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스맥이 적자로 전환했다는 소식에 하락세다. 30일 오전 9시27분 현재 에스맥 주가는 전일 대비 1150원(11.22%) 하락한 9100원을 기록 중이다. 전날 에스맥은 연결기준 1분기 영업손실 18억5200만원을 기록해 전년동기대비 적자전환했다고 공시했다. /제휴사 이투데이 제공
자동차 부품업체인 오스템이 1400억원 규모의 공급계약 해지 소식에 급락하고 있다. 30일 오전 9시 21분 현재 오스템은 전일대비 6.16%(145원) 내린 2210원에 거래되고 있다. 전날 오스템은 한국GM 및 태국GM과 지난 2011년 11월 체결했던 832억원 규모의 부품공급 계약을 해지했다고 공시했다. 또 2011년 6월 한국GM과 맺었던 639억원 규모의 알루미늄 프론트 크래들 공급 계약도 해지했다. 오스템 측은 계약 상대방의 개발 취소에 따른 계약 해지라고 밝혔다. /제휴사 이투데이 제공
LS산전이 1분기에 만족스러운 성적표를 받았다. LS산전은 지난 1분기에 매출 5588억원, 영업이익 351억원, 당기순이익 213억원을 달성했다고 공시했다. 이는 지난해 같은 시기 대비 각각 5.6%, 7.4%, 67.2%씩 증가한 수준이다. 이번 성과는 LS산전이 미래 사업으로 집중 육성해온 그린 비즈니스의 영향이 컸다. 주력 사업인 전력(수배전송변전)과 자동화 사업의 경우 글로벌 경기 침체와 계절적 비수기의 여파로 부진한 부분을 그린 비즈니스가 메꾼 것이다. 그린 비즈니스 가운데 이라크 배전제어시스템 센터(DCC) 구축 등 해외 프로젝트 수주 물량이 매출에 대거 반영된 스마트그리드와 방글라데시를 비롯한 국내외 철도 신호제어 사업이 호조를 보인 공공 인프라 사업이 각각 130%, 80%를 넘는 신장세를 보였다. 태양광 사업 역시 국내외에서 적극적인 영업활동을 추진하며 10% 가까운 성장률을 기록하며 실적에 힘을 보탰다. LS산전은 2분기에 기존 캐시카우 사업인 전력자동화 사업의 안정적 성장과 함께 그린 비즈니스 성과로 실적 성장을 전망하고 있다. 그 동안 강세를 보였던 이라크 지역은 물론 송배전 분야 사회간접자본(SOC) 투자 확대가 예상되는 중남미, 중동, 아프리카 등지에 대한 공략을 가속화하며 성장세를 이어간다는 계획이다. LS산전 관계자는 동종업계의 전반적인 불황과 계절적 비수기가 겹쳤던 시기에 송변전 분야 수익성이 향상되는 등 주력 사업이 선방한 것이라며 그 동안 역량을 집중해온 그린 비즈니스에서 본격적인 성과가 창출되면서 실적 전체를 떠받쳐 주는 1분기 양상이 올해 잔여 분기에도 이어질 것으로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제휴사 이투데이 제공
대한전선이 자회사 티이씨건설 부도설 여파에 급락하고 있다. 30일 오전 9시 17분 현재 대한전선은 전일대비 2.62%(55원) 오른 2045원에 거래되고 있다. 전날 한국거래소는 대한전선에 자회사 티이씨건설 부도설에 대한 조회공시를 요구했다. 답변시한은 이날 오후 12시 까지다. /제휴사 이투데이 제공
상장폐지 위험에서 벗어난 플레이위드 주가가 거래 재개 첫날 가격 제한폭까지 내려 앉았다. 30일 오전9시13분 현재 플레이위드는 직전 거래일보다 103원(14.97%) 하락한 585원에 거래되고 있다. 키움증권, 현대증권 등 창구를 통해 매도주문이 나오고 있다. 전날 한국거래소는 플레이위드에 대해 기업심사위원회 심의 결과 상장폐지기준에 해당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제휴사 이투데이 제공
