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오페라, 한국인 남녀주역 오페라 최초 공연

세계 3대 오페라단으로 꼽히는 뉴욕 메트로폴리탄 오페라 역사상 최초의 한국인 남녀 주역 오페라인 '라 트라비아타'가 10일 맨해튼 링컨센터 무대에 오른다. 메트오페라가 무대에 올리는 라 트라비아타는 세계적인 소프라노 홍혜경씨와 테너 김우경씨가 남녀 주역인 비올레타와 알프레도역을 맡는다. 127년에 이르는 메트오페라 역사상 동양인이 한 무대에서 남녀주역을 맡은 것은 이번이 처음. 이 뿐만 아니라 영화감독 프랑코 제피렐리가 지난 1998년 자신의 75회 생일 기념으로 제작해 매년 무대에 올리고 있는 메트의 간판작품인 '라 트라비아타'의 남녀 주역을 한국인 성악가가 맡았다는 점에서 의미를 더하고 있다. 지난해 8월 말 뉴욕 센트럴파크에서 열린 메트오페라의 야외 콘서트 오페라에서 호흡을 맞췄던 홍혜경씨와 김우경씨는 메트오페라가 계획한 총 15차례의 공연 가운데 개막 공연을 포함해 총 5차례 남녀 주역으로 등장한다. 메트오페라의 전속가수로 활동하고 있는 홍혜경씨는 1984년 동양인 최초로 메트오페라의 주역 가수로 데뷔했으며 이후 수많은 유명 오페라 무대에서 최고수준의 오페라 작품을 소화해 내고 있는 세계적인 소프라노. 한국인 테너 가운데 처음이자 홍혜경과 조수미, 신영옥, 연광철씨에 이어 한국인으로는 5번째로 메트오페라에 진출한 김우경씨는 지난 2003년부터 드레스덴 젬퍼 오퍼의 주역 가수로 활동하다 지난해 메트오페라의 2006-2007 시즌 '데뷔 아트스티'에 포함됐다. 한양대 성악과와 독일 뮌헨국립음대를 거친 김씨는 2004년 플라시도 도밍고 국제 콩쿠르에서 한국인 테너로는 처음으로 1위에 입상한 바 있다. /연합뉴스

하피스트 곽정-도쿄스트링콰르텟 한무대

하피스트 곽정과 2004년 처음 내한해 호평을 받았던 도쿄 스트링 콰르텟이 나란히 한 무대에 선다. 다음달 11일 오후 8시 예술의전당 콘서트홀 공연. 이들은 하이든 현악4중주 d단조 Op.76-2 '5도', 아놀드 백스 '하프 5중주' 등을 협연한다. 1969년 창단된 도쿄 스트링 콰르텟은 창단 주역인 카스히데 이소무라(비올라)를 비롯해 런던 로열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첼로 수석을 역임한 클라이브 그린 스미스(첼로), 마틴 비버(제1바이올린), 키쿠에이 이케다(제2바이올린)로 구성돼 있다. 최근 아르모니아 문디와 계약을 맺고 브람스 클라리넷5중주, 베토벤 현악4중주 '라주모프스키' 3곡 등을 담은 음반을 낸 바 있다. 연주실력 못지 않게 관심을 끄는 것은 이들의 악기. 이들이 사용하는 네 대의 현악기는 모두 스트라디바리우스가 1680년부터 1736년 사이에 제작했고 이후 파가니니가 직접 소유했던 것들이다. '파가니니 콰르텟'이라 불리는 이 악기들은 1995년 일본문화재단(닛폰재단)이 미국 워싱턴 코코란 갤러리에서 1천500만달러에 사들였다. 도쿄 스트링 콰르텟은 재단측으로부터 이들을 대여받아 사용하고 있다. 한편 곽정은 1997년 주빈 메타가 이끄는 이스라엘 필하모닉 내한공연 때 협연자로 무대에 섰다. 최근 'Harpist K'라는 이름으로 유니버설 뮤직과 계약을 맺어 'Vivace', 'Toccata' 등 전자하프 음반을 출시하기도 했다. 3만-8만원. ☎02-541-6234, 780-5054. /연합뉴스

