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민주화 외면 경인여대 재단 비난

<속보> 51일째 농성을 벌이고 있는 경인여자대학 비상대책위는 12일 재단측이 허위 호소문을 통해 학내 교육민주화를 외면하고 있다며 성명서를 발표하는등 재단측을 비난하고 나섰다. 12일 비대위는 ‘경인여대 재단측의 신문광고 호소문의 부당성과 허위를 밝힌다’는 글을 통해 경인여대 사태는 악덕비리재단의 횡포와 부정 및 횡령 때문에 발생 것임에도 재단측이 이를 왜곡해 모든 사립대학의 존립문제로 연관짓고 있다고 주장했다. 또 비대위는 ‘교수들의 학생선동’과‘교육부 감사결과 비리가 없다’는 등의 재단측의 주장에 대해 “일부 교수가 선동하는 학내분규에 어떻게 교직원과 학생 전원이 동참할 수 있느냐”고 반박하고 재단측의 불법회계처리 등에 대한 증거제시와 함께 재단측의 각성을 촉구했다. 특히 비대위는 이날 성명을 통해 교육부가 감사결과 일체를 언론과 비대위에 공개해 경인여대의 사학분규가 사회적으로 왜곡되는 결과를 막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비대위 관계자는 “재단측은 유언비어성 치졸한 행위를 즉각 중단하고 경인여대 전체 학생과 교수·직원 앞에 사과한 뒤 깨끗이 용퇴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인천지검은 경인여대에 대한 압수수색에서 금전출납부·골프장 인수보고서 등을 압수했으며, 재단측 변호사와 경인여대 비대위 회장 등을 입회시킨 가운데 12일 압수물을 개봉할 예정이다. /김창수기자 cskim@kgib.co.kr

남동구의회 의장선출 향응제공 물의

인천시 남동구의회 의장 출마후보자들이 지난달 말 선거전동안 의원들을 상대로 향응제공 등 로비를 폈던 것으로 드러나 물의를 빚고 있다. 12일 구의회와 신현필·천정숙의원측 의원들에 따르면 지난달 28일 신·천의원 등 2명의 후보가 출마, 양자구도로 벌어진 제3대 2기 의장선거에서 신후보가 천후보를 9대8 한표차로 물리치고 의장에 선출됐다. 그러나 천후보측은 선거 3일전인 지난달 25일까지 8명의 의원만 확보돼 의장당선에 한표가 모자라게 되자 이날 신 당선자 지지파인 김모의원을 송도 모 룸살롱으로 불러내 향응을 제공하며 천후보 지지로비를 벌였다고 신후보측은 주장했다. 이날 술자리에는 천후보를 비롯한 한모의원 등 천후보측 의원 4명이 함께 참석했었다는 것이 신후보측의 주장이다. 신당선자측 역시 다음날인 26일 천후보측으로부터 접대를 받은 김의원의 이탈을 막기위해 김의원을 경기도 시흥시 대부도 B음식점으로 데리고가 술대접을 벌이고 인근 L모텔에 투숙까지 시켰다고 천후보측 의원들은 밝혔다. 또 신당선자측으로부터 사전에 상임위원장직을 내정받았던 또다른 김모의원도 의장선거일 2∼3일전에 천후보측 김모의원을 간석동 E주점 등에서 만나 술을 대접하며 신당선자 지지를 부탁했다고 덧붙였다. 특히 신 당선자측과 천후보측은 의장선거후에도 상임위원장직 배분문제로 단독강행과 의장불신임안 제출로 맞서며 선거전 당시의 성(性)로비설과 술값비용 영수증을 이용한 협박설까지 의원들간에 공공연하게 나도는등 구의회가 복마전(伏魔殿) 양상으로 치닫고 있다. 이와관련, 양측으로부터 술대접을 받은 신의장측 김의원은 “송도와 대부도에서 양측 대표들과 술을 마신 것은 사실이나 모텔에 투숙한 일은 없다”고 말했다. /류제홍기자 jhyou@kgib.co.kr

경찰 인형뽑기게임기 단속에 업자들 반발

최근 전국적으로 유행하고 있는‘인형뽑기 크레인’기계에 대해 경찰이 ‘음반·비디오물·게임물에 관한 법률’을 적용, 단속키로 하자 설치업자들이 지나친 처사라며 반발하고 나섰다. 11일 인천경찰청에 따르면 최근 경찰청으로부터‘인형뽑기’게임에 대한 단속지침을 받아 시내 각 경찰서와 파출소에 오는 15일부터 이에대한 단속을 벌이도록 지시했다. 단속대상은 등록된 게임장 외 지역(슈퍼·문방구 등)에 설치된 인형뽑기 기계 중 카드나 땅콩 등 판매대를 부착하지 않은 기계이며, 적발된 업자는 구청에 통보, 행정처분할 방침이다. 그러나 이 기계를 설치한 업자들은 이미 문화관광부에서도 경미한 오락실의 경우 자유업종으로 법개정을 추진중인데다 사행성도 아닌데 경찰이 대대적인 단속을 실시하려는 것은 지나친 처사라며 반발하고 있다. 자신의 부동산에 이 기계를 설치한 이모씨(63·남구 용현동)는 “인형뽑기는 TV에서도 건전한 오락으로 소개될 정도로 남녀노소 모두 즐기는 게임인데다 불과 100원 단위의 적은 돈을 넣는 것인데 굳이 단속까지 해야 하느냐”고 말했다. 이 기계 제조업자인 김모씨(48)는“지난해 개정된 게임물 관련 법률도 이 기계에 대한 적용 여부를 특별히 규정하지 않아 법률검토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와관련, 경찰 및 구청 관계자는 “적발 후 문화관광부의 심의를 받아야 하는 번거러움이 있는데다 법적용에도 문제는 있는 만큼 단속을 최소화 하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김신호기자 shkim@kgib.co.kr

인천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