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전지 시장, 삼성SDI·LG화학 뒤쫓는 중국

소형 2차전지 시장이 중국 업체들의 확장세로 지각변동이 일어나고 있다. 특히, 중국 업체들의 공급이 늘어나자 제품 가격이 빠르게 하락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29일 일본 시장조사기관 B3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2차전지 업체 리센(Lishen)이 지난해 일본 소니를 제치고 4위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리센은 지난해 7.8%의 시장점유율로 전년보다 0.9%포인트 증가했다. 반면, 4위였던 소니는 전년보다 0.5%포인트 떨어진 7.5%를 기록해 5위로 내려앉았다. 지난해 소형 2차전지 시장점유율 1위는 25.9%로 삼성SDI가 차지했다. 삼성SDI는 4년 연속 업계 1위를 유지하고 있다. 이어 파나소닉(16.7%), LG화학(16.3%)이 각각 2, 3위를 차지했다. 특히 기타업체들의 시장점유율도 전년보다 1.5% 증가해 25.8%로 성장했다. 이들 기타업체에는 중국의 2차전지 업계에서 리센과 함께 빅4로 불리는 비야디(BYD), 에이티엘(ATL), 비에이케이(BAK) 등이 포함돼 있다. 이 같이 최근 중국 업체들의 급격한 성장으로 소형 2차전지 시장은 경쟁이 심해지고 있으며, 이는 제품가 하락로 이어지고 있다. 실제 국내 소형 2차전지 선두업체의 지난 3년간 영업이익률을 살펴보면 하락하는 추세다. 삼성SDI의 에너지부문 영업이익률은 지난 2012년 5.3%로 전년 5.0%보다 소폭 증가했지만, 지난해 0.001%로 대폭 하락했다. 게다가 올 1분기 에너지부문의 영업이익률은 -2.90%를 보여 마이너스 성장세를 보였다. LG화학의 전지부문 영업이익률도 매년 줄어들고 있다. 지난 2011년 5.2%에서 2012년 1.6%로 급격히 떨어지더니 지난해에도 1.3%로 하락했다. 국내 업체들은 이를 보완하기 위해 성장 잠재력이 높은 것으로 전망되는 중대형 2차전지에 집중하고 있다. 중대형 2차전지는 전기자동차 및 에너지저장시스템(ESS)에 사용되는 2차전지로, 전기자동차에 사용되는 전지를 중형, ESS에 사용하는 전지를 대형으로 분류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최근 소형 2차전지의 이익률 하락은 내부요인이 아닌 것이 맞다며 수요가 급격히 늘어나지 않은 가운데 공급업체들이 증가해, 고객사들도 점차 가격을 낮추길 요구해 이에 따를 수 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제휴사 이투데이 제공

삼성전자, 스마트폰 성장 둔화 우려 씻었다…1분기 영업익 증가

삼성전자가 지난해부터 제기됐던 스마트폰 성장 둔화 우려를 씻어냈다. 29일 삼성전자가 발표한 올 1분기 실적에서 IM(IT모바일) 부문의 매출, 영업이익은 지난해 4분기보다 개선됐다. 삼성전자 측은 1분기 스마트폰의 판매량이 증가한 데 따른 것이라고 밝혔다. 삼성전자 IM 부문은 1분기 매출 32조4400억원, 영업이익 6조4300억원을 각각 기록했다. 이는 전분기 대비 매출이 4.27% 줄었지만, 영업이익은 17.5% 상승한 것이다. 이번 성과는 1분기가 정보기술(IT) 업계의 전통적인 비수기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삼성전자 IM 부문의 영업이익은 지난해 4분기 5조4700억원을 기록, 전체 분기 영업이익 8조원대 이상을 유지한 7분기 만에 가장 낮았다. 당시 대내외적인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스마트폰 수요 정체에 대한 우려와 삼성전자 전체 영업이익의 약 70%를 이끌고 있는 IM 부문의 부진으로 전체 수익성 하락 가능성도 제기됐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갤럭시S4, 갤럭시노트3 등 프리미엄 모델이 1분기에도 잘 팔렸다며 갤럭시 그랜드2, 갤럭시 에이스3 등 중저가 보급형 제품 판매량도 고르게 증가했다고 말했다. 이어 스마트폰 판매량 증가, 마케팅 비용의 효율적인 집행, 무선 사업 매출 1% 수준인 일회성 비용 정산이 발생해 영업이익이 증가했다고 덧붙였다. 한편, 올해 2월 삼성전자는 2012년부터 진행해온 미국프로풋볼(NFL) 챔피언결정전 슈퍼볼 경기 광고를 중단했다. 삼성전자는 지난 3년간 슈퍼볼 광고비로 매년 100억원이 넘는 돈을 투자했다. /제휴사 이투데이 제공

산은, 동부특수강·제철당진항만 인수

산업은행은 동부그룹이 매물로 내놓은 동부특수강과 동부제철당진항만을 인수하는 등 자산 매각에 속도가 붙고 있다. 최근 동부그룹이 인천공장과 동부당진발전을 개별 매각하려던 계획을 접고, 주채권은행인 산업은행에 매각방식을 위임하면서 구조조정에 탄력을 받고 있는 것이다. 29일 금융권에 따르면 산업은행과 동부그룹은 지난 25일 동부특수강과 동부제철당진항만 100%를 각각 1100억원, 1500억원에 인수하는 세부계약서를 작성했다. 산업은행 사모펀드(PE)부가 펀드를 조성해 다음달 중 투자자 모집을 완료하고 상반기 안에 인수 절차를 마무리한다는 계획이다. 그러나 당초 동부그룹이 지난 11월 자구계획안에서 밝힌 예상 매각가격에서 다소 차이를 보이고 있다. 당시 동부그룹은 동부특수강 1200억원, 동부제철당진항만 3000억원의 매각가격을 제시했다. 이에 양측은 이번 계약에서 언아웃(earn-out) 조항을 삽입했다. 산업은행이 추후 동부특수강과 동부제철당진항만을 제3자에게 인수가격보다 높게 매각할 때 차익을 동부그룹에 정산해주기로 한 것이다. 앞서 동부그룹은 지난해 11월 동부제철 인천공장, 동부발전당진 지분, 동부하이텍, 동부메탈, 당진항만, 동부익스프레스, 동부팜한농 유휴부지 등을 매각해 3조원 가량의 유동성을 확보하는 내용의 자구계획안을 채권단에 제시한 바 있다. 산업은행 관계자 동부하이텍도 이달 말까지 인수의향서를 전달해 다음달 인수 후보자 윤곽을 낼 것이라며 반년 가까이 답보 상태에 빠진 동부그룹 구조조정이 어느정도 속도를 낼 것이라고 말했다. 문제는 자구 계획안에서 가장 덩치가 큰 동부제철 인천공장과 동부발전당진의 매각 성사 여부다. 최대 1조원까지 예상되는 동부제철 인천공장과 동부발전당진 패키지 매각이 성공한다면 동부그룹으로서는 기존 매각 자금과 합쳐 약 1조5000억원이 넘는 유동성을 확보할 수 있다. 그러나 키를 쥔 포스코가 장고에 들어가면서 낙관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권오준 회장이 새롭게 취임하면서 재무구조 개선에 드라이브를 걸고 있는 포스코가 여전히 신중한 행보를 보이고 있는 탓이다. 오승철 포스코 상무는 동부그룹 자산의 가격과 가치가 괜찮아도 재무구조에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면 인수 가능성은 상당히 작다고 말했다. /제휴사 이투데이 제공

경제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