첼리스트 미샤 마이스키 3년만에 내한

'첼로 스타' 미샤 마이스키가 3년 만에 다시 한국을 찾는다. 다음달 2일 오후 8시 예술의전당 콘서트홀에서 열리는 마이스키의 내한공연. 그가 마지막으로 내한한 것은 2004년 6월 피아니스트 백혜선과 듀오 공연을 위해서였다. 장한나의 스승으로도 잘 알려진 그는 음악계에서는 좀 특별한 존재다. 팝스타처럼 뒤로 살짝 동여맨 곱슬머리에 잘 기른 수염, 우수에 찬 눈매. 그는 연주회 때는 연미복 대신 색깔을 바꿔가며 실크 블라우스를 입는다. 그의 서정적 또는 로맨틱한 음악적 해석은 일부에서는 찬사를, 다른 편에서는 지나치다며 비판을 받기도 한다. 이번 공연에서는 슈베르트 첼로소나타 a단조 '아르페지오네', 라흐마니노프의 '엘레지' op.3-1과 첼로소나타 g단조 등을 들려준다. 반주는 지난해 11월 장한나와 함께 내한했던 세르지오 티엠포가 맡는다. 3만-10만원. 이달 30일 울산 현대예술관, 2월1일 대전문화예술의전당에서도 공연이 열린다. ☎02-751-9607~10. 한편 마이스키를 비롯해 노부코 이마이(비올라), 줄리안 라흘린(바이올린)이 함께 녹음한 바흐 '골드베르크 변주곡' 음반도 도이체그라모폰 레이블로 이달 중순께 발매된다. '골드베르크 변주곡'은 1985년 작곡가 겸 바이올리니스트 드미트리 시트코베츠키에 의해 처음 현악3중주 버전으로 편곡됐다. 마이스키는 1985년에도 시트코베츠키, 제라르 코세(비올라)와 함께 골드베르크 변주곡 음반(오르페오)을 낸 바 있다. /연합뉴스

늦지만 조금 특별한 신년음악회

1월 초에는 신년음악회가 클래식계의 대세다. 각 공연장에서는 희망을 노래하는 교향곡과 각종 서곡들이 울려퍼진다. 이달 말에도 시기적으로 늦지만 조금 특별한 신년음악회가 마련된다. 연초에 특별한 사정이 있었다면 이들 음악회에서 음악을 들으며 새해 계획을 세워보는 것은 어떨까. 31일 오후 8시 예술의전당 콘서트홀에서 열리는 '임형주 & 바이에른 체임버 오케스트라 신년 음악회'는 흥겨운 왈츠와 폴카가 곁들여진 유럽식 신년음악회다. 상임지휘자인 울프 클라우제니처의 지휘로 '아름답고 푸른 도나우', '라데츠키 행진곡' 등이 연주된다. 팝페라 가수 임형주가 특별 출연해 가곡 '동심초', 프랑크 '생명의 양식', 알비노니 '아디지오' 등 노래를 선보인다. 3만-12만원. 창원성산아트홀(26일 오후 7시30분), 고양어울림극장(30일 오후 7시30분), 노원문화예술회관(2월1일 오후 8시), 인천종합문화예술회관(2일 오후7시30분)에서도 공연이 열린다. ☎02-599-5743. 전날인 30일 오후 8시 같은 장소에서는 필리핀 마드리갈 싱어즈(지휘 마크 안토니 카피오)의 내한공연이 신년음악회로 꾸며진다. 필리핀 마드리갈 싱어즈는 독일의 합창 전문지 '코어(chor)'가 2005년 말 연주경력, 음반녹음, 방송출연, 일반인들 사이 평판과 전문가들의 평가, 수상 실적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발표한 '세계 10대 합창단 랭킹'에서 빈 소년 합창단(9위), 라이프치히 게반트 하우스 합창단(10위) 등을 제치고 7위에 오른 저력을 갖고 있다. 다른 합창단과는 달리 반원 형태로 둘러앉아 서로 눈길을 주고받으며 아카펠라 음악을 들려주는 것이 특징. 성가곡 작품들과 르네상스 마드리갈(14세기 이탈리아에서 발생한 가요), 팝송, 한국민요 등 다양한 곡들을 선보인다. 2만-6만원. ☎02-2068-8000. /연합뉴스

