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대기업들이 수시채용제도로 바꾸고 계약제를 확대하는 방향으로 인력채용시스템을 전환토록 유도, 청년실업자를 줄여 나가기로 했다. 또한 장애인 공무원 공개채용비율을 현행 2%에서 5%로 높이고 여성, 노인 등 취약계층을 위한 고용창출에 적극 나서기로 했다. 재정경제부는 20일 부가가치가 높은 지식산업분야의 집중육성과 사회적 취약계층의 고용 확대를 기본방향으로 삼아 오는 2003년까지 200만개 이상의 일자리를 창출, 실업률 3%대의 완전고용을 실현하기 위한 대책을 확정, 발표했다. 정부는 올해 60만∼65만개, 2001년 50만개, 2002, 2003년 각 45만개의 일자리를 만들며 이중 45만개는 영상, 관광 등 지식기반서비스업, 25만개는 메카트로닉스, 항공우주 등 지식기반제조업 분야에서 창출키로 했다. 또 기존 제조업분야에서도 고부가가치화 등을 통해 15만개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기타 서비스업 분야 등에서 115만∼120만개의 일자리를 만들기로 했다. 이같은 일자리 창출과정에서 청년실업자, 퇴출실업자 등 구조조정 실업계층과 여성, 장애인, 노인 등 취약계층의 고용을 대폭 확대키로 했다. 졸업시기에 집중되는 대기업의 정시채용제도를 수시채용제도로 바꾸고 계약제를 확대, 장기간 취업하지 못한 사람도 신규 취업이 가능하도록 유도키로 했다. 이와함께 장애인 공무원이 현재 3천636명에서 1만명선으로 늘어날 때까지 채용비율을 5%로 높이고 여성창업보육센터, 노인전문인력은행을 설립하기로 했다. /정근호기자 ghjung@kgib.co.kr
정치
경기일보
2000-01-21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