위닉스가 위니맥스와의 흡수합병 발표에 상한가를 기록중이다. 30일 오전 9시11분 현재 위닉스는 전날보다 14.84% 오른 2만900원에 거래되고 있다. 전날 위닉스는 제습기, 에어워셔 등의 도소매 전문기업 위니맥스를 흡수합병한다고 공시했다. 합병비율은 1대 35.0424123이며 합병기일은 8월1일이다. 회사 측은 이번 합병으로 확대되는 사업규모에 대응할 수 있는 중견 제조판매법인으로 거듭남으로써 주주가치를 극대화하겠다고 밝혔다. /제휴사 이투데이 제공
현대상선이 LNG사업부 매각 본 계약 체결을 앞두고 장 초반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30일 오전 9시 8분 현재 유가증권시장에서 현대상선은 전 거래일보다 전거래일보다 650원(6.37%) 오른 1만850원에 거래 중이다. 키움증권, 미래에셋증권, 한국증권 등 창구를 통해 매수주문이 나오고 있다. 이날 현대상선은 액화천연가스(LNG) 전용선 사업 담당 신설법인 지분 80%를 사모펀드(PEF) 운용사인 IMM인베스트먼트에 1조300억원에 매각하는 본계약을 체결한다. /제휴사 이투데이 제공
GS건설이 실적 개선 기대감에 사흘째 상승하고 있다. 30일 오전 9시 7분 현재 GS건설은 전일대비 1.42%(550원) 오른 3만5850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날 하나대투증권은 GS건설에 대해 시장 기대치를 웃도는 1분기 실적을 내면서 실적 정상화가 진행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며 목표주가를 5만1000원에서 5만7500원으로 상향 조정했다. /제휴사 이투데이 제공
[29일부터 행사 가능해져회사 측 단기간에 워런트 행사되지 않을 것] [공시돋보기] 코스닥 상장사 소프트센이 신주인수권부사채(BW)를 만기 전에 취득했다. 신주 발행을 요청할 수 있는 권리인 신주인수권(워런트)는 그대로 남아있지만, 워런트 보유자들의 면면을 살펴볼 때 단기간에 워런트가 행사되지 않을 것으로 보여 물량 출회 부담은 없을 것으로 관측된다. 30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전날 소프트센은 지난해 4월말 발행한 50억원 규모의 제6회차 BW를 만기 전에 취득했다. 이는 채권자의 조기상환청구권(Put Option) 행사에 따른 것으로 소프트센은 BW를 취득하기 위해 51억7784만원의 회사 자금을 들였다. 앞서 소프트센은 지난해 4월25일 이사회를 열고 운영자금 조달을 목적으로 50억원 규모의 제6회차 BW 발행을 결정했다. 사채의 표면 및 만기 이자율은 각각 2.0%, 5.0%로 사채만기일은 오는 2016년 4월29일까지였다. 사채 발행 대상자(사채권자)는 산은캐피탈로 본 사채의 발행일로부터 1년이 되는 날 및 그 후 매 3개월 마다 본 사채 원금의 전부 또는 일부에 대해 만기 전 조기상환을 청구할 수 있었다. 산은캐피탈은 정확히 1년 후에 사채 원금 전부에 대해 풋옵션을 행사하면서 1억7784만원의 이자 수익을 거뒀다. 또 BW 발행 결정과 함께 산은캐피탈은 25억원 규모의 워런트를 당시 강진모 대표와 최중근이경일 부사장에게 신주 1주당 88원에 매각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이에 따라 강 대표는 85만340주를, 최 부사장과 이 부사장은 각각 28만3446주에 해당하는 워런트를 산은캐피탈로부터 취득했다. 신주인수권 권리 행사는 전날부터 가능해진 상황으로 최초 신주인수권 행사가액은 주당 1764원이었으나, 시가 하락에 따라 2차례의 조정을 거치면서 1638원까지 떨어졌다. 