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자부 고위직 여성공무원 인력풀 추진

여성공무원을 육성하기 위한 ‘고위공무원 여성 인력풀(Pool)’이 만들어진다. 행정자치부는 6일 행정부 여성공무원 육성 방안으로 5급이상의 여성공무원(지방공무원 6급 이상)들로 인력풀을 구성해 각 부처의 승진인사시 적격자를 추천하고 고위직여성공무원수가 적은 부처에 대해서는 인력을 공급하는 방안을 추진중이라고 밝혔다. 행자부는 이를 위해 최근 중앙행정기관과 전국 지방자치단체에 이달말까지 해당 여성 공무원의 인적사항 통보를 요청했으며 빠르면 내달중 전국의 관리직 여성공무원이 총망라된 여성 인력 데이터베이스(DB)가 구축될 전망이다. 행자부는 앞으로 여성공무원 인력풀을 현재 시행을 검토중인 여성공무원 승진할당제와 연계해 나가는 한편 이들에 대한 지속적이고 집중적인 교육 프로그램도 마련할 방침이다. 여성공무원 인력풀이 활용될 경우 현재 전국의 국가·지방 공무원의 3%에 불과한 5급이상 여성공무원의 수가 크게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행자부는 이와함께 공무원 훈·포상시 일정비율의 여성을 포함시키는 훈·포상 여성할당제, 각 부처 차관보급과 실·국장급을 여성공무원의 후견인으로 두는 제도 등도 적극 검토키로 했다. 행자부 관계자는 “여성공무원 인력풀을 만들기 위해 우선 전국의 관리직 여성공무원 명단을 확보중이며 일단 이들을 집중 교육한 뒤 각 부처의 승진 인사에 적극 반영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재규기자 jklee@kgib.co.kr

일선 시·군 교통계획 주먹구구식 추진

경기도내 일선 시·군이 무계획적으로 교통행정을 추진하고 있다. 경기도는 6일 일선 시·군이 교통정비계획도 수립치 않은채 매년 수백억원대의 막대한 예산을 교통정비에 사용, 주먹구구식 정비로 인해 오히려 교통체증을 유발하는 등 부작용만 낳고 있다고 밝혔다. 도시교통촉진법에는 상주인구 10만 이상의 도시와 읍·면을 제외한 지역 인구 10만 이상인 도농복합시 등은 도시교통 정비지역을 지정, 운영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또 이들 도시교통 정비지역에 대해서는 3년 단위의 시행계획과 10년 단위의 중기계획, 20년 단위의 기본계획을 각각 지정 2년이내에 수립토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도내에는 수원, 성남, 의정부, 안양 등 17개 시 전역과 용인, 김포 등 도농복합시, 양주·화성·포천군 등 22개 시·군이 해당된다. 그러나 이들 22개 시·군 가운데 3년 단위의 교통정비계획을 단 한곳도 수립치 않고 있다. 또 5년 단위의 중기계획을 수립해 시행중인 곳은 수원·성남·의정부·부천 등 10개 시에 불과하며 20년 단위의 장기계획은 이들 10개 시를 포함, 13개 시만이 마련해 놓고 있다. 22개 시·군 중 9개 시·군은 3∼20년 앞을 내다보는 교통정비계획을 전혀 세워놓지 않고 있는 셈이다. 시·군이 교통정비계획을 수립치 않고 있는 것은 용역예산을 들여 전문기관에 의뢰해야 하는데다 수립후 정비에 또 다시 엄청난 예산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도 관계자는 “한정된 교통관리예산으로 장기적인 교통정비계획을 세우고 이 계획에 따라 도로 등을 정비한다는 것이 현실적으로 곤란하다”고 말했다. /유재명기자 jmyoo@kgib.co.kr

정치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