아바(Abba)의 히트곡을 엮어 만든 뮤지컬 '맘마미아'가 14일부터 서울에서 재공연하는 것을 기념해 아바의 히트곡 30곡과 뮤직비디오 영상을 담은 패키지 '넘버 원스(Number Ones, CD 2장과 DVD)'가 국내 출시됐다. 첫번째 CD에는 '김미! 김미! 김미!(Gimme! Gimme! Gimme!)'를 비롯해 이들의 최고 히트곡 '댄싱 퀸(Dancing Queen)', '더 위너 테이크스 잇 올(The Winner Takes It All)', '슈퍼 트루퍼(Super Trouper)' 등 주옥 같은 히트곡을 담았다. 반면 두번째 CD는 준히트작 모음집이라고 할 수 있다. 널리 알려지지는 않았지만 음악적 완성도가 높은 ''웬 아이 키스드 더 티처(When I Kissed The Teacher)', '어너더 타운, 어너더 맨(Another Town, Another Man)' 등 12곡이 실렸다. DVD에는 19곡의 뮤직비디오와 함께 TV 출연 장면 등 희귀 자료가 포함됐다. 한편 이 앨범 발매와 동시에 뮤지컬 '맘마미아'의 공연 실황 음반도 발매됐다. 이 음반에서는 '맘마미아', '댄싱 퀸' 등 아바의 히트곡이 한국어 가사로 표현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