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문화인물 최세진

10월의 문화인물에 조선중기때 언어학자로 중국어 교육과 한글발달사에 획기적인 업적을 남긴 최세진(崔世珍·1473∼1542)이 선정됐다. 한국 최초의 언어학자라 할 수 있는 최세진은 조선 성종∼중종 때 활약했던 중국어, 즉 한어(漢語) 통역관으로 연산군의 폭정과 중정반정의 정치적 소용돌이에서 문신들의 갖은 핍박을 받으면서도 평생을 국어와 중국어 비교연구에 전념했다. 중국어 회화에 능통했던 중인 출신인 그는 외교문서 작성에 사용되던 한이문(漢吏文)에도 정통해 당시 중국과의 외교업무에 중추적 역할을 수행했다. 이런 경력 때문인 듯 그는 한어의 구어와 문어 교육에 남다른 열정을 갖고 많은 중국어 학습 교재를 편찬했다. 그는 중국 표준발음을 정리한 ‘사성통해’(四聲通解)를 찬술했으며 조선시대 역관들이 중국어 회화학습을 위해 사용하던 대표적인 두 교재인 ‘노걸대’(老乞大)와 ‘박통사’(朴通事)를 한글로 번역했다. 또한 글로 쓰는 중국어인 한이문 교재로 ‘이문집람’(吏文輯覽)을 지었고 이것으로 승문원(承文院)에서 직접 강의하기도 했다. 이러한 중국어 학습교재 편찬과 함께 우리말과 중국어 비교연구에 헌신한 결과 ‘노박집람’(老朴輯覽)을 냈고 나아가 아동들의 한자교육에도 관심을 쏟아 ‘훈몽자회’(訓蒙字會)라는 불후의 저작을 남겼다. 그가 남긴 이들 책은 한국어는 물론 중국어 발달사 연구에 더없이 귀중한 자료로 한국에서는 물론 중국과 대만, 일본에서도 각광받고 있다. 한글 자모 순서가 ㄱ,ㄴ,ㄷ 혹은 ㅏ,ㅑ,ㅓ라는 것은 한국인이면 누구나 알고 있으나 이 순서를 정한 이가 바로 최세진이라는 사실은 잘 모르고 있다. 문화부는 최세진을 기념하기 위해 최세진기념문집을 내는 한편 오는 22일 대우학술재단에서는 그의 생애와 학문세계를 살펴보는 학술대회를 갖는다. /이연섭기자

연휴때 찾는 도내 명산

연휴를 이용해 수도권 근교에 다녀올 수 있는 명산을 소개한다. <명지산> 명지산(1,267m)은 경기도 제2의 고봉으로 동쪽으로는 가평천을 사이에 두고 제1 고봉 화악산과 대치하며 서쪽으로는 조종천을 두고 운악산 줄기와 마주보고 있다. 이 산은 단일산으로 경기도에서는 비교적 규모가 큰 산에 속하며 정상에서부터 1,250m봉∼1,199m봉∼1,068m봉으로 이어지는 1,000m대의 능선은 마치 거대한 성곽과도 같다. 가평에서 북서쪽으로 약 14km 떨어진 명지산의 산행은 가평군 하면 하판리와 북면 익근리, 백둔리 등을 기점으로 하는 코스가 가장 일반적이다. 명지산 정상 북쪽인 북면 적목리의 논남기마을을 기점으로 하는 코스가 있으나 초보자들에게는 어려운 코스다. 그리고 논남기마을 초입인 적목리 명지초등학교와 앞 거릿내에서 정상으로 오르는 코스도 아직까지는 하산로로 이용할 뿐 이곳을 기점으로 명지산 산행을 하는 사람은 극소수에 불과하다. ▲코스=명지산의 대표적인 등산로는 익근리 코스, 상판리코스, 백둔리코스 등이 있다. 승천사∼명지폭포∼화채바위∼정상으로 이어지는 익근리코스와 상판리에서 귀목고개와 아재비고개를 경유해 정상에 이르는 상판리코스는 각각 3시간 정도 걸린다. 최근 인기를 끌고 있는 곳은 거릿내마을에서 개울 건너로 보이는 솔밭이다. 이 코스로 사향봉 못미처의 갈림길에서 화채바위를 거쳐 정상에 이르려면 6시간 정도 걸린다. 이 코스는 아직 오염이 안되었고 등산로도 가파르지 않은 편이다. ▲교통=서울상봉동터미널에서 가평까지 1일 11회 운행, 1시간 30분 소요. 가평∼거릿내는 1일 3회 운행, 1시간 10분 소요. ▲숙박=명지초등학교에서 북쪽으로 약 2m 거리에 있는 약수상회에서 민박을 할 수 있다.

