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침몰 사태로 정부 부처 산하기관들의 낙하산 인사가 도마 위에 오르면서 재무 관료 및 금융감독원 출신의 금융권 이동에 제동이 걸렸다. 이에 따라 일각에서는 금융기관의 주요 보직에 관료 출신 대신 정치권 인사가 대거 낙하산으로 내려오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29일 금융권에 따르면 세월호 침몰 사태로 관료출신들이 대거 포진한 산하기관들의 부실이 드러면서 ‘모피아’(재무관료 출신)와 ‘금피아’(금융감독원 출신)의 금융권 이동이 제한되는 상황이 연출되고 있다.
실제, 기획재정부 출신 고위 관료가 내정될 예정이었던 손해보험협회장과 주택금융공사 사장 자리가 불투명해졌으며 금융권으로 나가려던 금감원 임원들과 금융위원회 간부들도 손발이 묶이게 된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권의 이같은 조치는 한국선급, 해운조합 등에 관료들이 최고경영자로 내려온 것이 이번 세월호 참사의 원인중 하나라는 여론을 의식한 것으로 풀이된다.
그러나 금융권에서는 이번 조치를 적지 않은 충격으로 받아들이는 분위기다. 상당 기간 인사 적체가 불가피한데다 발이 묶인 모피아와 금피아 대신 정치권 인사가 낙하산으로 내려올 가능성도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금융당국의 한 관계자는 “현재 분위기가 워낙 좋지 않아 금융사로 이동은 전면 금지된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금융과 경제 전문가인 관료들이 산하기관이나 금융사에 못 가면 결국 정치인들이 자리를 채우게 될텐데 정치권 낙하산 인사의 부정적인 측면도 적지 않은 것이 사실”이라고 말했다.
박민수기자 kiryang@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