김광석, 그날이 오면 당신이 그립습니다

3일(음력 11월15일) 오후 5시 서울 종로구 창신동의 아담한 사찰 안양암(安養庵). 청아한 목탁 소리에 낭랑한 스님의 독경(讀經) 소리가 법당 문틈 새로 번져나왔다. 고즈넉한 사찰 마당에는 쌀쌀한 날씨에도 온기가 감돌았다. 이날은 세상을 등진 가수 고(故) 김광석의 기일(忌日). 그는 1996년 1월6일 사망했지만 가족과 팬들은 그의 유골이 안장돼 있는 안양암에서 해마다 음력으로 제사를 지내고 있다. 법당 안에는 형 김광복 씨를 비롯해 가족ㆍ팬 등 15명 남짓되는 이들이 고인을 위해 합장(合掌)하고 있었다. "지장보살(地藏菩薩) 지장보살 지장보살…". 스님은 중생을 구제해 극락으로 이끈다는 지장보살을 부르고 또 불렀다. 부처를 향해 합장한 모두의 두 손은 망자(亡者)의 안녕을 비는 예였다. 이 마음을 알기라도 한듯 김광석은 영정(影幀) 속 흑백사진으로 환히 웃고 있었다. 30분 가량의 예불(禮佛)에서 '김광석 영가(靈駕)'를 읊조렸던 스님은 "이제 제사를 지냅시다"라며 엄숙한 기운을 갈랐다. 광복 씨의 초헌(初獻:제주가 첫 술잔을 올리는 의식)을 시작으로 가족, 팬들이 뒤이어 술잔을 올리고 절을 했다. 제를 올리는 내내 김광석은 그 표정 그대로 웃고 또 웃고 있었다. 법당 천장에 소담스레 매달린 붉은 연등이 영정에 드리웠다. 마치 그는 붉은 화환을 건듯 행복해 보였다. 안양암은 청소년기를 창신동에서 보낸 불교신자 김광석의 발길이 종종 닿았던 곳이라고 한다. 성장 환경은 그의 자작곡 중 자연친화적이고 불교 사상이 스민 곡이 많은 데도 영향을 줬으리라. '인생이란 강물 위를 뜻없이/부초처럼 떠다니다가/어느 고요한 호숫가에 닿으면/물과 함께 썩어가겠지/일어나 일어나/다시 한번 해보는 거야~'.('일어나' 中) 목에 하모니카를 걸고 통기타를 치던 김광석. 먹을 머금은 음색은 농도를 조절하며 대중의 가슴과 추억에 오롯이 파고들었다. '노래를 찾는 사람들'과 '동물원'을 거쳐 솔로로 데뷔한 그는 '흐린 가을 하늘에 편지를 써' '거리에서' '사랑했지만' '서른 즈음에' '바람이 불어오는 곳' '너무 아픈 사랑은 사랑이 아니었음을' 등 수많은 곡으로 사랑받았다. 이 과정을 거치며 '훌륭한 보컬리스트'에서 싱어송 라이터로, 가객(歌客)ㆍ음유시인으로 불렸다. 제사를 지내고 법당을 나서던 광복 씨는 김광석의 음악을 사랑하는 인터넷 모임인 '둥근소리(oneum.net)' 회원들의 손을 일일이 잡았다. 한결같이 그날을 기억하고 이 자리에 참석해준 팬들에 대한 진심 어린 고마움의 표시였다. 뒤늦게 꽃을 안고 찾아온 여성 팬도 있었다. 5년째 김광석의 제사에 참여한 30대 남성 팬 김모 씨는 "해마다 안양암을 찾는 팬의 수가 줄어드는 것 같아 안타깝다"며 "지난해 10주기 땐 유족간 저작권 분쟁이 진행중인 데다 음악계 공식 기념행사 없이 팬들의 추모 공연만 펼쳐져 더욱 가슴 아팠다"고 했다. 고인의 모친ㆍ형, 고인의 아내는 김광석 노래에 대한 저작인접권 소유를 놓고 수년째 소송을 벌여왔다. 올해도 어김없이 팬들의 추모 무대는 이어진다. 96년부터 매년 2월 추모 공연 '작은 음악회'를 펼치는 둥근소리는 2월24일 오후 4시ㆍ7시30분 서울 대학로 공연장 질러홀에서 12번째 무대를 올린다. 앞서 6일 오후 7시30분 대전 세이백화점 아트홀에선 김광석 추모 11주년 기념콘서트 '사랑이라는 이유로'가 열린다. 한 대중음악 관계자는 "종종 신세대 스타를 향한 일그러진 팬덤 문화를 볼 때마다 안타깝다"며 "김광석 씨가 자리를 떠난 11년간 곁을 지킨 팬들이야말로 진정성이 있는 가수와 팬의 관계"라고 말한 적이 있다. 해가 뉘엿뉘엿 졌다. 절을 나서며 좁은 골목을 내려오는 길, 김광석의 '안녕 친구여'란 노래가 입가를 맴돈다. '만남은 헤어짐이라/저마다 품은 꿈으로 걸어가/안녕 친구여/다시 모여 웃을 날 기약하며/안녕~'. 마치 그의 인사 같았다. /연합뉴스

