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3일 개봉한 디즈니 장편 애니메이션 '주먹왕 랄프 2: 인터넷 속으로'는 2012년개봉한 '주먹왕 랄프'의 후속 작품으로 1편에서의 랄프와 2편에서의 랄프를 전지적 시점으로 비교해 본다. # '주먹왕 랄프' 랄프는 고전 게임인 '다고쳐 펠릭스'의 악역이다. 그는 게임 안에서 자신이 살던 숲의 그루터기를 빼앗기고 새로운 건물이 세워지면서 이를 부수고 난동을 부리는 인물이다. 30년 가까이 악역으로서 활동하면서 랄프는 회의감을 느끼고 있다. 또한 자신을 배척하는 '다고쳐 펠릭스' NPC(Non-Player Character)의 행동에서 외로움 또한 느끼고 있다. 이와 같은 상황을 바꾸기 위해 랄프는 다른 이들이 '자신도 악역 외에도 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다른 게임으로 떠난다. 그리고 그런 행동의 상징적인 물건인 '메달'을 위해 '히어로즈 듀티'라는 FPS(First Person Shoote) 장르 게임에서 메달을 얻게 된다. 랄프는 악역으로서의 회의감과 사람들의 홀대로 인해 '인정받고 싶다'는 목표를 가지게 되는데, 이내 그를 위한 상징적인 물건인 '메달' 자체에 집착하게 된다. 그리고 그를 위한 행위는 그가 악역으로서 존재하는 '파괴'로 때문에 '슈가 러쉬'에서도 '메달'의 행방과 그를 얻기 위해서만 행동한다. 그는 우열곡절 끝에 '슈가 러쉬'에 들어가게 되고 바네로피를 만나게 된다. 그리고 바넬로피를 구하면서 랄프는 '다고쳐 펠릭스'를 떠나기 전 했던 나도 좋은 사람이 될수 있다는 말을 실행한다. 그리고 바넬로피로부터 특별한 메달을 받게 된다. # '주먹왕 랄프2 인터넷 속으로' 바이러스 랄프 1편에서 오락실 내부에서의 이야기가 오락실 주인이 네트워크 시스템을 도입하면서 오락실이 인터넷 세상과 연결되면서 세계관은 확장된다. 랄프는 늘 같은 트랙에 염증을 느낀 바넬로피를 위해 새로운 트랙을 만들어주지만, 이를 계기로 바넬로피의 세계인 레이싱 게임 '슈가 러쉬'의 핸들이 부서지고 만다. 고장 난 부품을 구하기 위해 랄프와 바넬로피가 인터넷 세상으로 떠나는 것으로 이야기는 시작된다. 랄프는 바넬로피를 위해 '버즈튜브'에서 영상을 찍어 올리는 등의 바넬로피를 위해 헌신하는 모습을 보인다. 영상을 통해 돈을 벌어 부품을 구하는데 성공하지만 '슬로터 레이스'의 레이스에 흥미를 느낀 바넬로피는 그곳에서 남기를 원한다. 바넬로피가 '슬로터 레이스'에 남자 랄프는 그를 다시 자신들의 오락실로 되돌아오게 하기 위해 바이러스를 '슬로터 레이스'에 퍼트리고 이는 두 사람이 헤어지게 되는 계기가 된다. 큰 상실감을 느낀 랄프는 바이러스에 의해 수없이 증식한다. 랄프의 모습을 의태한 바이러스들은 인터넷 세계를 무자작위로 공격하며 바넬로피에 집착하는 모습을 보인다. 랄프의 바이러스는 고집불통의 랄프의 일면을 극명하게 보여준다. #자승자박 끝에 내적 성장 랄프는 1편에서 자신이 바라는 바가 무엇인지 깨닫게 되고, 2편에서는 그에 대한 과한 집착을 버리는 모습을 보인다. '주먹왕 랄프' 1편과 2편 모두 사건을 키우게 된 것은 랄프의 편협한 시선에서부터 시작된다. 1편에서는 메달에 눈이 멀어 버그를 '슈가 러쉬' 세계에 들이게 되고, 2편에서는 바이러스를 '슬로터 레이스'에 뿌리면서 겉잡을 수 없을 정도로 큰 사건을 만든다. 하지만 그렇기 때문에 자신의 행동과 그릇된 생각에 대한 깨달음을 얻고 내적 성장을 경험하게 된다. 장건 기자
영화 '메이즈 러너'가 7일 오후 케이블채널 OCN을 통해 방송되면서 높은 관심을 끌고 있다. 지난 2014년 개봉한 '메이즈 러너'는 제임스 대시너 작가의 원작 시리즈를 배경으로, 과거의 기억을 삭제당한 채 거대한 미로 속에 감금된 소년들의 생존과 탈출을 그린 작품이다. 영화 '메이즈 러너'는 웨스 볼 감독이 연출을 맡았으며 배우 딜런 오브라이언, 카야 스코델라리오, 토마스 생스터, 윌 폴터, 이기홍 등이 출연했다. 지난 2014년 9월 개봉한 '메이즈 러너'를 시작으로, 2015년 '메이즈 러너: 스코치 트라이얼', 지난 1월 '메이즈 러너: 데스 큐어'이 개봉했다. 장건 기자