도내 능기행

가을이 되면 누구나 한번쯤 조용한 곳을 거닐며 사색을 해보고 싶은 생각이 들 것이다. 주변에 큰 소나무가 둘러져 있고, 넓게 잔디가 펼쳐져 있는 역사의 세계 능(陵)을 찾아 자녀들과 함께 거닐어보는 것도 이 가을 괜찮은 여가선용의 한 방법이다. 경기도내에는 현재 신라때 부터 고려를 거쳐 조선시대에 이르기 까지 모두 15곳에 34기의 능이 자리하고 있다. 임금 또는 왕후의 묘인 능은 대체로 경사가 완만한고 높지 않은곳에 자리하고 있어 다리힘이 약한 노인이나 부녀자들에게도 부담스럽지가 않다. 또 역사속의 이야기까지 곁들일수 있으니 지적 탐구욕이 왕성해지는 가을 나들이터로는 제격이다. 신라시대 능으로는 도내에 유일한 경순왕릉은 연천군 백학면에 있다. 경순왕은 신라 마지막 비련의 임금으로 그 아들이 마의태자이다. 고려의 마지막 왕인 공양왕은 고양시 원당의 고릉, 조선의 마지막 왕 순종은 남양주시 금곡리 유릉에 묻혀있다. 신라와 고려, 조선시대의 마지막 왕들의 무덤에서 흥망성쇠의 쓸쓸함을 짚어보는 것도 이 가을 의미가 있을 것이다. 구리시 동구동의 동구릉은 9기의 묘를 쓸 정도로 산세가 좋은 곳으로 태조 이성계의 건원릉, 선조와 의인왕후의 목릉, 인조와 장렬왕후의 휘릉, 영조와 정순왕후의 원릉 등 그대로 조선의 역사를 개괄해 볼 수 있는 곳이다. 고양시 신도동의 서오릉에는 덕종과 소혜왕후의 경릉과 숙종과 인형왕후의 명릉 등 5기의 묘가 있고 원당의 서삼릉도 철종과 철인왕후의 예릉 등 3기의 묘를 품고 있다. 남양주시 진건면의 사릉은 영월의 단종릉을 보기를 소원하던 단종비 정순왕후의 능이고 진접면의 광릉에는 그 단종을 몰아내고 대권을 장악한 세조와 정희왕후가 잠들어 있다. 양주군 장흥면에는 중종의 원비 단경왕후의 능인 온릉이 있고, 파주시 조리면에는 4만여평의 땅에 공·순·영릉이 자리한다.

세계각국의 법의 한자리에

역대 고승의 가사(袈裟)와 세계 각국의 법의(法依)가 한자리에서 선보이는 전시회가 조계사 경내 문화교육관에서 다음달 1일부터 30일까지 열린다. 가사란 범어(梵語)인 ‘카사야(Kasaya)’를 음역한 말로 누더기옷을 뜻하는데 흔히 장삼 위에 두르는 천조각을 일컫지만 승려가 입는 옷을 통칭하기도 한다. 가사는 청정(淸淨)과 무욕(無慾)을 상징하는 출가인의 옷인 만큼 검소한 재질과 빛깔의 천으로 만들어진다. 그러나 위엄을 보이기 위해 화려한 모양의 수를 놓거나 작은 천조각을 많이 꿰메어 법력을 나타내기도 한다. 법맥을 전수하면서 제자에게 의발(依鉢:가사와 바리때)을 물려주는 것도 가사가 승가와 불법(佛法)의 상징물이기 때문이다. 이번 전시회에는 현재 순천 선암사에 보관중인 대각국사 의천의 가사를 본따 복원한 것을 비롯해 성철, 경허, 용성, 한암, 경봉, 효봉 등 근·현대 고승들의 가사가 전시될 예정이다. 북한, 중국, 일본, 태국, 미얀마, 대만, 스리랑카 등 불교국가 7개국의 가사와 조계종, 태고종, 천태종, 진각종, 총지종 등 국내 불교 종단의 가사도 모두 망라되며 보조국사 지눌의 가사 등 일부 희귀본은 사진으로 선보인다. 조계사는 전시기간 중에 김경숙 광주대 교수, 임영자 세종대 교수 등 의류학자들을 초청해 학술 세미나를 개최하는 한편 무상 스님의 가사 제작광경을 담은 비디오도 상영할 계획이다. /박인숙기자

