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천년 민주당의 총재로 선출된 김대중 대통령의 취임사는 집권 중·후반기 각종 개혁작업의 완성을 위해 오는 4월 총선에서 소수 집권당의 한계를 뛰어넘게 해달라는 대국민 메시지에 초점이 맞춰졌다.
김 대통령은 취임사에서 정치, 경제, 안보, 사회 등 제반분야에 걸친 각종 개혁과제를 열거하고 민주당이 총선에서 안정의석을 얻어야만 이의 개선과 성취가 가능하다는 논리로 유권자의 올바른 선택을 촉구하고 나섰다.
따라서 김 대통령은 4월 총선의 의미를 가까스로 되찾은 안정의 파괴냐, 여당의 과반 확보를 통한 안정의 유지·발전이냐의 두갈래 방향에서 찾았다.
만일 민주당이 총선에서 부진할 경우에는 노사안정의 불안, 외국인 투자가들의 대거 이탈, 북한의 대남 대결전략 부활 등이 다시 고개를 쳐들 가능성이 있다고 김대통령은 상기시켰다.
지난 2년간 소수 여당의 숫적한계로 인해 정치가 끊임없는 대립과 투쟁에서 헤어나지 못함으로써 나라를 좌절의 위기로 몰아넣었던 점을 감안할 때 총선 이후에도 집권여당이 소수로 남는다면 사회전반의 불안이 가시지 않을 것이라는 지적이다.
반면 김 대통령은 여당이 안정적 과반을 획득하면, 그 힘을 바탕으로 국정전반에 걸친 부정부패 척결, 북한 김정일 국방위원장과의 정상회담 개최, 야당과 대화의 정치실현, 지역구도의 타파 등을 이뤄내겠다고 약속했다.
김 대통령은 “여당이 안정되어야 정치가 안정되고, 정치가 안정되어야 나라가 융성한다”며 “민주당은 모든 정성과 노력을 다해서 이번 총선에서 정치적 안정을 반드시 실현하도록 총력을 다하겠다”고 다짐하기까지 했다.
이런 연장선상에서 김 대통령은 이날 빛을 보게된 민주당을 정치를 살리기 위한 정당이라고 규정하고, 유권자들이 총선에서 힘을 몰아줄 것을 호소했다.
김 대통령은 민주당이 과거 자유당 치하에서 창립되어 4·19 이후 집권한 민주당의 명맥을 잇는 정당, 헌정사상 초유의 여야간 정권교체를 이룩한 민주정통의 정당, 중산층과 서민을 위한 정당, 국민적 개혁정당이라고 이념과 정체성을 소개하는 것도 잊지 않았다.
따라서 김 대통령의 이날 총재취임사는 원내 3분의1 의석으로 집권 2년을 헤쳐오는데서 체험한 소수정권의 한계를 극복해야만 정치안정과 국가번영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다고 절박한 심정을 강조했다.
/이민봉·유제원기자 jwyoo@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