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가 재무구조 개선을 위해 주력 계열사인 대우인터내셔널의 매각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29일 철강업계에 따르면 포스코는 오는 2015년까지 46개의 계열사를 철강트레이딩건설소재에너지서비스 등 7개 사업군으로 개편해 계열사를 30여개 초반으로 줄이는 것을 골자로 한 그룹사 구조재편 추진안을 최근 마련하고 있다. 다음달 16일 이사회에서 최종 확정될 이번 구조재편에서 가장 주목되는 부분은 대우인터내셔널의 매각이다. 업계에서는 포스코가 대우인터내셔널과의 시너지 효과가 크지 않아 매각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하고 있다. 포스코는 대우인터내셔널의 지분 60.3%의 전량 매각이 어려울 경우 지분 부분 매각과 사업 분할도 거론되고 있다. 대우인터내셔널의 사업이 분할되면 미얀마 가스전 등 자원개발 부문은 포스코에너지, 상사부문은 포스P&S와 합병하는 방안이 유력하다. 이에 대해 포스코 관계자는 그룹의 구조재편을 위한 여러가지 방안들이 논의되고 있지만 아직 확정된 사안은 없다고 말했다. 한편, 포스코는 2010년 대우인터내셔널을 3조3724억원에 인수했다. 4월 현재 포스코가 보유한 대우인터내셔널 지분의 가치는 2조6000억원 수준이다. /제휴사 이투데이 제공
삼성전자 디스플레이(DP) 사업이 올해 1분기에 적자전환했다. 삼성전자는 29일 실적공시를 통해 올 1분기에 영업이익 8조4900억원, 매출 53조6800억원을 기록했다고 각각 밝혔다. 이 가운데 디스플레이 사업은 영업적자 800억원, 매출 6조1000억원을 기록했다. 매출은 전년동기 대비 1조100억원 감소했다. 삼성전자는 LCD 패널 시장의 경우 사이즈 대형화 등으로 전년 대비 수급 상황이 개선될 것으로 내다봤다. 2분기부터 전반적인 업황이 개선될 것이란 분석이다. 이에 2분기부터 전분기 대비 실적 개선을 기대하고 있으며 특히 UHD TV 패널의 보급형 라인업 확대는 물론 커브드 TV 패널을 통해 수익성 제고에 주력할 계획이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OLED 패널의 경우, 고해상도와 저소비전력과 같은 차별화된 기술을 바탕으로 적용범위를 확대할 것이라며 하반기에 플렉서블 OLED 패널을 본격 양산해 웨어러블 기기 등으로 시장을 확대해 나갈 방침이라고 밝혔다. /제휴사 이투데이 제공
삼성전자 반도체 사업이 올해 1분기 만족스러운 성과를 거뒀다. 삼성전자는 29일 실적공시를 통해 올 1분기에 영업이익 8조4900억원, 매출 53조6800억원을 기록했다고 각각 밝혔다. 이 가운데 반도체 사업은 영업이익 1조9500억원, 매출 9조3900억원 실적을 올렸다. 이는 전년동기 대비 8800억원, 8100억원씩 증가한 수치다. 삼성전자는 D램의 경우 서버와 그래픽향 수요 강세가 지속되고, PC 탑재량 증가와 모바일향 수요 증가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했다. 또한 삼성전자는 앞으로 20나노급 공정 전환 확대를 통해 전제품의 원가경쟁력을 강화하고 고부가차별화된 제품으로 수익성 극대화에 중점을 둘 계획이다. 낸드의 경우, 데이터센터향 SSD 수요 증가와 PC향 SSD 채용 확대, 미드엔드(Mid-end) 모바일향 수요 증가가 예상된다고 밝혔다. 가격 경쟁력을 갖춘 3비트 제품을 전영역에 확대 공급하는 등 차별화된 수익성 확보를 지속할 계획이다. 시스템LSI 부문은 상반기 하이엔드(High-end) 모바일 AP용 수요 약세가 지속되나, 하반기에는 성수기 속 고화소 CIS 판매 확대 지속과 20나노 AP 신제품 출시 등에 따라 실적이 개선될 것으로 기대될 것으로 내다봤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향후 중장기 성장을 견인할 핵심 공정인 14나노 공정은 올해 말 양산을 시작해 내년 상반기부터는 실적에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제휴사 이투데이 제공
SM C&C가 자사주를 처분해 투자 재원을 확보한다는 소식에 강세다. 29일 오전 9시 30분 현재 SM C&C는 전날보다 6.52%(250원) 오른 4165원에 거래되고 있다. 전날 SM C&C는 전략적 투자재원 확보를 위해 자사주 51만여주(20억원 규모)를 시간외 대량매매 방식으로 처분키로 결정했다고 공시했다. /제휴사 이투데이 제공
SKC가 1분기 실적 호조에 강세를 나타내고 있다. 29일 오전 9시 18분 현재 SKC는 전일대비 3.40%(1100원) 오른 3만3450원에 거래되고 있다. SKC는 전날 올해 1분기 영업이익 317억원을 기록했다고 공시했다. 전년동기대비 33% 증가한 수치다. 같은기간 매출액은 19% 증가한 6675억원, 당기순 이익은 218% 급증한 160억원으로 집계됐다. 김승우 삼성증권 연구원은 SKC의 1분기 영업이익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3.2% 늘었는데 이는 시장 예상을 20% 웃돈 수치라며 본사화학사업의 호조와 자회사인 SKC에어가스와 SKC솔믹스의 실적 개선이 눈에 띈다고 진단했다. /제휴사 이투데이 제공