헌당 1주년맞는 수원명인교회

경희대학교 수원캠퍼스를 옆으로 동네 안으로 들어서면 시원스레 펼쳐진 푸른 논 가운데 웅장하고 아름다운 교회가 모습을 드러낸다. 지난해 9월 3천여평의 대지 위해 건축해 모든 성도들과 하나님 앞에 헌당 예배를 드리면서 하나님과 하나된 대한예수교 장로회 명인교회(담임목사 박용우)는 오는 3일로 헌당 1주년을 맞는다. 명인교회가 다른 교회와는 달리 남다르게 노력하고 심혈을 기울이는 부분이 있다. 그것은 바로 신체적인 어려움을 겪고 있는 장애인들을 위한 시설과 이들을 위한 프로그램을 다양하게 실시하고 있다는 점. 교회 내 교우들의 복지 향상뿐만 아니라 신체적인 장애로 불편과 고통속에 살아가는 장애인과 그 가족들에게 하나님의 사랑을 실천하여 더불어 사는 공동체를 이루어 가려고 노력하고 있다. 장애인 전용 엘리베이터를 본당까지 연결하고 장애인 전용 화장실, 지하 1층과 식당으로 연결되는 경사로와 엘리베이터를 점자로 안내해 장애를 가지고 있는 신도들이 교회시설을 이용하는데 불편함이 없도록 최선을 다하고 있다. 또 수화교실을 운영해 수화로 예배를 통역, 그들에게도 하나님의 말씀을 전하는데 지장이 없도록 하고 있으며 특히 여전도회에선 봉사활동으로 중증장애아동들에게 물리치료를 목적으로 실시하는 수영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지역사회 선교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수원시 거주 영세장애인 자녀나 장애인 학생에게 장학금을 지원하고 있으며 어려운 이웃과 장애인 교회 신도를 대상으로 한방무료진료와 각종 질병 상담을 실시해 그들에게 적절한 치료와 약품도 전달하고 있다. 박용우 목사는 “하나님의 사랑을 이웃사랑으로 실천하고 건전한 기독교 문화를 제시하고 지역사회와 공유함으로써 이 세상에 빛과 소금의 역할을 다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박인숙기자

'운학' 이동안선생 추모공연

구한말 화성 재인청의 도대방(都大房)을 지낸 운학(雲鶴) 이동안선생 작고 4주년을 맞아 이를 추모하는 공연 ‘운학 이동안 선생류 춤판’이 2일 오후7시 과천시민회관 대극장에서 열린다. 이동안선생(1906∼1996)은 중요무형문화재 제79호 발탈보유자로 우리 춤의 큰 기둥이었고 90평생 전통예술계에 큰 족적을 남겼다. 운학선생의 성장의 터이면서 마지막 은거지이기도 했던 화성 재인청(지금의 화령전·수원시 신풍동 소재)은 현재 그의 제자인 정경파씨(경기도무형문화재 제8호 승무·살풀이 보유자)등이 그의 유지를 받들며 맥을 이으면서 재인청 복원을 추진중에 있다. 이번 공연은 운학선생을 추모하고 예술혼을 기리며 뒤늦게나마 묘비를 세우기위한 기금마련을 위해 개최하는 의미있는 공연이다. 운학 이동안선생 전통무용보존회(회장 심우성·민속학자)가 주최하는 이번 공연은 운학의 문하생인 정경파, 이광수, 정주미 등과 우리춤연구회 회원들이 함께 꾸민다. 공연의 첫판은 가신 님을 그리며 축원과 덕담을 쏟아내는 소리꾼 이광수의 ‘비나리’로 시작해 우리춤연구회의 ‘기본무’가 이어지고 전덕수의 ‘신칼대신무’, 정주미의 ‘태평무’가 무대에 선보여진다. 둘째판에서는 이광수의 민족음악원 예술단의 ‘사물놀이’와 ‘판굿’, 정경파 등의 ‘살풀이’, 하용부의 ‘밀양북춤’, ‘소고춤’ 등이 다채롭게 펼쳐진다. /이연섭기자

문화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