영화 '브리짓 존스의 베이비'가 7일 오후 케이블채널 CGV를 통해 방송되면서 높은 관심을 끌고 있다. 지난 2016년 개봉한 '브리짓 존스의 베이비'는 2001년 개봉한 '브릿짓 존슨의 일기'과 '브리짓 존스의 일기 : 열정과 애정'의 후속작으로 1편에 이어 샤론 맥과이어 감독이 연출을 맡았다. 배우 르네 젤위거, 콜린 퍼스, 패트릭뎀시가 출연했다. 영화 '브리짓 존슨의 베이비'는 브리짓 존스(르네 젤위거)가 음악 페스티벌에서 만난 CEO 잭 퀀트(패트릭 뎀시 분)와 함께 밤을 보내고 얼마 후,우연한 자리에서 전 남친 마크 다시(콜린 퍼스 분)와 마주쳐 서로의 사랑을 확인했다. 그러던 중 갑작스러운 임신 사실을 알게 된 브리짓이 아이의 아빠가 누군지 몰라 고군분투하는 모습을 담은 로맨틱 코미디 영화. 한편, 영화진흥위원회 통합전산망에 따르면 영화 '브리짓 존슨의 베이비'는 전국누적관객수 82만 995명을 기록했다. 장건 기자
영화 '백악관 최후의 날'이 7일 오후 케이블채널 OCN에서 방송되면서 높은 관심을 받고 있다. 지난 2013년 개봉한 '백악관 최후의 날'은 '더블 타겟' '매그니피센트 7' 등을 연출한 안톤 후쿠아 감독이 연출하고 배우 제라드 버틀러, 모건 프리먼 아론 에크하트 등이 출연했다. 영화 '백악관 최후의 날'은 DMZ에서의 군사적 도발과 계속되는 핵실험으로 인한 세계적인 긴장상황을 완화하고 미사일 위협에 대처하기 위한 한국과 미국의 최고위급회담이 이루어지는 가운데, 북한 출신의 '강'(릭 윤)을 비롯한 테러리스트들이 백악관을 초토화시키고 대통령을 인질로 붙잡으면서 벌어지는 이야기를 담았다. 영화진흥위원회 통합전산망에 따르면 영화 '백악관 최후의 날'은 전국누적관객수 18만 993명을 기록했다. 장건 기자
영화 '클리프행어'가 EBS1 '일요시네마'를 통해 방영되면서 다시 한 번 주목받고 있다. '클리프행어'는 로키 산맥 공원의 구조대원들이 조난자를 구조하려다 모종의 음모에 휘말려 목숨의 위협을 받는다는 내용을 그린 산악 액션 스릴러다. 영화는 보기만해도 아찔한 로키산맥을 배경으로 주인공인 게이브 월커(실베스터 스탤론)와 터커(마이클 루커)가 변절한 재무성 요원, 그리고 국제 수배범들과 맞서 싸우면서 일반 액션 영화에서 볼 수 없는 짜릿한 긴장감을 선사한다. 산악 액션답게 산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사고들은 물론, 한 시도 긴장감을 늦출 수 없는 탄탄한 스토리 덕분에 국내에서도 개봉 당시 수많은 관객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았다. 덕분에 '클리프 행어'는 미국 내에서는 큰 흥행을 거두지 못했으나, 한국과 일본 등에서 소위 '대박'을 기록하면서 주연 배우인 실베스터 스탤론에게도 만족할만한 성공을 안겨 준 작품으로 기억되고 있다. 장영준 기자
영화 '원더우먼'이 6일 오후 OCN을 통해 방영되면서 새삼 주목받고 있다. '원더우먼'은 2017년 5월 개봉한 영화로, 아마존 데미스키라 왕국의 공주이자 신이 만든 가장 완벽한 히어로인 원더우먼의 활약을 그린 액션 블록버스터다. DC유니버스를 이끌 한 축인 원더우먼은 최강의 파워와 굳은 정의감, 강렬한 카리스마와 우아하고 지적인 아름다움 등 놀라움으로 가득한 가장 이상적인 히어로로 꼽힌다. 영화는 1차 세계 대전을 배경으로, 지옥같이 변해버린 인간 세상을 구하기 위해 고향인 데미스키라를 뛰쳐나와 스스로 전장의 한 가운데로 들어가 활약하는 원더우먼의 모습을 그린다. 특히 원더우먼은 자신의 정체성과 능력에 대한 사명을 깨닫고 오직 인간을 위해 싸우는 히어로의 새로운 기준을 완성한다. 개봉 당시 국내에서는 원더우먼 역을 맡은 배우 갤 가돗에 대한 관심이 상당했다. 원더우먼 그 자체인 갤 가돗의 특별한 매력과 크리스 파인과의 신선한 조화, 그리고 시원한 액션과 로맨스가 가미된 '원더우먼'에 뜨거운 호평을 보낸 바 있다. 장영준 기자
