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병원 비리수사 BRC까지 전면 확대

검찰, 첨단의료바이오연구단지 사업시행자 압수수색 회계장부ㆍ하드디스크 확보 비자금 사용처 규명 박차 길병원 공사비 비리 사건(본보 8월 29일 자 7면)에 대한 검찰수사가 일파만파로 확대되고 있다. 인천지검 특수부(신호철 부장검사)는 가천길재단이 송도국제도시에 진행 중인 첨단의료바이오연구단지(BRC) 조성 사업의 사업시행자인 (주)BRC 등 2곳을 압수수색, 각종 회계장부와 컴퓨터 하드디스크 등을 확보하고 수사검사 1명을 증원했다고 23일 밝혔다. 검찰에 따르면 가천길재단 측은 BRC 사업과 관련해 아파트형공장과 기숙사, 상가 등을 건설하면서 공사비를 부풀린 뒤 하청업체로부터 돈을 되돌려받는 수법으로 비자금 수십억 원을 만든 혐의(특경가법상 횡령)를 받고 있다. 길병원의 모기업 격인 가천길재단은 지난 2009년 IBM과 합작법인 (주)BRC를 설립했으며, 총 사업비 3천560억 원을 들여 송도 5공구 내 25만 1천21.1㎡ 부지에 의료바이오 분야 연구개발(R&D)시설과 아파트형 공장(스마트밸리), 지원시설 등을 갖춘 BRC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앞서 검찰은 지난달 말 길병원 재무팀 등에 대한 2차 압수수색에서 확보한 압수품에 대한 분석과 최근 병원 관계자 등을 소환조사한 결과 BRC와 관련된 자금 흐름을 파악, 수사를 확대한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은 법원으로부터 길병원은 물론 가천길재단과 관련된 개인법인에 대한 계좌추적 영장을 발부받아 현재 광범위한 계좌추적에 나서는 등 횡령으로 조성된 비자금의 흐름을 쫓고 있다. 검찰은 조성된 비자금 중 일부가 공직사회로 흘러들어 갔을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비자금 사용처에 대해 수사력을 모으고 있다. 검찰은 이날 길병원 리모델링 공사와 암센터 신축 등에 참여한 한 업체에 대해서도 압수수색을 진행, 부풀려진 공사비 등에 대한 추가 증거자료 등을 확보했다. 검찰 관계자는 가천길재단 측이 길병원과 BRC 등 각종 공사에서 상당액의 비자금을 조성한 점이 포착됐고, 압수품 분석과 계좌 추적 결과 등이 끝나야 수사의 밑그림이 그려질 듯하다며 조만간 관련자 소환 조사를 통해 비자금의 규모와 사용처 등을 수사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민우기자 lmw@kyeonggi.com

인천 체험학습은 아직도… 그날의 참사 잊었나?

지난 7월 충남 태안에서 사설 해병대 캠프 도중 고교생 5명이 사망한 가운데 인천지역에서 많은 학교가 해병대 캠프 등 정부 미인증 시설을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인천시교육청과 신학용 국회의원실에 따르면 올해 인천지역 초중고교 수련활동, 현장체험학습 현황을 분석한 결과 전체 637건 중 539건(83.3%)이 정부 미인증시설에서 이뤄졌다. 이는 서울 71%, 경기도 55.6%보다 높은 비율이며, 수도권에서 인천지역의 미인증시설 이용비율이 가장 높다. 여성가족부와 교육부 등은 청소년 활동 진흥법에 따라 전국 수련시설 종합평가를 실시, 우수 등급 이상 시설에 인증을 부여하고 있으며 올해부터는 인증시설 이용을 권고에서 의무로 강화했다. 인천 초ㆍ중ㆍ고교 올해 체험학습 83% 미인증시설 찾아 637건 중 무려 539건 수도권서 이용비율 제일 높아 그러나 미인증시설 이용 학교들은 학교에서 자체적으로 만든 프로그램이나 해당 시설에서 임의로 만든 프로그램으로 수련활동을 운영하고 있다. 또 정부 인증을 받지 못한 만큼 시설의 안전 신뢰도가 떨어져 인증시설에 비해 안전사고 발생우려도 크다. 그동안 일부 학교는 인증을 받지 않은 해병대 캠프에 무분별하게 수련활동을 맡겨 왔다. 올해 해병대 캠프 참가학교는 모두 28개 학교로, 이 중 7개 학교는 사고가 발생한 충남 태안의 사설 해병대 캠프를 이용하기도 했다. A고교는 지난 4월 2박3일 일정으로 1학년 학생 400여 명이 충남 태안의 미인증 사설 해병대 캠프를 다녀왔다. 이 해병대 캠프는 A고교가 다녀간 지 3개월 뒤 학생 5명이 관리 부실로 숨지는 사고가 발생했다. 학부모 김모씨(42)는 학부모 입장에서 작은 사고라도 났다고 하면 마음이 조마조마하다며 학교를 믿고 아이를 맡기는 건데 주먹구구식이 아닌 믿을 만한 곳에서 체험활동 등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시교육청 관계자는 매년 몇 차례씩 시설 이용을 안내하고 있지만, 인증시설 자체가 많지 않고 또 제도에 문제가 있다며 전 학교에 지침을 내려 해병대 캠프를 이용하지 못하게 하고 있다고 말했다. 박용준기자 yjunsay@kyeonggi.com

인천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