전날 종가가 2165원인 걸 감안하면 신주인수권을 행사한 후 30%가 넘는 차익을 누릴 수도 있는 상황이다. 소프트센 관계자는 25억원 규모의 워런트는 소프트센 최대주주인 아이티센시스템즈의 최대주주인 강진모 아이티센시스템즈 대표와 이경일 이사와 최중근 자문이 가지고 있다며 이들이 단기간에 워런트를 행사하지 않을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나머지 25억원 규모의 워런트는 산은캐피탈이 보유하고 있는데, 워런트를 행사할 것인지는 아직 모르는 상황이라며 이번에 BW를 조기에 상환함으로써 이자비용이 감소하는 효과를 보게 됐다고 덧붙였다. ☞ 투자자 300명에게 공개하는 종목의 속살 이투데이 스탁프리미엄에서 확인하세요 ☞ http://www.etoday.co.kr/stockpremium /제휴사 이투데이 제공
[M&A] 인수합병으로 전열정비를 한 롯데푸드가 한단계 올라선 신용등급을 무기로 회사채 발행에 나선다. 롯데푸드는 조달된 자금으로 한국네슬레 지분을 사들일 예정이다. 30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AA로 신용등급이 상향된 롯데푸드는 내달 7일 500억원 규모의 회사채를 발행한다. 롯데푸드는 이 중 200억원을 투자해 한국네슬레 지분 50%를 사들일 계획이다. 나머지는 공모사채 차환자금으로 사용할 예정이다. 롯데푸드는 한국네슬레 지분 취득을 위해 내달 말까지 500억원 출자해야 한다. 나머지 300억원은 롯데푸드 보유자체 자금으로 충당할 예정이라고 회사측은 밝혔다. 특히 롯데푸드의 회사채는 지난 21일 NICE신용평가가 AA-에서 AA로 상향조정하면서 수요가 높을 것이란 전망이다. NICE신평은 신규 사업 진출과 관련 회사 합병 등을 통한 사업포트폴리오 강화, 잉여현금흐름 창출액을 이용한 재무부담 경감 등을 감안해 이같이 판단했다고 말했다. 강병준 한국신용평가 연구원은 한국네슬레 지분투자(2014년 1월 지분율 50% 취득계약 체결), 제품 라인업 및 유통망 확대, 식품사업 내 수직계열 화 등을 통해 경쟁력을 확보해 나가고 있다고 진단했다. 롯데푸드의 지난해 당기순이익은 1139억원으로 전년대비 85.6%성장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1조5683억원, 영업이익은 737억원으로 집계됐다. 이처럼 롯데푸드가 실적개선은 물론 신용등급이 상향될 수 있었던 배경에는 롯데햄, 롯데후레쉬델리카, 파스퇴르유업 등을 합병하면서 빠른 외형성장을 이루었기 때문이다. 롯데푸드는 지난 2012년 1월 1일자로 연결종속회사였던 웰가를 흡수합병한데 이어 같은해 10월 1일자로 롯데후레쉬델리카를 흡수합병했다. 또 지난해 1월 1일자로 롯데햄을 흡수한병했다. 롯데푸드는 현재 연결대상 종속회사가 없다. 롯데역사의 지분 7.5%를 비롯해 1328억원의 타법인주식을 보유하고 있는 정도다. 몸집 가볍게 하면서 부채비율은 2011년 63.6%, 2012년 47.3%에서 지난 해 46.1%로 낮아졌다. 강병준 연구원은 롯데쇼핑 식품사업부 양수, 가공식품 통합브랜드 쉐푸드 (Chefood) 출범, 파스퇴르유업(유가공), 웰가(유지), 롯데후레쉬델리카(도시락 등 편의 점 식품), 롯데햄(육가공) 합병을 통해 사업 포트폴리오가 강화됐다고 진단했다. ☞ 투자자 300명에게 공개하는 종목의 속살 이투데이 스탁프리미엄에서 확인하세요 ☞ http://www.etoday.co.kr/stockpremium /제휴사 이투데이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