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한금융, 1분기 당기순익 5584억…전년동比 16% ↑

신한금융지주는 올해 1분기 당기순이익이 지난해 1분기(4809억4300만원)보다 16% 증가한 5584억원을 기록했다고 29일 밝혔다. 전분기(3433억1800만원)와 비교해서는 무려 62.7%나 늘었다. 이 같은 순익 확대는 대손충당금 적립액이 크게 감소한데 따른 것이다. 신한금융은 1분기 신한은행의 충당금 전입액은 572억원으로 집단대출 관련 충당금 등 일회성 요인이 있었던 지난해 1분기보다 76.8% 줄었다고 설명했다. 신한금융의 올해 1분기 대손비용률은 0.33%로 전분기(0.59%)보다 0.26%포인트 하락했다. 이는 최근 5년 평균(0.68%)의 절반 수준에 그치는 수치다. 매출액은 7조878억8600만원으로 전년 동기(7조6517억3300만원) 대비 7.37% 축소됐지만 영업이익은 7578억2300만원을 기록, 전년 동기(6673억9100만원)와 비교해 13.6% 확대됐다. 수익성 지표인 순이자마진(NIM)은 3.17%로 전분기(3.21%)보다 0.04%포인트 떨어졌다. 주력 계열사인 신한은행의 올해 1분기 당기순이익은 4251억원으로 지난해 1분기(3380억원)보다 25.8%, 전분기(2833억원) 대비 50.1% 각각 크게 늘었다. 신한은행의 순익 증가로 그룹 이익에서 차지하는 비은행부문 이익 비중은 지난해 1분기 42.1%에서 올해 1분기 32.8%로 축소됐다. 신한은행의 수익성도 악화됐다. 올해 1분기 NIM은 전분기(2.35%)보다 0.03%포인트, 지난해 1분기(2.33%)보다 0.01%포인트 각각 내린 2.32%를 나타냈다. 건전성 지표인 부실채권(NPL) 비율은 1.15%로 전분기(1.16%)보다 0.01%포인트 하락했고 같은 기간 연체율은 0.05%포인트 내린 0.44%를 기록했다. 신한카드의 올해 1분기 당기순이익은 1412억원으로 지난해 1분기(1606억원)보다비 12.1% 줄었다. 신한금융은 카드대출 금리가 내려가고, 대손비용이 늘어난 영향이라고 말했다. 같은 기간 신한금융투자의 당기순이익은 43.2% 감소한 267억원을 기록했다. 순익이 대폭 축소된 이유는 거래대금이 줄면서 위탁 수수료가 감소했고 지난해 1분기 발생했던 일회성 이익이 감소했기 때문이다. 신한생명의 올해 1분기 당기순이익은 218억원으로 지난해 1분기 대비 46% 감소했다. 저금리 장기화로 이자율차 손익이 감소했고 회계제도 변경으로 사업비차 손익이 줄어든 탓이다. 같은 기간 신한캐피탈의 당기순이익은 12.4% 감소한 117억원을 보였다. 신한BNP파리바자산운용의 올해 1분기 당기순이익은 47억원(지분율 감안후)을 기록했고 신한저축은행은 1억원의 순손실을 나타냈다. /제휴사 이투데이 제공

세월호 침몰 사태로 관료 및 금융당국 출신 금융권 이동 제한

세월호 침몰 사태로 정부 부처 산하기관들의 낙하산 인사가 도마 위에 오르면서 재무 관료 및 금융감독원 출신의 금융권 이동에 제동이 걸렸다. 이에 따라 일각에서는 금융기관의 주요 보직에 관료 출신 대신 정치권 인사가 대거 낙하산으로 내려오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29일 금융권에 따르면 세월호 침몰 사태로 관료출신들이 대거 포진한 산하기관들의 부실이 드러면서 모피아(재무관료 출신)와 금피아(금융감독원 출신)의 금융권 이동이 제한되는 상황이 연출되고 있다. 실제, 기획재정부 출신 고위 관료가 내정될 예정이었던 손해보험협회장과 주택금융공사 사장 자리가 불투명해졌으며 금융권으로 나가려던 금감원 임원들과 금융위원회 간부들도 손발이 묶이게 된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권의 이같은 조치는 한국선급, 해운조합 등에 관료들이 최고경영자로 내려온 것이 이번 세월호 참사의 원인중 하나라는 여론을 의식한 것으로 풀이된다. 그러나 금융권에서는 이번 조치를 적지 않은 충격으로 받아들이는 분위기다. 상당 기간 인사 적체가 불가피한데다 발이 묶인 모피아와 금피아 대신 정치권 인사가 낙하산으로 내려올 가능성도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금융당국의 한 관계자는 현재 분위기가 워낙 좋지 않아 금융사로 이동은 전면 금지된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금융과 경제 전문가인 관료들이 산하기관이나 금융사에 못 가면 결국 정치인들이 자리를 채우게 될텐데 정치권 낙하산 인사의 부정적인 측면도 적지 않은 것이 사실이라고 말했다. 박민수기자 kiryang@kyeonggi.com

[아시아증시 오후] 혼조세…중화권은 중국 부양책 기대로 반등

아시아 주요 증시는 29일(현지시간) 혼조세를 나타냈다. 일본증시가 쇼와의 날을 맞아 휴장한 가운데 인도와 싱가포르 등이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 Fed)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관망 분위기로 하락했다. 그러나 중화권은 중국 정부가 경기부양책을 추가로 펼칠 것이라는 기대로 반등에 성공했다. 대만증시 가권지수는 0.71% 상승한 8872.11로, 중국증시 상하이종합지수는 0.84% 오른 2020.34로 장을 마쳤다. 싱가포르증시 ST지수는 오후 4시50분 현재 0.40% 하락한 3229.65를, 홍콩증시 항셍지수는 0.57% 오른 2만2257.92를 나타냈다. 인도증시 센섹스지수는 2만2557.85로 0.33% 떨어졌다. 중국증시 상하이지수는 이날 장중 한때 2000선 밑으로 떨어졌다가 반등했다. 리커창 중국 총리가 전날 충칭 연설에서 상하이와 충칭 등 1800km에 이르는 창장 유역을 경제적으로 통합하는 창장경제벨트구상을 밝혔다는 소식에 경기부양 기대가 커졌다. 장하이둥 테본증권 애널리스트는 심리적 저항선인 2000선을 지키려는 강력한 움직임이 있었다며 리 총리의 구상도 증시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특징종목으로는 중국 최대 자동차업체 상하이자동차(SAIC)가 3.1%, 핑안보험이 2.6% 각각 급등했다. 연준은 이날부터 이틀간 FOMC를 연다. 전문가들은 연준이 이번에도 양적완화 규모를 100억 달러 축소하는 등 기존 정책기조를 유지할 것으로 내다봤다. /제휴사 이투데이 제공

경제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