뮤지컬 한류를 꿈꾼다

국내 뮤지컬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면서 국내 작품의 해외 진출이 활발해지고 있다. 특히 올해에는 창작 뮤지컬이 로열티를 받고 해외에 수출되는 사례도 나올 전망이다. PMC프러덕션의 창작 뮤지컬 '달고나'는 일본으로 저작권이 수출돼 일본 제작진에 의해 무대에 올려질 예정이다. 회사 측은 "일본 아뮤즈사와 4월말 정식 수출 계약을 체결할 예정"이라며 "10월쯤 도쿄에서 시연(試演)한 뒤 내년부터 대극장에서 본 공연을 펼칠 예정"이라고 말했다. 내년 가을에는 한국 출연진의 일본 투어 공연도 계획하고 있다. '달고나'는 흘러간 가요를 엮어 만든 뮤지컬이지만 일본 공연에서는 국내 가요가 일본 노래로 바뀌고 내용이 일부 수정되는 등 현지 실정에 맞게 각색된다. PMC프러덕션의 대표작 '난타'는 올해에도 세계 각지에서 공연된다. 상반기에는 중국 10개 도시와 남아프리카공화국, 러시아, 헝가리에서 공연할 예정이며, 하반기에는 도미니카공화국, 호주, 독일 등에서 공연이 예정돼 있다. 또 일본 오사카 유니버설 스튜디오와 미국 미주리주 브랜슨(Branson)의 대극장에서 상설 공연하는 방안도 추진 중이다. '난타'와 함께 대표적인 넌버벌 퍼포먼스로 꼽히는 '점프'도 올해 해외 공연을 확대한다. 2월 런던 피콕극장 공연(4월말까지)을 시작으로 카디프의 웨일스 밀레니엄센터, 맨체스터 등 영국 투어 공연을 펼치며, 일본 도쿄(5월부터 6월말까지)와 오사카(7월초), 싱가포르(6월) 등지에서도 공연이 예정돼 있다. 7월에는 모스코바 체호프 페스티벌에 참가할 예정이다. 제작사 예감은 "하반기에는 뉴욕의 오프브로드웨이에서 공연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으며, 2008년을 목표로 중국으로의 저작권 수출도 추진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점프' 제작진이 만드는 비보이 공연 '피크닉'은 국내 공연에 앞서 4월말 영국 피콕극장에서 초연될 예정이다. 작년 뉴욕에 진출한 뮤지컬 '마리아 마리아'는 영국 진출을 위해 지난해 '아트 인 런던'과 양해각서(MOU)를 맺고 런던에 위치한 라다극장을 대관했다. 또 필리핀 및 동남아시아로의 수출을 위해 필리핀 기획사와 공동 법인 '조아 아시아'를 설립할 예정이다. 내년 초연되는 신시뮤지컬컴퍼니의 창작뮤지컬 '댄싱섀도우'는 올해말이나 내년 일본에서 공연될 예정이며, 중국 진출도 계획하고 있다. 창작 뮤지컬 뿐 아니라 국내 제작진이 만든 외국 라이선스 뮤지컬이 다시 해외로 진출하는 사례도 잇따르고 있다. 뮤지컬 '헤드윅'을 대학로에서 공연 중인 쇼노트는 9월 이 공연을 일본 무대에 올릴 예정이다. 지난해 '지킬 앤 하이드'를 일본에서 공연한 오디뮤지컬컴퍼니는 이 작품과 브로드웨이 뮤지컬 '맨 오브 라만차'를 일본과 중국 상하이에서 공연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일본에서 첫 선을 보인 '겨울연가'는 올해말이나 내년초 일본에서 다시 공연될 예정이며, 하와이와 LA 등 미국에서의 공연도 추진되고 있다. /연합뉴스

보아 새 앨범 日 예약판매 차트서 1위

'아시아의 별' 보아의 새 앨범도 인기 차트 정상을 예고하고 있다. 17일 일본에서 발매되는 5집 '메이드 인 트웬티(Made in Twenty)'는 음반 예약판매 사이트인 HMV와 아마존의 실시간 차트에서 1위를 차지하며 변함 없는 인기를 과시했다. 지난해 2월 발표한 4집 '아웃그로우'에 이어 11개월 만에 선보이는 5집 '메이드 인 트웬티'에는 싱글로 발표했던 '윈터 러브' '키 오브 하트'를 포함해 총 13곡이 수록될 예정이다. 성년이 된 이후 처음 발표하는 앨범인 만큼 보아가 어떤 노래를 들려줄지와 함께 보아가 기록 행진을 이어갈 수 있을지 팬들의 관심이 쏠려 있다. 보아는 일본 가수를 제외한 외국 가수로는 처음으로 오리콘 차트에서 4회 연속 정규 앨범 1위를 차지한 기록을 갖고 있다. 일본 가수까지 포함할 경우 이 부문 최고 기록 보유자는 정규 음반을 7장 연속 위클리 차트 1위에 올린 하마자키 아유미. 보아가 이번 5집 앨범으로 기록 행진을 이어갈 경우 일본 최고의 여가수 자리에 한 걸음 더 다가가게 된다. 보아는 지난달 30일 일본 최고 권위의 음악상인 48회 일본 레코드대상 시상식에서 금상을 받았으며, 31일에는 NHK의 연말 유명 프로그램인 '홍백가합전'에 5년 연속 참여했다. 새 앨범 발표 뒤 3월 말부터 일본 전국 투어 콘서트를 계획하고 있다. /연합뉴스