영화 '몬스터 콜'이 6일 채널CGV를 통해 방영되면서 다시 한 번 주목받고 있다. '몬스터 콜'은 엄마의 죽음을 앞두고 빛을 잃어가던 소년 '코너'가 자신을 찾아온 상상 속 존재 '몬스터'를 만난 후, 외면하던 상처들과 마주하게 되는 이야기를 그린 판타지 드라마. 세계 최초로 영국 도서관 협회가 선정한 카네기상과 영국에서 가장 뛰어난 그림책에 수여되는 케이트 그리너웨이상을 동시에 수상한 원작 소설 '몬스터 콜스'를 영화화한 작품이다. 지난 2017년 개봉 당시 '몬스터 콜'은 기댈 곳 없는 소년 '코너'가 누구에게도 말하지 못했던 자신의 비밀과 스스로 외면하던 상처와 마주하는 과정을 감성적인 스토리와 독특한 상상력으로 풀어내 많은 호평을 받았다. 특히 원작자 페트릭 네스와 후안 안토니오 바요나 감독이 직접 시나리오 작업에 참여했으며, 이들은 현실과 판타지를 오가는 이야기를 구성하며 섬세한 각본과 따뜻한 감성을 가진 완성도 높은 각본으로 관객들의 기대감을 충족시켰다. 장영준 기자
영화 '블랙 버터플라이'가 3일 오후 케이블채널 스크린에서 방송되면서 높은 관심을 받고 있다. 지난 2017년 개봉한 '블랙 버터플라이'는 브라이언 굿맨 감독이 연출을 맡았고, 배우 안토니오 반데라스, 조나단 리스 마이어스 등이 출연했다. 영화 '블랙 버터플라이'는 잘 나가던 시나리오 작가였지만 아내가 실종된 후, 은둔 생활을 이어가던 '폴'(안토니오 반데라스)은 어느 날 집으로 돌아가던 길에 트럭 운전수와 시비가 붙게 되고, '잭'(조나단 리스 마이어스)이라는 청년의 도움으로 곤경에 벗어나게 된다. 호의를 베풀어준 '잭'이 갈 곳 없이 떠도는 신세임을 알게 된 '폴'은 그를 자신의 집에 머물게 해주지만, 이후 '폴'에게 점점 이상한 일들이 일어난다. 장건 기자
영화 '23 아이덴티티'가 3일 오후 케이블채널 OCN에서 방송되면서 높은 관심을 끌고 있다. 지난 2017년 개봉된 '23 아이덴티티'는 '식스센스' 등으로 국내에서도 유명한 M. 나이트 샤말란 감독이 연출을 맡은 작품으로 앞서 2000년에 개봉한 전작 '언브레이커블'과 오는 17일 개봉하는 '글라스'를 잇는다. 영화 '23 아이덴티티'는 23개의 인격이 공존하는 '케빈(제임스 맥어보이)'이 지금까지 등장한 적 없는 24번째 인격의 지시로 케빈의 또 다른 인격인 데니스, 패트리샤, 헤드윅이 3명의 소녀를 납치하면서 벌어지는 일을 담은 스릴러. 영화진흥위원회 통합전산망에 따르면 영화 '23 아이덴티티'는 전국 누적관객수 167만 5,798명을 기록했다. 장건 기자
사라질 뻔 했던 우리말의 역사를 담은 영화 말모이가 오는 9일 개봉한다. 말모이는 사전을 뜻하는 순우리말이다. 주시경 선생이 한일합병 초기인 1911년에 시작했으나, 선생의 죽음으로 미완성된 최초의 국어사전 원고를 일컫는 말이자, 영화 속에서 조선어학회가 사전을 만들기 위해 일제의 감시를 피해 전국의 우리말을 모았던 비밀 작전의 이름이다. 영화는 일제의 민족말살정책이 극에 달했던 1940년대 경성을 무대로 한다. 전국 각급 학교에서 우리말 사용과 교육이 금지되고 일본어를 가르치고 배웠던 시대였지만, 우리말을 지키기 위해 그 어느 때보다 뜨겁께 싸운 때 이기도 하다. 1929년부터 조선어학회에 의해 재개된 사전 편찬 작업으로 전국의 사투리를 모아 공청회를 거치는 말모이 완수를 마지막 순서로 남겨 놓았던 시기, 점점 더 극악해지는 일제의 감시망을 피해 말모이를 지키기 위한 여정은 그 자체로 극적이고 흥미롭다. 전국 각지의 어린 학생들부터 지식인들까지. 나이와 성별, 지식 유무를 떠나 조선인이기에 말모이에 마음을 모았던 이들의 이야기는 말이 왜 민족의 정신인지, 사전을 만드는 것이 왜 나라를 지키는 일인지 자연스러운 공감으로 이어진다. 빈틈 없는 연기의 유해진과 윤계상이 각각 까막눈 김판수와 조선어학회 대표 류정환으로 분했다. 여기에 김홍파, 우현, 김태훈, 김선영, 민진웅, 송영창, 허성태 등 사람 냄새 물씬 풍기는 연기파 배우들이 영화의 구석구석을 채웠다. 12세 관람가 송시연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