나노신소재가 외국인들의 러브콜에 7거래일 만에 반등에 성공했다. 29일 오전 9시13분 현재 나노신소재는 전일대비 5.43%(1100원) 상승한 2만1350원에 거래되고 있다. 나노신소재는 지난 21일부터 하락세를 보였으나 이날 반등에 성공했다. 이 시각 현재 CLSA 등 외국계 증권사를 통해 매수 주문이 몰리고 있다. 나노신소재는 애플 부품주로 분류로 하반기 아이폰6 출시로 관심이 쏠리고 있다. 증권가에선 애플 효과가 2분기 실적부터 본격적으로 반영될 것으로 보고 있다. /제휴사 이투데이 제공
한창제지가 한솔제지에 인수된다는 소식에 가격 제한폭까지 치솟았다. 29일 오전 9시12분 현재 코스피 시장에서 한창제지는 직전 거래일대비 103원(14.97%) 오른 791원에 거래되고 있다. 키움증권, 신한금융투자, 미래에셋증권 등 창구를 통해 매수주문이 나오고 있다. 이날 한 언론은 한창제지 매각주관사인 산업은행 인수합병부와 안진회계법인이 한창제지 지분 43.8%를 매각하기 위해 지난 24일 본입찰을 실시한 결과 인수 후보 세 곳 중 한솔제지가 가장 높은 가격을 써냈다고 보도했다. /제휴사 이투데이 제공
중국원양자원이 사채원리금 미지급 소식에 급락하고 있다. 29일 오전 9시 10분 현재 중국원양자원은 전일대비 10.67%(270원) 내린 2260원에 거래되고 있다. 전날 중국원양자원은 지난해 10월 발행한 신주인수권부사채(BW)의 원리금 204억원을 지불하지 못했다고 공시했다. /제휴사 이투데이 제공
[종목돋보기]동양강철의 최대주주 케이피티유가 자금 조달에 안간힘을 쓰고 있다. 29일 금융감독원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동양강철은 지난 21일 최대주주인 케이피티유가 420만주에 대해 신한금융투자와 주식담보 계약을 맺었다고 밝혔다. 케이피티유는 이 과정에서 50억원의 대출을 받았다. 이로써 케이피티유의 1456만9150주 중 171만주를 제외한 1285만주가 주식담보 계약에 묶여 있는 셈이다. 동양강철의 최대주주인 케이피티유는 알루텍, 박도봉 등 특수관계인 11인과 함께 3205만4036주(56.37 %)를 보유하고 있다. 같은날 케이피티유는 단기 차입금 증가도 결정했다. 케이피티유는 유동성 확보를 위해 금융기관 차입 형태로 50억원의 단기차입금을 증가키로 했다.. 이외에도 케이피티유의 최대주주 박도봉 이사도 같은 날 100만주에 대해 농협은행과 주식담보계약을 체결했다. 주담보대출 계약이 이뤄진 지난 21일 케이피티의 종가 2810원을 감안하면 대출금은 30억원 안팎 수준인 것으로 추정된다. 이로써 박 이사 보유지분 255만1920주 중 192만9353주가 담보로 묶이게 됐다. 회사 측은 유동성 확보를 위해 주식담보 대출을 받았다고 말했다. 케이피티유는 지난해 흑자전환에 성공했지만 유동성은 여전히 좋지 않는 상황이다. 케이피티유는 지난해 영업이익이 18억원으로 전년보다 23% 늘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220억원으로 29% 증가했고 당기순이익은 5억원으로 흑자전환했다. 이 가운데 지난해 사업보고서 상 현금 및 현금성자산은 지난해 11억5406만원에서 25억2567만원으로 늘어나는 등 직접상환에 활용가능한 유동자산은 107억1932만원에서 132억7485만원으로 소폭 증가했다. 하지만 단기차입금도 늘어나 유동성 확보에 어려움을 겪어왔다. 단기차입금은 168억1999만원에서 191억122만원으로 늘었다. 이에 단기차입금 확보와 주식담보 계약을 통해 유동성 확보에 안간힘을 쓰고 있는 것이다. 한편, 케이피티유는 박 이사 등 특수관계인이 50.52%(255만6460주) 를 보유하고 있으며 5% 이상 지분을 보유자는 없다. ☞ 투자자 300명에게 공개하는 종목의 속살 이투데이 스탁프리미엄에서 확인하세요 ☞ http://www.etoday.co.kr/stockpremium /제휴사 이투데이 제공
지엔씨에너지가 바이오가스 발전사업이 성장할 것이라는 증권사 분석에 상승세다. 29일 오전 9시7분 지엔씨에너지는 전일보다 10.32%(1300원) 오른 1만3900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날 대신증권은 지엔씨에너지에 대해 저조한 1분기 실적에 주가가 조정을 받고 있으나 올해 바이오가스 발전 사업 성장성을 감안할 때 매수 기회라고 판단했다. 고봉종 대신증권 연구원은 올해 1~3개 발전사업장을 추가할 것이라며 전국 250여개 매립장, 700여개 폐수처리장 가운데 바이오가스 발전 설비는 60여개에 불과하다고 설명했다. 고 연구원은 지난해 말 청주시 매립가스 발전소를 인수한 이후 4개월 만에 발전사업장을 추가했다라며 바이오가스 부문 예상 매출액은 53억원으로 지난해보다 62.6%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제휴사 이투데이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